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
  • 입태
  • 입태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입태 3


[입태 3]
性智 本來 가 주001)
가:
밝아.
微妙히 가 주002)
가:
맑아.
精커늘 ≪精은 섯근 주003)
섯근:
섞은.
것 업슬씨라≫ 거츤 주004)
거츤:
거친.
드트리 주005)
드트리:
티끌이.
믄득 주006)
믄득:
갑자기.
니러 주007)
니러:
일어.
어듭게  일후미 無明이니 無明은 고미 주008)
고미:
밝음이.
업슬씨라 無明體예  念 처 뮈유미 주009)
뮈유미:
움직임이.
일후미 行이니 ≪行 뮐씨라≫ 흐리워 주010)
흐리워:
흐리게 하여.
뮈우면 精을 일허 주011)
일허:
잃어.
아로미 주012)
아로미:
앞이.
나니 그럴 智 두르 주013)
두르:
돌이켜.
일후믈 識이라 니 ≪識 알씨라 ≫十二緣 中에 이 세히 주014)
세히:
셋이.
根本이 외오 나 아호 주015)
아호:
아홉은.
枝末이 외니 ≪根은 불휘오 本 미티오 주016)
미티오:
밑이요.
枝 가지오 末 그티라 주017)
그티라:
끝이다.
서르 주018)
서르:
서로.
因야 三世緣이 외

월인석보 2:21ㄴ

니라 ≪三世 過去와 現在와 未來왜니 過去는 디나건 주019)
디나건:
지난.
뉘오 주020)
뉘오:
누리(세상, 때)이고(뉘이-고).
現在 나타 잇 주021)
나타 잇:
나타나 있는(낱-아 잇-).
뉘오 未來 아니 왯 주022)
왯:
와 있는.
뉘라 ≫智 本來 아로미 업거늘 識 다로 주023)
다로:
탓으로.
얼구를 주024)
얼구를:
형체를, 낯을.
아라 妄心 주025)
망심:
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 미망(迷妄)한 마음.
이 외니 ≪妄心 거츤 미라≫ 名이라 니 六賊 주026)
육적:
눈, 귀, 코, 혀, 몸, 뜻의 6경을 말함. 이것이 3독을 일으켜 여러 가지 악업을 만듦. 또 육근의 애희(愛喜)를 말함.
의 主人이라 ≪六賊은 여슷 도기니 주027)
도기니:
도적이니.
六根을 니니라≫ 性이 本來 나미 업거늘 識 다로 얼구리 나 幻質이 외니 色이라 니 四陰의 브튼 히니 幻質 곡도 주028)
곡도:
꼭두각시.
 얼구리오 四陰은 受 想 行 識

