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5


禮本折慢幢이어 頭奚不至地오 有我ㅣ면 罪卽生이니 亡功야 福無比리라 師ㅣ 又曰샤 汝名은 什麽오 曰호 法達이로다 師ㅣ 曰샤 汝名이 法達이나 何曾達法이리오 復說偈曰샤 汝今에 名法達이라 勤誦未休歇니 空誦면 但循聲이오 眀心야 號菩薩이니라 汝今에 有緣故로 吾今에 爲汝說노니 但信佛無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6ㄱ

言이면 蓮華ㅣ 從口發리라

禮 주001)
예(禮):
예(禮)는.
本來 慢幢을 것구미어 주002)
것구미어:
꺾음이거늘. [折]+우+ㅁ+이+어.
【慢幢은 慢心이 주003)
당(幢):
당(幢)과. 당(幢)+∅.
 주004)
:
같은. +ㄹ.
시라 주005)
시라:
것이다. +이+라.
머리 주006)
머리:
머리가. 머리+∅(zero 주격 조사).
엇뎨 주007)
엇뎨:
어찌[奚].
해 주008)
해:
땅에. ㅎ+애.
니르디 주009)
니르디:
이르지.
아니뇨 주010)
아니뇨:
아니하느냐. 아니++뇨.
我ㅣ 주011)
아(我)ㅣ:
아(我)가.
이시면 주012)
이시면:
있으면. 이시[有]+면.
주013)
죄(罪):
죄(罪)가. 죄(罪)+∅(zero 주격 조사).
나니 주014)
나니:
생기니. 나[生]++니.
功이 업서 주015)
업서:
없어야. 없[亡]+어.
福이 가빌 주016)
가빌:
비유할. 가비[比]+ㄹ.
주017)
:
데가. 곳이. +∅(zero 주격 조사).
업스리라 주018)
업스리라:
없을 것이다.
師ㅣ  니샤 주019)
네:
너의.
일후믄 주020)
일후믄:
이름은. 이름이.
므스고 주021)
므스고:
무엇이냐. 므슥[什麽]+오.
오 주022)
오:
아뢰되.
法達이로다 주023)
법달(法達)이로다:
법달입니다. 법달(法達)+이+로++다.
師ㅣ 니샤 네 일후미 法達이나 엇

육조법보단경언해 중:56ㄴ

간이나 주024)
간이나:
잠깐[曾]이나.
法을 알리오 주025)
알리오:
알겠느냐.
 偈 니샤 주026)
니샤:
이르시되. 니+시+아+.
주027)
네:
네가. 너+ㅣ(주격 조사).
이제 일후미 法達이라 브즈러니 주028)
브즈러니:
부지런히.
외와 주029)
외와:
외워. 외오+아.
쉬여 주030)
쉬여:
쉬어. 쉬+여.
歇티 주031)
헐(歇)티:
헐하지. 그치지. 헐(歇)+디.
아니니 주032)
아니니:
아니하니. 아니++니.
쇽졀업시 주033)
쇽졀업시:
공연히.
외오면 주034)
외오면:
외우면.
오직 소리 주035)
소리:
소리[聲]를.
조초미오 주036)
조초미오:
좇음이고. 좇[循]+오+ㅁ+이+오.
을 주037)
을:
마음을.
겨 주038)
겨:
밝혀야. [眀]+이(사동접미사)+어+(보조사, ‘강세’).
일후미 菩薩이니라 네 이제 緣이 잇논 주039)
잇논:
있는. 잇[有]++오+ㄴ.
젼로 주040)
젼로:
까닭에. 젼[故]+로.
내 이제 너 爲야 니노니 주041)
니노니:
말하니. 니[說]++오+니.
오직 부톄 주042)
부톄:
부처가. 부텨+ㅣ.
말 업슨 주043)
업슨:
없는.
주044)
:
것을. +ㄹ.
알면 蓮華ㅣ 주045)
연화(蓮華)ㅣ:
연화(蓮華)가. 연화(蓮華)+ㅣ.
이블 從야 주046)
이블 종(從)야:
입으로부터.
프리라 주047)
프리라:
필 것이다. 프[發]+리+라.

