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
  • 〈협주〉 앵무새의 효양행[본생담]
  • 앵무새의 효양행
메뉴닫기 메뉴열기

앵무새의 효양행


[앵무새의 효양행]
諸天 爲야 說法시며 十方애 現身 주001)
현신:
부처들이 가지가지의 모양으로 변하여 그 몸을 나타내는 것.
야【十方 東方 東南方 南方 西南方 西方 西北方 北方 東北方 우흐로 주002)
우흐로:
위로.
上方 아래로 下

월인석보 2:10ㄴ

方이라 現身 모 나토아 주003)
나토아:
나타내어.
뵈실씨라 주004)
뵈실씨라:
보이시는 것이다.
說法샤 運이 다라 주005)
다라:
다달아.
올【運은 時節이라   주006)
 :
하듯 한.
마리라】
려가아 부텨 외요리라 주007)
외요리라:
되겠다. (외-오-리-라).
시더라 그제 주008)
그제:
그때에.
六十六億 諸天이 모다 議論호 菩薩이 어느 나라해 리시게 려뇨 주009)
려뇨:
하려는고, 할 것인가.
摩竭國은 王이 正티 몯고

월인석보 2:11ㄱ

薩大國
은 父母 宗族이【宗族 아미라 주010)
아미라:
친척이다.
正티 몯고 和沙大國은 王이 威嚴이 업서  주011)
:
남의.
소내 주012)
소내:
손에.
쥐 주013)
쥐:
쥐여.
이시며 維那離國싸홈 주014)
싸홈:
싸움.
즐기고 조 주015)
조:
깨끗한.
뎍 주016)
뎍:
한 일.
업스며 此鏺樹國은 擧動이 妄量오 주017)
오:
되고.
시기 주018)
시기:
성질이.
麤率

월인석보 2:11ㄴ

니【麤率 듧 주019)
:
거드럭스러워, 경망스러워.
쳔쳔티 주020)
쳔쳔티:
천천하지.
몯씨라】
주021)
게:
거기에.
가 몯 나시리라  하 幢英이 菩薩 묻 주022)
묻:
묻되.
어누 주023)
어누:
어느.
나라해 가샤 나시리고 菩薩이 니샤 이제 釋種이  盛니 녀름 외오 주024)
녀름 외오:
농사가 잘되고.
快樂이 그지 업고 주025)
그지 업고:
한이 없고.
百姓도 만며 주026)
만며:
많으며.
有德고 釋種히 다 부텻 法을

월인석보 2:12ㄱ

울월며 주027)
울월며:
우럴며.
王도 어디시며 夫人도 어디시고 아래 주028)
아래:
옛날.
五百 世예도【世 뉘라 주029)
뉘라:
누(누리)이다(「ㅣ-」는 잡음씨 줄기).
菩薩母ㅣ 외시니 주030)
외시니:
되시니.
그 나라해 가 나리라【母는 어마니미라】
 衆生 發心이 니거 주031)
니거:
익어.
淸淨 法을 어루 주032)
이루:
가히, 능히.
호리어며 주033)
호리어며:
배울 것이며 (호-리-어-며).
【淸淨은 고 조씨라】 迦毗羅國閻浮

월인석보 2:12ㄴ

가온며 주034)
가온며:
가운데며.
家門ㅅ 中에 釋迦氏 第一이니 甘蔗氏ㅅ 子孫이며 淨飯王도 前生앳 因緣이 겨시며【녜 雪山애  鸚鵡ㅣ 이쇼 주035)
이쇼:
있으되(이시-오-).
어 주036)
어:
어머니, 부모.
눈 멀어든 주037)
눈 멀어든:
눈이 멀었는데 (눈-멀-어-든).
菓實 주038)
:
따아(-아. 「아」는 이음씨끝).
머기더니 그저긔 주039)
그저긔:
그때에(그-적-의).
받 님자히 주040)
받 님자히:
밭 임자가.
주041)
:
씨.
비 주042)
비:
뿌릴.
저긔 願호  주043)
:
모든 목숨 탄 것, 짐승.
과 어우러 머구리라 야 鸚鵡ㅣ 그 穀食을 주 주044)
주:
줏어.
어 머기거늘 받 님자히 怒

