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2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2
  •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1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1]
그 舍利弗부텨 주001)
:
사뢰되. 「ㅸ+오/우」.
世尊하 나 외야 주002)
외야:
다시.
疑悔 주003)
의회:
의심과 뉘우침.
업서 親히 부텻 알 阿耨多羅三藐三菩提記

월인석보 12:18ㄱ

 受니와 주004)
-니와:
-하〈옵〉거니와. 「-+ㅸ+아니와」.
이 千 二百  自在 사히 아래 주005)
아래:
예전에.
學地예 이 저긔 주006)
이 저긔:
있을 적에.
學地 호 주007)
호:
배우는.
地位라】
부톄 녜 敎化야 니샤 주008)
내:
나의 「내」 평성 「나」의 매김말.
法이 能히 生老病死 여희여 究竟涅槃 주009)
구경열반:
가장 높은 경지의 열반.
리라 실 주010)
학:
진리를 탐구하여 번뇌를 끊어 버리는 것.
無學 주011)
무학:
‘학’이 끝까지 가서 번뇌가 완전히 없어져 다시 더 수학(修學)할 것이 없는 것.
사도 各各

월인석보 12:18ㄴ

주012)
제:
스스로가. 「:제」 상성 「저」의 임자말.
마 我見과 有無見 等을 여희여 涅槃 得호라 주013)
-호라:
-하다. 1인칭 활용.
더니 이제 世尊 알 몯 듣던 주014)
듣던:
듣〈잡〉던. 「-」은 드러나지 않은 부림말 ‘세존의 가르침’을 높이기 위해서 쓰임.
이 듣고 다 疑惑애 러디옛니 주015)
러디옛니:
떨어 졌으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의 화택삼거유 설법 1]
그때에 사리불부처님께 사뢰되,
세존이시여, 나는(저는) 다시 의회가 없어 친히 부처님 앞에서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수〉기를 받자옵거니와 이 천이백 〈명의〉 마음〈이〉 자재한 사람들이 예전에 학지에 있을 적에【「학지」는 배우는 지위이다.】
부처님이 늘 교화하여 이로시되,
‘내 「법」이 능히 생·노·병·사를 여의어 구경열반하리라.’
고 하시므로 이 무학 사람도 각각 스스로가 이미 아견과 유·무〈의 소〉견 등을 여의어 열반을 얻었다 하더니 이제 세존 앞에서 듣잡지 못하던 일을 듣잡고 다 의혹에 떨어졌으니,
Ⓒ 역자 | 김영배 / 1999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뢰되. 「ㅸ+오/우」.
주002)
외야:다시.
주003)
의회:의심과 뉘우침.
주004)
-니와:-하〈옵〉거니와. 「-+ㅸ+아니와」.
주005)
아래:예전에.
주006)
이 저긔:있을 적에.
주007)
호:배우는.
주008)
내:나의 「내」 평성 「나」의 매김말.
주009)
구경열반:가장 높은 경지의 열반.
주010)
학:진리를 탐구하여 번뇌를 끊어 버리는 것.
주011)
무학:‘학’이 끝까지 가서 번뇌가 완전히 없어져 다시 더 수학(修學)할 것이 없는 것.
주012)
제:스스로가. 「:제」 상성 「저」의 임자말.
주013)
-호라:-하다. 1인칭 활용.
주014)
듣던:듣〈잡〉던. 「-」은 드러나지 않은 부림말 ‘세존의 가르침’을 높이기 위해서 쓰임.
주015)
러디옛니:떨어 졌으니.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