역주 월인석보 제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
  • 마야부인이 남비니원에 감
  • 마야부인이 남비니원에 감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마야부인이 남비니원에 감 1


[마야부인이 남비니원에 감 1]
夫人이 나  거어늘 주001)
거어늘:
거의이므로.

월인석보 2:27ㄴ

 샤 東山 구야지다 주002)
구야지다:
구경하고 싶습니다.
王이 藍毗尼園 주003)
남비니원:
석존이 탄생한 곳.
을 미라 시니【녜 藍毗尼라  天女ㅣ 이긔 주004)
이긔:
여기에.
왯더니 주005)
왯더니:
와 있더니(오-아 잇-더-니).
글로 주006)
글로:
그것으로.
일후믈 사니라】
곳과 菓實와 못과 과 주007)
과:
샘과.
欄干 階砌예 七寶로 미고【階砌 서미라 주008)
서미라:
섬돌이다.
鸞鳳이며 種種 새히 모다 넙놀며 주009)
넘놀며:
넘나들며 놀며.
【鸞 鳳  새라】

월인석보 2:28ㄱ

과 蓋
주010)
번개:
번은 불·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장엄 도구인 깃발이고 개는 일산이나 양산. 불상을 안치한 곳의 위에 드리운 장식품.
와 류 花香이 초 주011)
초:
갖추.
며 주012)
며:
가득하며.
八萬 四千 童女ㅣ 花香 잡고【童女는 아 겨지비라】 몬져 주013)
몬져:
먼저.
갯거늘 주014)
갯거늘:
가 있으므로.
밧긔 十萬 보옛 輦과 四兵이 다 자 왜시며 주015)
자 왜시며:
갖추와 있으며.
【四兵은 象兵과 馬兵과 車兵과 步兵괘니 車는 술위라 주016)
술위라:
수레이다.
八萬 四千 婇女와【婇女는 뮨 주017)
뮨:
잘 꾸민.
각시라】

월인석보 2:28ㄴ

臣下 갓히 주018)
갓히:
아내들이.
다 모다 夫人 侍衛 東山애 가 저긔 虛空애 기 八部도 조 주019)
조:
좇아.
가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마야부인이 남비니원에 감 1]
부인이 낳으실 달이 거의 다 되었으므로 왕께 여쭙기를 “동산을 구경하고 싶습니다” 하셨다. 왕이 남비니원을 꾸미라고 하시니【옛날 남비니라고 하는 처녀가 여기와 있었는데 그로 말미암아서 이렇게 이름 지은 것이다】 꽃과 과일과 못과 샘과 난간 계체에 칠보로 꾸미시고【‘계체’는 섬돌이다】 난과 봉이며, 가지가지 새들이 모이어 넘나들며 놀고【‘난’은 봉과 같은 새이다】 번(표를 한 기(旗))과 개(덮개)와 풍류와 꽃과 향이 갖추 가득하며, 팔만 사천 동녀가 꽃과 향을 잡고 【‘동녀’는 어린 여자 아이이다】 먼저가 있으므로, 밖에 십만 보배로 꾸민 연과 사병이 다 갖추 와 있으며【’사병’은 상병과 마병과 거병과 보병이다. ‘거’는 수레이다.】 팔만 사천 채녀【‘채녀’는 잘 꾸민 여자이다】 신하의 부인들이 다 모여 마야부인을 시위하여 동산에 가실 때에 허공에는 팔부도 가득히 좇아 갔다.
Ⓒ 역자 | 장세경 / 1992년 12월 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거어늘:거의이므로.
주002)
구야지다:구경하고 싶습니다.
주003)
남비니원:석존이 탄생한 곳.
주004)
이긔:여기에.
주005)
왯더니:와 있더니(오-아 잇-더-니).
주006)
글로:그것으로.
주007)
과:샘과.
주008)
서미라:섬돌이다.
주009)
넘놀며:넘나들며 놀며.
주010)
번개:번은 불·보살의 위덕을 표시하는 장엄 도구인 깃발이고 개는 일산이나 양산. 불상을 안치한 곳의 위에 드리운 장식품.
주011)
초:갖추.
주012)
며:가득하며.
주013)
몬져:먼저.
주014)
갯거늘:가 있으므로.
주015)
자 왜시며:갖추와 있으며.
주016)
술위라:수레이다.
주017)
뮨:잘 꾸민.
주018)
갓히:아내들이.
주019)
조:좇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