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조(鳥)
  • 제비 한 쌍[雙燕]
메뉴닫기 메뉴열기

제비 한 쌍[雙燕]


雙燕 주001)
쌍연(雙燕)
이 시는 두보가 763년(광덕 원년, 52세) 봄에 낭주(閬州, 섬서성 낭중시)에 이르러 지은 것이다. 가을이 되어 떠나는 제비를 보고 삼협(三峽)을 벗어나려는 작자의 의도를 노래한 것이다.

쌍연
(제비 한 쌍)

旅食驚雙燕 㗸泥入此堂

나그내 외야셔 주002)
외야셔
되어서. 외-+아#시-+어. ‘야’는 ‘외’의 음절 반모음 ‘y’의 영향으로 ‘아’가 바뀐 것. ¶ㅇ 입시울쏘리 아래 니 쓰면 입시울 가야 소리 외니라(ㅇ 連書脣音之下면 則爲脣輕音니라)〈훈언 12ㄱ〉. 주거 다 햇 귓거시 외리로소니(死爲殊方鬼)〈두시 6:51ㄱ〉.
머구메 주003)
머구메
먹음에. 먹는데. 먹+움+에.
두 져비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17ㄱ

주004)
두 져비의
두 제비의. 제비 두 마리의. 현대국어에서 명사를 포함한 수량사 구문은 ‘명사-수량사-단위명사’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15세기 국어에서는 ‘수량사-명사’ 구성이 많다. 이것은 원문의 영향일 수도 있다. ‘두 져비의’는 뒤의 ‘드러오’을 수식하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 ‘-의’가 쓰인 것이다. ¶져비 爲燕〈훈해 58〉. 기셋 져비 삿기 쳐 다 나가 니(巢燕養雛渾去盡)〈두시 25:17ㄴ〉.
므러 주005)
므러
물어. 믈-+어. ¶블근 새 그를 므러 寢室 이페 안니〈용가 7〉. 슬프다 매 드트리 고 豺虎ㅣ 사 므니(噫 風塵澒洞兮豺虎咬人)〈두시 16:57ㄴ〉.
이 지븨 드러오 놀라노라
주006)
나그내 외야셔 밥 머구메 두 져비의  므러 이 지븨 드러오 놀라노라
떠돌아 다니는 신세가 되어서 밥을 먹는데, 암수 제비 두 마리가 흙을 물어, 두보가 살고 있는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보고 놀랐다. 제비가 흙을 물어 왔다는 것은 두보가 사는 집에 둥지를 짓고 산다는 뜻이다. 이 시는 두보의 부부를 ‘두 마리의 제비’에 비유한 것이다. ‘함니(㗸泥)’의 ‘함’의 한자 ‘위(㗸)’는 음이 ‘위’이다. ‘함(銜)’의 이체자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이 글자는 「연자래(燕子來)어 주중작(舟中作)이라」의 ‘져비  므러 두 버늘 새롭도다(燕子㗸泥兩度新)’에서도 쓰였다.

【한자음】 여식경쌍연 함니입차당
【언해역】 나그내 되어서 밥 먹는데, 제비 두 마리가 흙 물어, 이 집에 들어옴을 놀라노라.

應同避燥濕 且復過炎凉

이 주007)
이
응당.
주008)
이
당당히. 참고. 다이. ¶사라셔 은덕 몯 갑고 주거 가 이 모딘 귓것 도외야 도 주규링이다(生旣無以報 死當爲厲鬼以殺賊)〈삼강동경 충:14ㄴ〉. 이 일 지븨 오던 이 思念시니라(應念早升堂)〈두시 8:14ㄱ〉.
사 주009)
사
사람의. 사람이. 사+. 뒤의 ‘避호미’를 수식하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 ‘-의’가 붙었다. 이른바 주어적 관형격이다. 15세기 국어에서는 관형절의 주어는 주격이 아닌 관형격을 취한다.
  주010)
 
