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수(獸)
  • 큰 사슴[麂]
메뉴닫기 메뉴열기

큰 사슴[麂]


주001)
궤(麂)
이 시는 두보가 766년(大曆 元年, 55세) 기주(夔州, 사천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작자는 의관을 정제하고 나쁜 짓을 일삼는 무리를, 예부터 요귀를 물리친다는 ‘뿔 없는 사슴[麂]’을 보면서 읊은 것이다.
【麂音几니 大麋也ㅣ라】

(큰 사슴)
【궤(麂)는 음(音)이 궤(几)이니 큰 사슴이다.】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36ㄱ

永與清溪別 蒙將玉饌俱

기리  시내와 다 주002)
다
함께.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우루미 져기 아와 다 도다(號啼略與嬰兒同)’ 구절 참조.
여희니 주003)
여희니
여의니. 여희-+니. ‘여희다’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제  여희여슈믈 놋다(聰明憶別離)’ 구절 참조.
가져다가 玉 차반애   니벗도다

【한자음】 영여청계별 몽장옥찬구
【언해역】 영원히 맑은 시내를 여의니, 가져다가 옥같은 음식에 함께 씀을 입어 있도다!

無才逐仙隱 不敢恨庖廚【九華隱翁이 與白麂로 同隱니라】

仙人을 조차 隱居홀 죄 업스니 구틔여 주004)
구틔여
구태여. ‘구틔여’에 대해서는 「고도호총마행(高都護驄馬行)」의 ‘長安앳 健壯 아도 구틔여 디 몯니(長安壯兒不敢騎)’ 구절 참조.
브베 주005)
브베
부엌에. 브+에. ‘브’에 대해서는 「계(雞)」의 ‘브베 몌오 너희 무를 얌직 도다(充庖爾輩堪)’ 구절 참조.
드로 뉘디 주006)
뉘디
뉘우치지. 뉘읏-+디. ‘’은 ‘읏’의 오자. 〈중간본〉에는 ‘늦읏디’로 교정되어 있다.
마롤디니라

【한자음】 무재축선은 불감한포주【구화은옹(九華隱翁)이 흰 사슴과 함께 숨어 살았다.】
【언해역】 선인을 좇아 은거할 재주가 없으니, 구태여 부엌에 들어감을 뉘우치지 말 것이다.
■〈중간본〉은 글자가 흐려 〈초간본〉과 다를 가능성이 있는 글자를 제대로 판독할 수 없다.

亂世輕全物 微聲及禍樞【言聞鳴聲而獵取也ㅣ라】

어즈러운 주007)
어즈러운
어지러운. 어즈럽-+ㄴ. 참조. 어즐다. ‘어즈럽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어즈러운 시르믈 혀 업게 호 어름 녹 다(撥煩去冰釋)’ 구절 참조.
世예 物 오올와 주008)
오올와
온전히 하여. 오올-+오+아. ¶이 호 과뎌 아니니  사괴요 오올에 니라〈번소 3:36ㄴ〉. 이 이제 다도록 힘 닙어 시러곰 그 집을 오올완노소라〈소학5:73ㄴ〉.
두 가야이 주009)
가야이
가볍게. 가얍-+이. ‘가얍다, 가야이’에 대해서는 「房兵曹胡馬詩」의 ‘미 드렛  네 바리 가얍도다(風入四蹄輕)’ 구절 참조.
너기니 주010)
너기니
너기니. 너기-++니. ‘너기다’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重히 너기 바 王者의 祥瑞니(所貴王者瑞)’ 구절 참조.
져고맛 주011)
져고맛
작은. 젹-+오+마+ㅅ. ¶져고맛 :  諸佛을 보게 샤미 이 져고맛 因緣이 아니시니(及見諸佛 此非小緣)〈석상 13:26ㄱ〉. 져고맛 驛엔 곳다온 수리 보랍고(小驛香醪嫩)〈두시 11:31ㄴ〉. 죠고맛 :  道士ㅣ 죠고맛 罪 지늘 그 王이 東山애 드려 간 가도라 고(即羅睺羅 ~ 爲其將彼仙人入苑住六日故)〈석상 3:37ㄱ〉. 죠고맛 모 사라이슈믈 오히려 붓그리노니(尙愧微軀在)〈두시 23:56ㄴ〉.
소리 禍樞 주012)
화추(禍樞)
‘화’가 한 가운데 미침을 뜻함.
밋도다 주013)
밋도다
미치도다. 및-+도+다. ‘및다’에 대해서는 「견흥이수(遣興二首)」의 ‘미처 라 님 데 可도다(追風可君意)’ 구절 참조.

【한자음】 난세경전물 미성급화추【울음 소리를 듣고 사냥하여 잡았음을 말한다.】
【언해역】 어지러운 세상에 사물을 온전히 하여 둠을 가벼이 여기니, 작은 소리의 화가 한 가운데에 미치도다!

