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2
  •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2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2]
 自在니 無學羅漢 주001)
나한:
아라한.
이오 學無學 小聲聞이니 부텻 敎化 닙 제 究竟 주002)
구경:
최상. 필경. 구극.
호라 야 見을 잔쳐 주003)
잔쳐:
〈화를〉 풀어. 가라앉혀. 「잔치/자치」.
寂에 갯다가 이제 비록 涅槃 닐어도 眞實ㅅ 滅度ㅣ 아

월인석보 12:19ㄱ

니라 샤 듣 疑惑 니라 ≪方便品 世尊 주004)
게:
가타. 산문체로 된 경전의 1절이나, 총결한 끝에 아름다운 글귀로써 묘한 뜻을 읊은 운문.
니샤 주005)
니샤:
이르시되.
내 方便을 야 苦 다 주006)
다:
다할. 「다-」.
道 닐어 주007)
닐어:
일러.
涅槃 뵈요니 주008)
뵈요니:
보이니.
내 비록 涅槃 닐어도 眞實ㅅ 滅度ㅣ 아니라 시니라 ≫】
됴실쎠 주009)
됴실쎠:
좋으시도다. 좋으시구나. 「둏-+으시+(으)ㄹ쎠」. 「-을쎠」는 느낌을 나타내는 서술법 씨끝.
世尊 주010)
-하:
-이시여. 「-하」는 아주높임의 부름토씨.
 주011)
-:
-하건대.
四衆 爲샤 그 因緣을 니샤 疑悔 여희에 쇼셔 주012)
-쇼셔:
- 하소서.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2]
【마음이 자재한 이는 무학의 아라한이고, 학무학은 소성문이니, 옛적에 부처님의 교화를 입사와 스스로가 구경했다고 하여 「견」을 가라앉혀 「적」에 갔다가 지금 비록 열반을 일러도 진실한 멸도가 아니라 하심을 듣자오므로 의혹을 한 것이다.≪방편품〈에 있는〉 세존에 이르시되, “내가 방편을 하여(써서) 「고」〈가〉 다할 「도」를 일러 열반을 보이니, 내가 비록 열반을 일러도 진실한 멸도가 아니 라.”〈고〉 하신 것이다.≫】
Ⓒ 역자 | 김영배 / 199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한:아라한.
주002)
구경:최상. 필경. 구극.
주003)
잔쳐:〈화를〉 풀어. 가라앉혀. 「잔치/자치」.
주004)
게:가타. 산문체로 된 경전의 1절이나, 총결한 끝에 아름다운 글귀로써 묘한 뜻을 읊은 운문.
주005)
니샤:이르시되.
주006)
다:다할. 「다-」.
주007)
닐어:일러.
주008)
뵈요니:보이니.
주009)
됴실쎠:좋으시도다. 좋으시구나. 「둏-+으시+(으)ㄹ쎠」. 「-을쎠」는 느낌을 나타내는 서술법 씨끝.
주010)
-하:-이시여. 「-하」는 아주높임의 부름토씨.
주011)
-:-하건대.
주012)
-쇼셔:- 하소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