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
  • 서역구법과 도사의 불교 귀의
  • 서역구법과 도사의 불교 귀의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서역구법과 도사의 불교 귀의 4


[서역구법과 도사의 불교 귀의 4]

월인석보 2:68ㄴ

明帝  놀라샤 즉자히 주001)
즉자히:
곧.
그 두들게 가 절시니 두려 주002)
두려:
둥그런.
光明이 두듥 주003)
두듥:
둔덕.
우희 現시고 그 光明中에 세 모미 뵈여시 주004)
뵈여시:
보이시거늘.
明帝 깃그샤 주005)
깃그샤:
기뻐하시어.
그 우희 塔 셰시니라 舍利 나오신 여슷  마내【永平 열네찻  辛未라】 道士히 서레 주006)
서례:
설에.
님금

월인석보 2:69ㄱ

뵈라 주007)
뵈라:
뵈오려.
모다 왯다가 주008)
왯다가:
와 있다가.
서르 주009)
서르:
서로.
닐오 天子ㅣ 우리 道理란 리시고 주010)
리시고:
버리시고.
【天子 하 아리니 東土애셔 皇帝 天子ㅣ시다 니라】 먼 딋 주011)
먼 딋:
먼 데의.
胡敎 求시니 주012)
되니:
되이니, 오랑캐이니.
中國이 西域 사 ㅣ라 니라】
오 朝集을 因야 엳져 주013)
엳져:
여쭙다.
고【朝 아 님금 뵈씨오 集은 모

월인석보 2:69ㄴ

씨니
주014)
모씨니:
모이는 것이니.
朝集 님금 뵈려 모씨라】
表 지 엳니 그 表애 로【臣下ㅣ 님긔 논 주015)
논:
여쭙는, 사뢰는.
글와 주016)
글와:
글월을.
表ㅣ라 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서역구법과 도사의 불교 귀의 4]
명제가 깜짝 놀라시어 곧 그 둔덕에 가서 절하시니 둥그런 광명이 둔덕 위에 나타나시고 그 광명 중에 세 몸이 보이시므로 명제가 기뻐하시어 그 위에 탑을 세우셨다. 사리가 나오신 여섯해만에영평 십사년 신미이다】 도사들이 설에 임금 뵈러 모여 왔다가 서로 말하기를 “천자가 우리의 도리를 버리고【‘천자’는 하늘의 아들이니 중국에서 황제를 천자라고 한다】 먼 곳의 오랑캐 종교를 구하시니【‘’는
(오랑캐)
이니, 중국서역 사람을 되라고 한다】
오늘 조회 때 기회를 타 여쭙자”라고 하고【‘조’는 아침에 임금 뵙는 것이요, ‘집’은 모이는 것이니 ‘조집’은 임금을 뵈려고 모이는 것이다】 표를 지어 여쭈니, 그 표에서 말하기를【신하가 임금께 여쭙는 글월을 ‘표’라고 한다】
Ⓒ 역자 | 장세경 / 1992년 12월 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즉자히:곧.
주002)
두려:둥그런.
주003)
두듥:둔덕.
주004)
뵈여시:보이시거늘.
주005)
깃그샤:기뻐하시어.
주006)
서례:설에.
주007)
뵈라:뵈오려.
주008)
왯다가:와 있다가.
주009)
서르:서로.
주010)
리시고:버리시고.
주011)
먼 딋:먼 데의.
주012)
되니:되이니, 오랑캐이니.
주013)
엳져:여쭙다.
주014)
모씨니:모이는 것이니.
주015)
논:여쭙는, 사뢰는.
주016)
글와:글월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