衣冠兼盜賊 饕餮用斯須【饕 貪財이오 餮은 貪食이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衣冠고 盜賊을 兼야 니 饕餮 주014)
도철(饕餮)
원주(原註)에 도(饕)는 재물을 탐하는 것이고, 철(餮)은 음식을 탐하는 것이라 되어 있다.
호 져근 더데 주015)
더데
사이에. 덛+에. ¶밥 머글 덛만 너기더니(謂如食頃더니)〈법화 1:106ㄴ〉. 시혹 게을우믈 내야 恒常애 後 라다가 아니 한 더데 목수믈 일흐면(或生懈怠야 而恒常望後다가 須臾에 失命면)〈목우자:43ㄴ〉.
 놋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의관겸도적 도철용사수【도(饕)는 재물을 탐하는 것이고, 철(餮)은 음식을 탐하는 것이다.】
【언해역】 의관을 갖추고 도적을 겸하여 하니, 도철(饕餮)함을 작은 사이에 쓰는구나!
■〈중간본〉은 글자가 흐려 〈초간본〉과 다를 가능성이 있는 글자를 제대로 판독할 수 없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궤(麂) : 이 시는 두보가 766년(大曆 元年, 55세) 기주(夔州, 사천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작자는 의관을 정제하고 나쁜 짓을 일삼는 무리를, 예부터 요귀를 물리친다는 ‘뿔 없는 사슴[麂]’을 보면서 읊은 것이다.
주002)
다 : 함께.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우루미 져기 아와 다 도다(號啼略與嬰兒同)’ 구절 참조.
주003)
여희니 : 여의니. 여희-+니. ‘여희다’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제  여희여슈믈 놋다(聰明憶別離)’ 구절 참조.
주004)
구틔여 : 구태여. ‘구틔여’에 대해서는 「고도호총마행(高都護驄馬行)」의 ‘長安앳 健壯 아도 구틔여 디 몯니(長安壯兒不敢騎)’ 구절 참조.
주005)
브베 : 부엌에. 브+에. ‘브’에 대해서는 「계(雞)」의 ‘브베 몌오 너희 무를 얌직 도다(充庖爾輩堪)’ 구절 참조.
주006)
뉘디 : 뉘우치지. 뉘읏-+디. ‘’은 ‘읏’의 오자. 〈중간본〉에는 ‘늦읏디’로 교정되어 있다.
주007)
어즈러운 : 어지러운. 어즈럽-+ㄴ. 참조. 어즐다. ‘어즈럽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어즈러운 시르믈 혀 업게 호 어름 녹 다(撥煩去冰釋)’ 구절 참조.
주008)
오올와 : 온전히 하여. 오올-+오+아. ¶이 호 과뎌 아니니  사괴요 오올에 니라〈번소 3:36ㄴ〉. 이 이제 다도록 힘 닙어 시러곰 그 집을 오올완노소라〈소학5:73ㄴ〉.
주009)
가야이 : 가볍게. 가얍-+이. ‘가얍다, 가야이’에 대해서는 「房兵曹胡馬詩」의 ‘미 드렛  네 바리 가얍도다(風入四蹄輕)’ 구절 참조.
주010)
너기니 : 너기니. 너기-++니. ‘너기다’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重히 너기 바 王者의 祥瑞니(所貴王者瑞)’ 구절 참조.
주011)
져고맛 : 작은. 젹-+오+마+ㅅ. ¶져고맛 :  諸佛을 보게 샤미 이 져고맛 因緣이 아니시니(及見諸佛 此非小緣)〈석상 13:26ㄱ〉. 져고맛 驛엔 곳다온 수리 보랍고(小驛香醪嫩)〈두시 11:31ㄴ〉. 죠고맛 :  道士ㅣ 죠고맛 罪 지늘 그 王이 東山애 드려 간 가도라 고(即羅睺羅 ~ 爲其將彼仙人入苑住六日故)〈석상 3:37ㄱ〉. 죠고맛 모 사라이슈믈 오히려 붓그리노니(尙愧微軀在)〈두시 23:56ㄴ〉.
주012)
화추(禍樞) : ‘화’가 한 가운데 미침을 뜻함.
주013)
밋도다 : 미치도다. 및-+도+다. ‘및다’에 대해서는 「견흥이수(遣興二首)」의 ‘미처 라 님 데 可도다(追風可君意)’ 구절 참조.
주014)
도철(饕餮) : 원주(原註)에 도(饕)는 재물을 탐하는 것이고, 철(餮)은 음식을 탐하는 것이라 되어 있다.
주015)
더데 : 사이에. 덛+에. ¶밥 머글 덛만 너기더니(謂如食頃더니)〈법화 1:106ㄴ〉. 시혹 게을우믈 내야 恒常애 後 라다가 아니 한 더데 목수믈 일흐면(或生懈怠야 而恒常望後다가 須臾에 失命면)〈목우자:43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