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4 교수좌선(敎授坐禪)
  • 교수좌선 2
메뉴닫기 메뉴열기

교수좌선 2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7ㄱ

若言着淨면 人性이 本淨커 由妄念故로 盖覆眞如니 但無妄想면 性自淸淨고 起心着淨면 却生淨妄리니 妄無處所야 着者ㅣ 是妄이오 淨無形相커 却立淨相야 言是工夫니 作此見者 障自本性야 却被淨縛이니라 善知識아 若修不動者 但見一切人時예 不見人之是非와 善惡괏 過患이 卽是自性不動이니라 善知識아 迷人은 身雖不動이나 開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7ㄴ

口에 便說他人의 是非長短好惡니 與道로 違背니라 若着心着淨면 却障道也ㅣ니라

다가 주001)
다가:
만일.
淨에 着다 주002)
착(着)다:
집착하다.
니면 주003)
니면:
이르면. 말하면.
人性이 本來 조커 주004)
조커:
깨끗하[淨]거늘. 좋+거.
妄念을 브튼 주005)
브튼:
말미암은. 븥[由]+은(관형사형어미).
젼로 주006)
젼로:
까닭으로.
眞如 두프니 주007)
두프니:
덮으니. 둪[覆]+으니(연결어미).
오직 妄想이 업스면 性이 주008)
제:
스스로. 자기의.
淸淨고  주009)
:
마음.
니와다 주010)
니와다:
일으키어.
淨에 着면 도혀 주011)
도혀:
도리어.
조 妄이 나리니 주012)
나리니:
날 것이니. 생길 것이니. 나(어간)+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ㅣ(계사)+니(연결어미).
妄이 處所ㅣ 업서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8ㄱ

着호미 이 妄이오 淨이 얼구리 주013)
얼구리:
형상(形相)이. 얼굴+이.
※ 중세국어에서 ‘형상(形相), 형체(形體)’를 뜻하는 ‘얼굴’이 현대국어로 오면서 ‘안면, 낯’의 의미로 바뀌었다.
업거 도혀 조 주014)
조:
깨끗한.
相을 셰여 주015)
셰여:
세워.
주016)
이:
이것.
工夫ㅣ라 주017)
공부(工夫)ㅣ라:
공부라고. 공부(工夫)+ㅣ+라.
니니 주018)
니니:
이르니. 말하니.
이 見 짓닌 주019)
짓닌:
짓는 것은. 짓++ㄴ#이+ㄴ(보조사, ‘주제’)
제 本性을 리와 주020)
리와:
가려. 리오[障]+아(연결어미).
도혀 조호 주021)
조호:
깨끗함의. 좋+오+ㅁ+(속격 조사).
요 주022)
요:
매임을.
닙니라 주023)
닙니라:
입는 것이다.
善知識아 다가 不動을 닷닌 주024)
닷닌:
닦는 것은. 닷(‘’의 종성 ‘ㄱ’이 ‘ㄴ’ 앞에서 탈락)++ㄴ#이+ㄴ(보조사, ‘주제’).
오직 一切 사 볼 주025)
:
때에. [時]+의(처격 조사).
사 是非와 善惡괏 허므를 보디 아니호미 곧 이 自性不動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8ㄴ

니라 善知識아 迷人 주026)
미인(迷人):
미혹한 사람.
 모미 비록 動티 주027)
동(動)티:
움직이지. 동[動]+디.
아니나 입 여로매 주028)
여로매:
엶에. 열[開]+오+ㅁ+애.
믄득 주029)
뎌:
저[他]. 그.
사 주030)
사:
사람의.
올며 외며 길며 뎌르며 됴며 구주믈 주031)
구주믈:
나쁨을. 궂[惡]+우+ㅁ+을.
니니 道와 어긔여 주032)
어긔여:
어기어. 어긔[違]+여.
背叛니라 주033)
배반(背叛)니라:
배반하는 것이다. 배반(背叛)++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ㅣ(계사)+라(종결어미).
다가 매 着며 조호매 주034)
조호매:
깨끗함에.
着면 도혀 道 마고미니라 주035)
마고미니라:
막음이다. 막+오+ㅁ+이+니(선어말어미, ‘객관적 확인’)+라(종결어미).