월인석보 2:21ㄷ

이라 名色 주029)
명색:
명은 심적인 것, 색은 물질적인 것. 명이 모태에 잉태하려는 순간의 자리가 식. 그 이후 태내에 있는 동안 육근이 뚜렷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명색.
 識이 처 胎예 브터 凝滑 相이니 ≪凝은 얼읠씨라 주030)
얼윌씨라:
엉긴다는 것이다.
凝滑 六根이 니 주031)
니:
갖추어지니.
일후미 六入이라 ≪入 涉入호로 주032)
호로:
함으로(-오-ㅁ-로).
니 ≫⋘涉은 버믈씨오 주033)
버믈씨오:
걸린다는 것이고, 얽매인다는 것이고.
入 들씨라 ⋙≪根塵 주034)
근진:
근과 진. 진은 경(境)과 같으니 5근과 5경을 가리킴. 혹 6근, 6경이라고 함.
이 서르 對면 識이 나니 識이 根塵 브터 能入이 외니 根塵이 곧 所入 주035)
소입:
진리를 깨닫는 것. 사물을 이해하는 것. 근과 경이 서로 섭입해서 식이 생기는 것.
이라 이 十二 所入 브터 일훔 어드니라 ≫⋘能은 내 잘 씨오 所 날 對 境界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입태 3]
성지가 본래 밝아 미묘히 맑아 정하므로≪‘정’은 섞인 것이 없는 것이다(곧 순수하다)≫ 거친 티끝이 갑자기 일어나 어둡게 하므로 이름이 무명이니≪‘무명’은 밝음이 없는 것이다≫ 무명체에 한 염이 처음 움직임을 행이라 부르니≪‘행’은 움직이는 것이다≫ 흐리게 하여 움직이면 정함을 잃어 앎이 나므로 지를 돌이켜 이름을 식이라고 하니 ‘식’은 아는 것이다. 십이연 가운데 이 셋이 근과 본이 되고 나머지 아홉은 가지와 끝이 되니,≪‘근’은 뿌리이고, ‘본’은 밑이고, ‘지’는 가지이고, ‘말’은 끝이다.≫ 서로 인연이 되어 삼세연이 되었다. ‘삼세’는 과거와 현재와 미래이니, ‘과거’는 지나간 세상이오, ‘현재’는 나타나 있는 세상이요, 미래는 아직 오지 않은 세상이다. 지는 본래 앎이 없는데 식때문에 형체를 알아 망심이 되니≪‘망심’은 거친 마음이다≫ 이것을 명이라 하니 육적의 주인이다. ‘육적’은 여섯 가지 도적이니 육근을 말하는 것이다. 성이 본래 생겨남이 없는데 식 때문에 형체나 환질이 되니 이것을 색이라 하는데 사음에 딸린 땅이니, ‘환질’은 꼭두각시 같은 형체요, ‘사음’은 수·상·행·식이다. 명색은 식이 처음 태로부터 응활하는 상이니≪‘응’은 엉기는 것이다≫ 응활하므로 육근이 갖추어지니 이름이 육입이다. 입은 섭입함을 뜻하니, ⋘‘섭’은 걸린다는 뜻이요, 입은 드는 것이다.⋙ 근진이 서로 대하면 식이 나니 식이 근진을 따라 능입이 되니 근진이 곧 소입이다. 이 십이 소입을 따라 이름을 얻은 것이다. ⋘‘능’은 내가 잘한다는 것이요, ‘소’는 나를 대한 경계이다.⋙
Ⓒ 역자 | 장세경 / 1992년 12월 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밝아.
주002)
가:맑아.
주003)
섯근:섞은.
주004)
거츤:거친.
주005)
드트리:티끌이.
주006)
믄득:갑자기.
주007)
니러:일어.
주008)
고미:밝음이.
주009)
뮈유미:움직임이.
주010)
흐리워:흐리게 하여.
주011)
일허:잃어.
주012)
아로미:앞이.
주013)
두르:돌이켜.
주014)
세히:셋이.
주015)
아호:아홉은.
주016)
미티오:밑이요.
주017)
그티라:끝이다.
주018)
서르:서로.
주019)
디나건:지난.
주020)
뉘오:누리(세상, 때)이고(뉘이-고).
주021)
나타 잇:나타나 있는(낱-아 잇-).
주022)
왯:와 있는.
주023)
다로:탓으로.
주024)
얼구를:형체를, 낯을.
주025)
망심:허망하게 분별하는 마음. 미망(迷妄)한 마음.
주026)
육적:눈, 귀, 코, 혀, 몸, 뜻의 6경을 말함. 이것이 3독을 일으켜 여러 가지 악업을 만듦. 또 육근의 애희(愛喜)를 말함.
주027)
도기니:도적이니.
주028)
곡도:꼭두각시.
주029)
명색:명은 심적인 것, 색은 물질적인 것. 명이 모태에 잉태하려는 순간의 자리가 식. 그 이후 태내에 있는 동안 육근이 뚜렷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가 명색.
주030)
얼윌씨라:엉긴다는 것이다.
주031)
니:갖추어지니.
주032)
호로:함으로(-오-ㅁ-로).
주033)
버믈씨오:걸린다는 것이고, 얽매인다는 것이고.
주034)
근진:근과 진. 진은 경(境)과 같으니 5근과 5경을 가리킴. 혹 6근, 6경이라고 함.
주035)
소입:진리를 깨닫는 것. 사물을 이해하는 것. 근과 경이 서로 섭입해서 식이 생기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