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0


若能正心야 常生智慧야 觀照自心야 止惡行善면 是自開佛之知見이니 汝須念念에 開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3ㄴ

佛知見고 勿開衆生知見이어다 開佛知見은 卽是出世오 開衆生知見은 卽是世間이니 汝ㅣ 若但勞勞執念야 以爲功課者 何異犛牛의 愛尾리오 達이 曰호 若然者ㅣ면 但得解義고 不勞誦經耶ㅣ로소다 師ㅣ 曰샤 經有何過ㅣ며 豈障汝念이리오 只爲迷悟ㅣ 在人며 損益이 由己니 口誦心行면 卽是轉經이오 口誦心不行면 卽是被經轉이니라 聽吾偈라 曰샤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4ㄱ

 心迷면 法華ㅣ 轉이오 心悟면 轉法華ㅣ니 誦經야 久不眀면 與義로 作讐家리라 無念면 念卽正이오 有念면 念成邪ㅣ니 有無 俱不計면 長御白牛車ㅣ리라

다가 주001)
다가:
만일.
能히 을 正와 주002)
정(正)와:
바르게 하여. 정(正)+ㅣ(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智慧 녜 주003)
녜:
늘. 항상.
내야 주004)
내야:
내어. 내[生]+야.
주005)
제:
자기[自]. 스스로.
을 觀照야 惡을 그치고 善을 行면 이 제 부텻 주006)
부텻:
부처의.
知見을 여로미니 주007)
여로미니:
엶이니. 열[開]+오+ㅁ+이+니.
모로매 주008)
모로매:
모름지기.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4ㄴ

念에
주009)
염념(念念)에:
1념(念)이란 뜻. 극히 짧은 시간을 말함.
부텻 知見을 열오 주010)
열오:
열고. 열[開]+오.
衆生 知見을 여디 주011)
여디:
열지. 여(‘열-’[開]의 이형태)+디.
마롤디어다 주012)
마롤디어다:
말 것이다.
부텻 知見 여로 주013)
여로:
엶은. 열+오+ㅁ+.
곧 이 世예 나미오 주014)
나미오:
나옴이고.
衆生 知見 여로 곧 이 世間이니 네 다가 오직 勞勞히 주015)
노로(勞勞)히:
힘들여.
念을 자바 주016)
자바:
잡아[執].
功課 사면 주017)
사면:
삼으면. 삼[爲]+면.
엣뎨 주018)
엣뎨:
어찌[何].
犛牛 주019)
이우(犛牛):
소의 일종. 검정소. 설산(雪山)에 있다고 한다. 꼬리가 칼처럼 날카롭고 길다. 이우의 꼬리를 맛이 있다 하고 아끼며 핥다가 혀를 베여 피가 나 마침내 죽어간다.
리 주020)
리:
꼬리[尾].
 주021)
:
사랑함. [愛](‘’의 이형태)+오+ㅁ.
다리오 주022)
다리오:
다르겠는가. 다르리오. 다[異]+리+오.
【犛牛 南夷옛 주023)
남이(南夷)옛:
남이(南夷)의. 남이(南夷)에 있는. 남방(南方)의 오랑캐의. 남만(南蠻)의. 남이(南夷)+예+ㅅ.
즘이니 주024)
즘이니:
짐승이니.
리 호매 주025)
호매:
사랑함에. +오+ㅁ+애.
리 주026)
리:
걸려. 리+어.
因야 生 야리니라 주027)
야리니라:
헐어버린다. 야리++니+라.
達이 닐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5ㄱ

