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수(獸)
  • 원숭이[猿]
메뉴닫기 메뉴열기

원숭이[猿]


주001)
원(猿)
이 시는 두보가 766년(大曆 元年, 55세) 기주(夔州, 사천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절벽에 붙어 사는 원숭이들이 기회를 잘 엿보는 슬기가 있음을 칭찬하고, 아슬아슬하게 나무를 타면서도, 가족들이 서로 떨어지지 아니함을 자신의 신세와 비교하여 읊은 것이다.

(원숭이)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36ㄴ

裊裊啼虛壁 蕭蕭掛冷枝【裊裊 與嫋嫋로 同니 聲長之皃ㅣ라】

裊裊 주002)
요뇨(裊裊)
나뭇가지가 바람에 간들거리는 모양.
주003)
빈. 뷔-+ㄴ. ‘뷔다(비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담 東녀긔 뷘 히 잇니(牆東有隙地)’ 구절 참조.
石壁에셔 울오 蕭蕭히 주004)
소소(蕭蕭)히
쓸쓸하게.
서늘 나못 가지예 거럿도다 주005)
거럿도다
걸려 있도다. 걸-+어#잇-+도+다. ‘걸다’는 자타동 양용동사. ¶걸다(타동사) : 다가 有에 자며 無에 걸면 매 邊見에 가리니(如其執有며 滯無면 則終歸邊見리니)〈영가 하:84ㄴ〉. 徐君 주 갈 걸오져 고(欲掛留徐劍)〈두시 24:46ㄱ〉. 걸다(자동사) : 마매 그므레 걸가 저흐니라(終竟畏羅罟)〈두시 3:58ㄱ〉. 걸이다 : 걸이며 딘 긴 무 시며(拔滯溺之沈流시며)〈법화 서:16ㄱ〉. 노닌 긴 수픐 그테 걸옛고(高者掛罥長林梢)〈두시 6:42ㄱ〉. 걸위다 : 마  업서 듣 걸위디 몯 씨라〈월석 1:석상서8ㄴ〉. 므슷 일로 얼구릐 브류메 걸위옛가니오(何事拘形役)〈두시 10:29ㄱ〉. 걸다 : 니논 고대 맛호 조차 空애 걸디 아니니(說處에 隨宜야 不滯空니)〈금삼 3:4ㄴ〉. 걸이다 : 祖師宗애 無心 道애 契合 사 定과 慧와의 걸이 닙디 아니니라(祖宗無心合道者 不爲定慧의 所拘也ㅣ니라)〈법집 89ㄴ〉. 걸티다 : 그 주근 사   의 서르 다혀 걸티고〈구간 1:71ㄴ〉.

【한자음】 요뇨제허벽 소소괘랭지【요뇨(裊裊)는 요뇨(嫋嫋)와 같으니, 소리가 긴 모습이다.】
【언해역】 요뇨히 빈 석벽에서 울고, 소소히 서늘한 나뭇 가지에 걸려 있도다!
■〈중간본〉은, 글자가 흐려 글자를 제대로 판독할 수 없다.

艱難人不免 隱見爾如知【言猿之隱茂林이 如知隱現之機也ㅣ라】

어려우믈 사 免티 몯거늘 수므며 나며 호 주006)
수므며 나며 호
숨으며 나타나며 함을. ‘[[[숨-]으며 [나-]며] -]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너 아 도다

【한자음】 간난인불견 은견이여지【원숭이가 무성한 숲에 숨는 것이, 숨고 나타남의 기미를 아는 것과 같음을 말한 것이다.】
【언해역】 어려움을 사람은 면하지 못하거늘, 숨으며 나타남을 너는 아는 듯하도다!
■〈중간본〉은, 글자가 흐려 글자를 제대로 판독할 수 없다.

慣習元從衆 全生或用奇

닉수거 본록 주007)
본록
본디부터. 본ᄃᆡ+로+ㄱ. ‘ㄱ’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圖로 님금 받곡 鳳로 큰 道理 드리웍(圖以奉至尊 鳳以垂鴻猷)’ 구절 참조. ¶西江 본록 蜀으로 나려가니(西江元下蜀)〈두시 11:1〉. 緜谷 본록 漢애 고(緜谷元通漢)〈두시 23:50〉.
무를 좃고 목숨 오올오란 주008)
오올오란
온전히함은. 오올-+오+ㅁ+란. ¶微 班列에 목수믈 오올와 이슈라(微班性命全)〈두시 20:18〉. 시러곰 그 집을 오올완노소라(得全其家云)〈선소5:73〉.
시혹 奇異호 놋다

【한자음】 관습원종중 전생혹용기
【언해역】 익숙하여 본래 무리를 좇고, 목숨 완전함은 혹 기이함을 쓰는구나!
■〈중간본〉은, 글자가 흐려 글자를 제대로 판독할 수 없다.