마른 데. -+. ‘’는 장소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다. 기원적으로는 원시명사 ‘’에 처소의 부사격조사 ‘’가 연결되었을 것으로 본다. ¶ᄆᆞᄅᆞ다 :  한 餓鬼 머리 우희 블 브트며 주으리며 목 며 더워 셜워 두려 답 더니(又諸餓鬼頭上애 火然ᄒᆞ며 飢渴熱惱ᄒᆞ야 周慞悶走ᄒᆞ더니)〈법화 2:130ㄱ〉. 骨髓ㅣ 幸혀 디 아니얫노라(骨髓幸未枯)〈두시 6:40ㄴ〉. ᄃᆡ : 도기 겨신  무러 일후믈 저니〈용가62〉. 나도 如來 겨신  모다(我亦不知如來所在)〈석상 11:10ㄴ〉.
즌  주011)
즌 
진 데. 즐-+은. ¶과 말괘 고면 道애 어루 즐어 나가리라(心言之直則道애 可徑造矣리라)〈능엄 1:44ㄴ〉. 向야 가논  기 즈니(所向泥活活)〈두시 11:25ㄴ〉.
避호미 도소니 주012)
피(避)호미 도소니
避함과 같으니. 避-+옴+이 +돗+오+니. 15세기 국어의 ‘다’는 현대국어의 ‘같다’와 같이 ‘-와/과’를 지배하는 경우보다 ‘-이’를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다’는 ‘다’의 형태로도 쓰인다. ‘도소니’의 ‘돗’은 감동법의 선어말어미인데, 현대국어에서는 감동법이 감탄형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활용형에 나타날 수 없으나, 15세기 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에 의해서도 나타나므로 이와 같이 활용형에서도 감동법이 표현된다. ‘다’와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비룩 君臣의 녯 禮 이슈미 나(雖同君臣有舊禮)’ 구절 참조. ¶거름마다 발 드르신 해 다 蓮花ㅣ 나니 자최 조차 느러니 次第로 길 더니(步步舉足皆生蓮華 隨其蹤跡 行伍次第 如似街陌)〈석상 11:26ㄴ〉. 히 누르고 가치 살지고 목수미 실낫 호라(肉黃皮皺命如線)〈두시 3:50ㄴ〉.
더위와 주013)
더위와
더위와. ‘더위’는 ‘덥다’의 파생명사이다.
치위 주014)
치위
추위를. ‘치위’는 ‘칩다’의 파생명사이다. ‘칩다’와 ‘치위’에 대해서는 「하골행(呀鶻行)」의 ‘맷 믌겨리 서늘고 치운 뫼히 어드워’ 구절 참조.
디내리로다 주015)
디내리로다
지낼 것이로다. 디나-+이+리+도+다.

【한자음】 응동피조습 차복과염량
【언해역】 응당 사람이 마른 데 진 데 피함과 같으니, 또 더위와 추위를 지낼 것이로다.

養子風塵際 來時道路長

風塵ㅅ  주016)

가에. 갓+. ‘ㅿ’은 ‘ㅅ’이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된 것을 표기한 것이다. 『두시언해』에 많은 용례가 보인다. ¶ : 이 사 功德이 그지 업스며  업스니(是人功德甚多 無量無邊)〈석상 19:4ㄱ〉. 悠悠히  먼  비취옛니(悠悠照邊塞)〈두시 15:52ㄴ〉.  :  의 간과 피  고   휫두로 라 두면 즉재 살리라(又雞肝及血塗面上以灰圍四方立起)〈구간 1:44ㄴ〉. 下牢ㅅ  忽然히 盡혼 고 비르서 알와라(忽盡下牢邊)〈두시 15:50ㄱ〉.
와 삿기 치니 주017)
치니
기르니. 치-++니. 15세기 국어의 ‘치다’는 ‘기르다’의 뜻이다. ¶ 늘근 어미 치다가 乃終내 몯며 그 오녀 고 고티면(養人老母而不能卒 許人以諾而不能信)〈삼강런던 효:5ㄱ-ㄴ〉. 받 갈며 누에 치 百姓을  보고져 노라(複睹耕桑民)〈두시 22:28ㄱ〉.
저긔 주018)
저긔
적에. 때에. 적+의. ‘적’은 시간을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며, ‘-의’는 처소의 부사격조사다.
길히 주019)
길히
길이. ‘길ㅎ’은 ㅎ말음체언이다.
기도다 주020)
기도다
길도다. 멀도다. 길-+도+다.

【한자음】 양자풍진제 내시도로장
【언해역】 풍진(風塵)의 가장자리에 와 새끼를 기르니, 올 때의 길이 멀도다.