오 다가 그러면 오직  아로 주028)
아로:
앎을. 알+오+ㅁ+.
得고 잇비 주029)
잇비:
수고롭게. 잇+브+이.
經을 외오디 주030)
외오디:
외우지.
아니리로소다 주031)
아니리로소다:
아니할 것입니다.
師ㅣ 니샤 經이 므슴 주032)
므슴:
무슨.
허므리 주033)
허므리:
허물이. 허믈[過]+이.
이시며 주034)
이시며:
있으며. 이시+며.
엇뎨 주035)
엇뎨:
어찌[豈].
주036)
네:
너의.
念호 마리오 주037)
마리오:
막겠는가. 막[障]+리+오.
오직 몰롬과 주038)
몰롬과:
모름과. 몰ㄹ(‘모-’[迷]의 이형태)+오+ㅁ+과.
아롬괘 주039)
아롬괘:
앎이. 알[悟]+오+ㅁ+과+ㅣ.
사게 주040)
사게:
사람에게. 사+게.
이시며 주041)
이시며:
있으며.
損과 益괘 주042)
익(益)괘:
이익이. 익(益)+과+ㅣ.
모매 주043)
모매:
자기에게. 몸+애.
브트니 주044)
브트니:
의거하니. 븥[由]+으니.
이베 주045)
이베:
입에. 입[口]+에.
외오고 주046)
외오고:
외우고.
매 주047)
매:
마음에.
行면 곧 이 經 옮교미오 주048)
옮교미오:
옮김이고. 옮기[轉]+오+ㅁ+이+오.
이베 외오고 매 行티 주049)
행(行)티:
행하지.
몯면 곧 이 經의

육조법보단경언해 중:65ㄴ

옮교 닙니라 주050)
닙니라:
입는 것이다. 닙[被]++ㄴ#이+∅+라.
주051)
내:
나의.
드르라 주052)
드르라:
들으라. 들(‘듣-’의 이형태)+으라.
니샤 을 모면 주053)
모면:
모르면.
法華ㅣ 옮기고 주054)
옮기고:
옮겨지고.
을 알면 法華 옮기니 주055)
옮기니:
옮기니. 옮기++니.
經을 외와 주056)
외와:
외워.
오래 기디 주057)
기디:
밝히지. 밝[明]+이+디.
몯면 과 주058)
과:
뜻과 함께.
寃讎ㅅ 주059)
원수(寃讎)ㅅ:
원수(寃讎)의. 원수(寃讎)+ㅅ.
지비 주060)
지비:
집이. 집[家]+이.
외리라 주061)
외리라:
될 것이다.
念 업스면 念이 곧 正고 念 이시면 念이 邪ㅣ 이니 주062)
이니:
이루어지니. 이(‘일-’[成]의 이형태)++니.
有와 無와 다 혜아리디 아니면 白牛車 주063)
백우거(白牛車):
대백우거(大白牛車)와 같다. 이것은 삼거(三車) 중의 하나로 큰 백우(白牛)의 수레로서 불승(佛乘)을 상징한다.
기리 주064)
기리:
길이. 길[長]+이.
리라# 주065)
타리라:
탈 것이다. 타[御]+ㄹ#이+∅+라.