前林騰每及 父子莫相離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앏 수프레 라 每常 미처 아비와 아왜 서르 여희디 주009)
여희디
여의지. 여희-+디. ‘여희다’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제  여희여슈믈 놋다(聰明憶別離)’ 구절 참조.
아니놋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전림등매급 부자막상리
【언해역】 앞 수풀에 뛰어 매양 미치어, 아비와 아들이 서로 여의지 아니하는구나!
■〈중간본〉은, 글자가 흐려 글자를 제대로 판독할 수 없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원(猿) : 이 시는 두보가 766년(大曆 元年, 55세) 기주(夔州, 사천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절벽에 붙어 사는 원숭이들이 기회를 잘 엿보는 슬기가 있음을 칭찬하고, 아슬아슬하게 나무를 타면서도, 가족들이 서로 떨어지지 아니함을 자신의 신세와 비교하여 읊은 것이다.
주002)
요뇨(裊裊) : 나뭇가지가 바람에 간들거리는 모양.
주003)
뷘 : 빈. 뷔-+ㄴ. ‘뷔다(비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담 東녀긔 뷘 히 잇니(牆東有隙地)’ 구절 참조.
주004)
소소(蕭蕭)히 : 쓸쓸하게.
주005)
거럿도다 : 걸려 있도다. 걸-+어#잇-+도+다. ‘걸다’는 자타동 양용동사. ¶걸다(타동사) : 다가 有에 자며 無에 걸면 매 邊見에 가리니(如其執有며 滯無면 則終歸邊見리니)〈영가 하:84ㄴ〉. 徐君 주 갈 걸오져 고(欲掛留徐劍)〈두시 24:46ㄱ〉. 걸다(자동사) : 마매 그므레 걸가 저흐니라(終竟畏羅罟)〈두시 3:58ㄱ〉. 걸이다 : 걸이며 딘 긴 무 시며(拔滯溺之沈流시며)〈법화 서:16ㄱ〉. 노닌 긴 수픐 그테 걸옛고(高者掛罥長林梢)〈두시 6:42ㄱ〉. 걸위다 : 마  업서 듣 걸위디 몯 씨라〈월석 1:석상서8ㄴ〉. 므슷 일로 얼구릐 브류메 걸위옛가니오(何事拘形役)〈두시 10:29ㄱ〉. 걸다 : 니논 고대 맛호 조차 空애 걸디 아니니(說處에 隨宜야 不滯空니)〈금삼 3:4ㄴ〉. 걸이다 : 祖師宗애 無心 道애 契合 사 定과 慧와의 걸이 닙디 아니니라(祖宗無心合道者 不爲定慧의 所拘也ㅣ니라)〈법집 89ㄴ〉. 걸티다 : 그 주근 사   의 서르 다혀 걸티고〈구간 1:71ㄴ〉.
주006)
수므며 나며 호 : 숨으며 나타나며 함을. ‘[[[숨-]으며 [나-]며] -]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주007)
본록 : 본디부터. 본ᄃᆡ+로+ㄱ. ‘ㄱ’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圖로 님금 받곡 鳳로 큰 道理 드리웍(圖以奉至尊 鳳以垂鴻猷)’ 구절 참조. ¶西江 본록 蜀으로 나려가니(西江元下蜀)〈두시 11:1〉. 緜谷 본록 漢애 고(緜谷元通漢)〈두시 23:50〉.
주008)
오올오란 : 온전히함은. 오올-+오+ㅁ+란. ¶微 班列에 목수믈 오올와 이슈라(微班性命全)〈두시 20:18〉. 시러곰 그 집을 오올완노소라(得全其家云)〈선소5:73〉.
주009)
여희디 : 여의지. 여희-+디. ‘여희다’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제  여희여슈믈 놋다(聰明憶別離)’ 구절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