만일 정(淨)에 집착하다고 말하면 인성(人性)이 본래 깨끗하거늘 망념(妄念)에 말미암은 까닭에 진여를 덮으니 오직 망상이 없으면 성(性)이 스스로 청정하고, 마음 일으키어 정(淨)에 집착하면 도리어 깨끗한 망(妄)이 날 것이니, 망이 처소(處所)가 없어 집착함이 이 망이고, 정(淨)이 형상이 없거늘 도리어 깨끗한 상(相)을 세워 이것을 공부(工夫)라 이르니, 이 견(見) 짓는 것은 자기 본성을 가리어 도리어 깨끗함의 매임을 입는 것이다. 선지식아! 만일 부동(不動)을 닦는 것은 오직 일체의 사람을 볼 때에 사람의 시비(是非)와 선악의 허물을 보지 아니함이 곧 자성부동(自性不動)이다. 선지식아! 미혹한 사람은 몸이 비록 동(動)하지 아니하나 입 엶에 문득 저 사람의 옳으며 그르며 길며 짧으며 좋으며 나쁨을 이르니, 도(道)와 어기어 배반(背叛)하는 것이다. 만일 마음에 집착하며 깨끗함에 집착하면 도리어 도를 막음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일.
주002)
착(着)다:집착하다.
주003)
니면:이르면. 말하면.
주004)
조커:깨끗하[淨]거늘. 좋+거.
주005)
브튼:말미암은. 븥[由]+은(관형사형어미).
주006)
젼로:까닭으로.
주007)
두프니:덮으니. 둪[覆]+으니(연결어미).
주008)
제:스스로. 자기의.
주009)
:마음.
주010)
니와다:일으키어.
주011)
도혀:도리어.
주012)
나리니:날 것이니. 생길 것이니. 나(어간)+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ㅣ(계사)+니(연결어미).
주013)
얼구리:형상(形相)이. 얼굴+이.
※ 중세국어에서 ‘형상(形相), 형체(形體)’를 뜻하는 ‘얼굴’이 현대국어로 오면서 ‘안면, 낯’의 의미로 바뀌었다.
주014)
조:깨끗한.
주015)
셰여:세워.
주016)
이:이것.
주017)
공부(工夫)ㅣ라:공부라고. 공부(工夫)+ㅣ+라.
주018)
니니:이르니. 말하니.
주019)
짓닌:짓는 것은. 짓++ㄴ#이+ㄴ(보조사, ‘주제’)
주020)
리와:가려. 리오[障]+아(연결어미).
주021)
조호:깨끗함의. 좋+오+ㅁ+(속격 조사).
주022)
요:매임을.
주023)
닙니라:입는 것이다.
주024)
닷닌:닦는 것은. 닷(‘’의 종성 ‘ㄱ’이 ‘ㄴ’ 앞에서 탈락)++ㄴ#이+ㄴ(보조사, ‘주제’).
주025)
:때에. [時]+의(처격 조사).
주026)
미인(迷人):미혹한 사람.
주027)
동(動)티:움직이지. 동[動]+디.
주028)
여로매:엶에. 열[開]+오+ㅁ+애.
주029)
뎌:저[他]. 그.
주030)
사:사람의.
주031)
구주믈:나쁨을. 궂[惡]+우+ㅁ+을.
주032)
어긔여:어기어. 어긔[違]+여.
주033)
배반(背叛)니라:배반하는 것이다. 배반(背叛)++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ㅣ(계사)+라(종결어미).
주034)
조호매:깨끗함에.
주035)
마고미니라:막음이다. 막+오+ㅁ+이+니(선어말어미, ‘객관적 확인’)+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