“예(禮)는 본래 만당(慢幢)을 꺾음이거늘 【만당은 만심(慢心)이 당(幢)과 같은 것이다.】 머리가 어째서 땅에 이르지 아니하느냐? 아(我)가 있으면 죄가 곧 생기니 공(功)이 없어야 복(福)이 비유할 곳이 없을 것이다.” 대사가 또 이르시되 “네 이름이 무엇이냐?” 아뢰되 “법달(法達)입니다.” 대사가 이르시되 “네 이름이 법달이나 어찌 잠깐이나 법(法)을 알겠느냐?” 또 게(偈)를 이르시되 “네가 이제 이름이 법달이다. 부지런히 외워 쉬어 그치지 아니하니 공연히 외우면 오직 소리를 좇음이고 마음을 밝혀야 이름이 보살(菩薩)이다. 네가 이제 연(緣)이 있는 까닭에 내가 이제 너를 위하여 말하니 오직 부처가 말 없는 것을 알면 연화(蓮華)가 입으로부터 필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예(禮):예(禮)는.
주002)
것구미어:꺾음이거늘. [折]+우+ㅁ+이+어.
주003)
당(幢):당(幢)과. 당(幢)+∅.
주004)
:같은. +ㄹ.
주005)
시라:것이다. +이+라.
주006)
머리:머리가. 머리+∅(zero 주격 조사).
주007)
엇뎨:어찌[奚].
주008)
해:땅에. ㅎ+애.
주009)
니르디:이르지.
주010)
아니뇨:아니하느냐. 아니++뇨.
주011)
아(我)ㅣ:아(我)가.
주012)
이시면:있으면. 이시[有]+면.
주013)
죄(罪):죄(罪)가. 죄(罪)+∅(zero 주격 조사).
주014)
나니:생기니. 나[生]++니.
주015)
업서:없어야. 없[亡]+어.
주016)
가빌:비유할. 가비[比]+ㄹ.
주017)
:데가. 곳이. +∅(zero 주격 조사).
주018)
업스리라:없을 것이다.
주019)
네:너의.
주020)
일후믄:이름은. 이름이.
주021)
므스고:무엇이냐. 므슥[什麽]+오.
주022)
오:아뢰되.
주023)
법달(法達)이로다:법달입니다. 법달(法達)+이+로++다.
주024)
간이나:잠깐[曾]이나.
주025)
알리오:알겠느냐.
주026)
니샤:이르시되. 니+시+아+.
주027)
네:네가. 너+ㅣ(주격 조사).
주028)
브즈러니:부지런히.
주029)
외와:외워. 외오+아.
주030)
쉬여:쉬어. 쉬+여.
주031)
헐(歇)티:헐하지. 그치지. 헐(歇)+디.
주032)
아니니:아니하니. 아니++니.
주033)
쇽졀업시:공연히.
주034)
외오면:외우면.
주035)
소리:소리[聲]를.
주036)
조초미오:좇음이고. 좇[循]+오+ㅁ+이+오.
주037)
을:마음을.
주038)
겨:밝혀야. [眀]+이(사동접미사)+어+(보조사, ‘강세’).
주039)
잇논:있는. 잇[有]++오+ㄴ.
주040)
젼로:까닭에. 젼[故]+로.
주041)
니노니:말하니. 니[說]++오+니.
주042)
부톄:부처가. 부텨+ㅣ.
주043)
업슨:없는.
주044)
:것을. +ㄹ.
주045)
연화(蓮華)ㅣ:연화(蓮華)가. 연화(蓮華)+ㅣ.
주046)
이블 종(從)야:입으로부터.
주047)
프리라:필 것이다. 프[發]+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