만일 능히 마음을 바르게 하여 지혜(智慧)를 늘 내어 자기 마음을 관조(觀照)하여 악을 그치고 선을 행하면 이것은 스스로 부처의 지견(知見)을 엶이니 네가 모름지기 염념(念念)에 부처의 지견을 열고 중생 지견을 열지 말 것이다. 부처의 지견 엶은 곧 이 세상에 나옴이고 중생 지견을 엶은 곧 이 세간(世間)이니 네가 만일 오직 노로(勞勞)히(힘들여) 염(念)을 잡아 공과(功課)를 삼으면 어찌 이우(犛牛)의 꼬리를 사랑함과 다르리오? 【이우는 남이(南夷)의 짐승이니 꼬리를 사랑함에 걸려 (그것으로) 인하여 생(生)을 헐어버린다.】 법달이 이르되 “만일 그러면 오직 뜻 앎을 득(得)하고 수고롭게 경(經)을 외우지 아니할 것입니다.” 대사가 이르시되 “경이 무슨 허물이 있으며 어찌 너의 염(念)함을 막겠는가? 오직 모름과 앎이 사람에게 있으며 손(損)과 익(益)이 자기에게 의거하니 입에 외우고 마음에 행하면 곧 이 경을 옮김이고 입에 외우고 마음에 행(行)하지 못하면 곧 이 경의 옮김을 입는 것이다. 내 게(偈)를 들으라.” 이르시되 “마음을 모르면 법화(法華)가 옮겨지고 마음을 알면 법화를 옮기니 경(經)을 외워 오래 밝히지 못하면 뜻과 더불어 원수(寃讐)의 집이 될 것이다. 염(念) 없으면 염이 곧 정(正)하고 염 있으면 염이 사(邪)가 이루어지니 유(有)와 무(無)를 다 헤아리지 아니하면 백우거(白牛車)를 길이 타리라(탈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6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일.
주002)
정(正)와:바르게 하여. 정(正)+ㅣ(사동접미사)+오(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3)
녜:늘. 항상.
주004)
내야:내어. 내[生]+야.
주005)
제:자기[自]. 스스로.
주006)
부텻:부처의.
주007)
여로미니:엶이니. 열[開]+오+ㅁ+이+니.
주008)
모로매:모름지기.
주009)
염념(念念)에:1념(念)이란 뜻. 극히 짧은 시간을 말함.
주010)
열오:열고. 열[開]+오.
주011)
여디:열지. 여(‘열-’[開]의 이형태)+디.
주012)
마롤디어다:말 것이다.
주013)
여로:엶은. 열+오+ㅁ+.
주014)
나미오:나옴이고.
주015)
노로(勞勞)히:힘들여.
주016)
자바:잡아[執].
주017)
사면:삼으면. 삼[爲]+면.
주018)
엣뎨:어찌[何].
주019)
이우(犛牛):소의 일종. 검정소. 설산(雪山)에 있다고 한다. 꼬리가 칼처럼 날카롭고 길다. 이우의 꼬리를 맛이 있다 하고 아끼며 핥다가 혀를 베여 피가 나 마침내 죽어간다.
주020)
리:꼬리[尾].
주021)
:사랑함. [愛](‘’의 이형태)+오+ㅁ.
주022)
다리오:다르겠는가. 다르리오. 다[異]+리+오.
주023)
남이(南夷)옛:남이(南夷)의. 남이(南夷)에 있는. 남방(南方)의 오랑캐의. 남만(南蠻)의. 남이(南夷)+예+ㅅ.
주024)
즘이니:짐승이니.
주025)
호매:사랑함에. +오+ㅁ+애.
주026)
리:걸려. 리+어.
주027)
야리니라:헐어버린다. 야리++니+라.
주028)
아로:앎을. 알+오+ㅁ+.
주029)
잇비:수고롭게. 잇+브+이.
주030)
외오디:외우지.
주031)
아니리로소다:아니할 것입니다.
주032)
므슴:무슨.
주033)
허므리:허물이. 허믈[過]+이.
주034)
이시며:있으며. 이시+며.
주035)
엇뎨:어찌[豈].
주036)
네:너의.
주037)
마리오:막겠는가. 막[障]+리+오.
주038)
몰롬과:모름과. 몰ㄹ(‘모-’[迷]의 이형태)+오+ㅁ+과.
주039)
아롬괘:앎이. 알[悟]+오+ㅁ+과+ㅣ.
주040)
사게:사람에게. 사+게.
주041)
이시며:있으며.
주042)
익(益)괘:이익이. 익(益)+과+ㅣ.
주043)
모매:자기에게. 몸+애.
주044)
브트니:의거하니. 븥[由]+으니.
주045)
이베:입에. 입[口]+에.
주046)
외오고:외우고.
주047)
매:마음에.
주048)
옮교미오:옮김이고. 옮기[轉]+오+ㅁ+이+오.
주049)
행(行)티:행하지.
주050)
닙니라:입는 것이다. 닙[被]++ㄴ#이+∅+라.
주051)
내:나의.
주052)
드르라:들으라. 들(‘듣-’의 이형태)+으라.
주053)
모면:모르면.
주054)
옮기고:옮겨지고.
주055)
옮기니:옮기니. 옮기++니.
주056)
외와:외워.
주057)
기디:밝히지. 밝[明]+이+디.
주058)
과:뜻과 함께.
주059)
원수(寃讎)ㅅ:원수(寃讎)의. 원수(寃讎)+ㅅ.
주060)
지비:집이. 집[家]+이.
주061)
외리라:될 것이다.
주062)
이니:이루어지니. 이(‘일-’[成]의 이형태)++니.
주063)
백우거(白牛車):대백우거(大白牛車)와 같다. 이것은 삼거(三車) 중의 하나로 큰 백우(白牛)의 수레로서 불승(佛乘)을 상징한다.
주064)
기리:길이. 길[長]+이.
주065)
타리라:탈 것이다. 타[御]+ㄹ#이+∅+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