월인석보 2:13ㄱ

야 그믈로 자대 주045)
자대:
잡았는데.
鸚鵡ㅣ 닐오 주046)
닐오:
말하기를.
  디 주047)
  디:
남에게 줄 뜻이.
이실 가져가니 엇뎨 주048)
엇뎨:
어찌.
잡다 주049)
잡다:
잡느냐.
받 님자히 무로 주050)
눌:
누구를(누-를).
爲야 가져간다 對答호 눈먼 어 이받노라 주051)
이받노라:
공궤한다.(먹인다).
받 님자히 과야 도 孝道쎠 일록 後에 疑心 마오 주052)
마오:
말고.
가져가라 니 그 鸚鵡는 如來시고 받 님자 舍利弗 주053)
사리불:
부처의 제자 가운데 지혜가 제일임. 자기 수행에 정진하고 남을 교화하기에 노력함.
이오 눈먼 어 淨飯王摩耶夫人이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앵무새의 효양행]
제천을 위하여 설법하시며, 시방에 현신하여【‘시방’은 동방, 동남방, 남방, 서남방, 서방, 서북방, 북방, 동북방과 윗쪽으로 상방, 아랫쪽으로 하방이다. ‘현신’은 몸을 나타내어 보이시는 것이다】 설법하시기를 “운이 다달아 오므로【‘운’은 시절이라고 하는 말이다】 내려가 부처가 되리라” 하시었다. 그때 육십 육억 제천이 모이어 보살이 어느 나라에 내려 가시게 할 것인가를 의론하였다.
마갈국은 왕이 바르지 못하고, 구살대국은 부모와 종족이【‘종족’은 친척이다】 바르지 못하고, 화사대국은 왕이 위엄이 없어 남의 손에 쥐여 있으며, 유나리국은 싸움을 즐기고 깨끗한 행적이 없으며, 차발수국은 거동이 허황되고 분별이 없고 성질이 거칠고, 진중하지 못하니【‘추솔’은 거들거려 찬찬하지 못한 것이다】 거기에 나지 못할 것이다. 한 하늘의, 당영이 보살께 묻기를 “어느 나라에 가셔서 나시겠습니까?” 보살이 말씀하기를 “이제 석종이 가장 번성하니, 농사가 잘되고, 쾌락이 끝이 없고, 백성도 많으며, 덕이 있고, 석종들이 다 부처의 법을 울월으며, 왕도 어질고, 부인도 어질고, 지난 옛날 오백세에도【‘세’는 누리이다】 보살의 어머니가 되시니 그 나라에 가서 나겠다(태어나겠다).【‘모’는 어머님이다】 또 중생의 발심이 익어 맑고 깨끗한 법을 능히 배울 것이며【‘청정’은 맑고 깨끗한 것이다】 가비라국 염부제의 가운데나 집안 가운데에서 석가씨가 제일이니, 감자씨의 자손이며, 정반왕도 전세의 인연이 계시며【옛날 설산에 한 앵무가 있었는데 어버이가 다 눈이 멀었으므로 과실을 따서 먹이더니 그때에 한 밭임자가 씨를 뿌리며 원하기를 중생과 어울려 같이 먹겠다고 하였으므로 앵무가 그 곡식을 줏어 어버이를 먹이었는데, 밭임자가 노하여 그물을 쳐서 그 앵무를 잡으니 앵무가 말하기를 “남에게 줄 뜻이 있음을 알고 가져 갔는데 어째 잡는가?” 밭임자가 묻기를 “누구를 위하여 가져 갔느냐?” “(앵무가) 대답하기를 눈이 먼 어버이를 봉양하는 것이다.” 밭임자가 칭찬하면서 “짐승도 이토록 효도하는구나. 이제부터는 의심말고 가져가라”고 하니 그 앵무는 여래이시고, 밭임자는 사리불이고, 눈이 먼 어버이는 정반왕마야 부인이시다】
Ⓒ 역자 | 장세경 / 1992년 12월 5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현신:부처들이 가지가지의 모양으로 변하여 그 몸을 나타내는 것.
주002)
우흐로:위로.
주003)
나토아:나타내어.
주004)
뵈실씨라:보이시는 것이다.
주005)
다라:다달아.
주006)
 :하듯 한.
주007)
외요리라:되겠다. (외-오-리-라).
주008)
그제:그때에.
주009)
려뇨:하려는고, 할 것인가.
주010)
아미라:친척이다.
주011)
:남의.
주012)
소내:손에.
주013)
쥐:쥐여.
주014)
싸홈:싸움.
주015)
조:깨끗한.
주016)
뎍:한 일.
주017)
오:되고.
주018)
시기:성질이.
주019)
:거드럭스러워, 경망스러워.
주020)
쳔쳔티:천천하지.
주021)
게:거기에.
주022)
묻:묻되.
주023)
어누:어느.
주024)
녀름 외오:농사가 잘되고.
주025)
그지 업고:한이 없고.
주026)
만며:많으며.
주027)
울월며:우럴며.
주028)
아래:옛날.
주029)
뉘라:누(누리)이다(「ㅣ-」는 잡음씨 줄기).
주030)
외시니:되시니.
주031)
니거:익어.
주032)
이루:가히, 능히.
주033)
호리어며:배울 것이며 (호-리-어-며).
주034)
가온며:가운데며.
주035)
이쇼:있으되(이시-오-).
주036)
어:어머니, 부모.
주037)
눈 멀어든:눈이 멀었는데 (눈-멀-어-든).
주038)
:따아(-아. 「아」는 이음씨끝).
주039)
그저긔:그때에(그-적-의).
주040)
받 님자히:밭 임자가.
주041)
:씨.
주042)
비:뿌릴.
주043)
:모든 목숨 탄 것, 짐승.
주044)
주:줏어.
주045)
자대:잡았는데.
주046)
닐오:말하기를.
주047)
  디:남에게 줄 뜻이.
주048)
엇뎨:어찌.
주049)
잡다:잡느냐.
주050)
눌:누구를(누-를).
주051)
이받노라:공궤한다.(먹인다).
주052)
마오:말고.
주053)
사리불:부처의 제자 가운데 지혜가 제일임. 자기 수행에 정진하고 남을 교화하기에 노력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