今秋天地在 吾亦離殊方【言ㅣ 當秋야 去此地而歸故鄕 亦如鷰之歸也ㅣ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이  주021)
이 
이 가을에. ㅎ+. ‘봄, 녀름, ㅎ, 겨’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보로브터 나 이럿 거시 어미 조차 니니(自春生成者)’ 구절 참조.
하콰 주022)
하콰
하늘과. 하ㅎ+과. ¶하콰 쾌 비 일흐며 와 왜 光明이 업도다(乾坤이 失色며 日月이 無光이로다)〈금삼 3:47ㄱ〉. 峴首ㅅ 보 하히 놉도다(天高峴首春)〈두시 23:50ㄴ〉.
쾃 주023)
쾃
땅의. ㅎ+과+ㅅ. ¶ 爲地〈훈해 48〉. 峨眉ㅅ 나조 히 어위오(地闊峨眉晚)〈두시 23:50ㄴ〉.
예 이시면 나도  다  주024)
다 
다른 땅을. 곧 타향(他鄕)을 말한다.
으리와도리라 주025)
으리와도리라
떨어지게 하리라. 떠나게 하리라. 을-+이+왇+오+리+라. ‘으리왇다’는 ‘을다’에 사동접미사와 강세접미사가 붙은 형식이다. ¶을다 : 三昧예 드르샤 三昧力으로 耆闍崛山애 法座애 으로미 머디 아니(而入三昧ᄒᆞ샤 以三昧力으로 於耆闍崛山애 去法座不遠에)〈법화 7:14ㄱ〉. 으리다 : 조 니예 츠면 절로 으리리라〈구간1:3ㄱ〉. 으리왇다 : 裴氏ㅅ 아비 엳 婚姻 으리왇더니 德武ㅣ 裴氏더브러 닐오(矩表離婚 德武謂裵曰)〈삼강런던 열:14ㄱ〉. 들에 란 마 사 무를 으리왇도다(喧已去人群)〈두시 7:30ㄴ〉.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금추천지재 오역리수방【두보가 가을을 맞아 이곳을 떠나 고향에 돌아감을 제비가 돌아감과 같음을 말한다.】
【언해역】 이 가을이 하늘과 땅 사이에 있으면, 나도 또 다른 곳으로 떠나게 하리라.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쌍연(雙燕) : 이 시는 두보가 763년(광덕 원년, 52세) 봄에 낭주(閬州, 섬서성 낭중시)에 이르러 지은 것이다. 가을이 되어 떠나는 제비를 보고 삼협(三峽)을 벗어나려는 작자의 의도를 노래한 것이다.
주002)
외야셔 : 되어서. 외-+아#시-+어. ‘야’는 ‘외’의 음절 반모음 ‘y’의 영향으로 ‘아’가 바뀐 것. ¶ㅇ 입시울쏘리 아래 니 쓰면 입시울 가야 소리 외니라(ㅇ 連書脣音之下면 則爲脣輕音니라)〈훈언 12ㄱ〉. 주거 다 햇 귓거시 외리로소니(死爲殊方鬼)〈두시 6:51ㄱ〉.
주003)
머구메 : 먹음에. 먹는데. 먹+움+에.
주004)
두 져비의 : 두 제비의. 제비 두 마리의. 현대국어에서 명사를 포함한 수량사 구문은 ‘명사-수량사-단위명사’가 가장 일반적이지만 15세기 국어에서는 ‘수량사-명사’ 구성이 많다. 이것은 원문의 영향일 수도 있다. ‘두 져비의’는 뒤의 ‘드러오’을 수식하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 ‘-의’가 쓰인 것이다. ¶져비 爲燕〈훈해 58〉. 기셋 져비 삿기 쳐 다 나가 니(巢燕養雛渾去盡)〈두시 25:17ㄴ〉.
주005)
므러 : 물어. 믈-+어. ¶블근 새 그를 므러 寢室 이페 안니〈용가 7〉. 슬프다 매 드트리 고 豺虎ㅣ 사 므니(噫 風塵澒洞兮豺虎咬人)〈두시 16:57ㄴ〉.
주006)
나그내 외야셔 밥 머구메 두 져비의  므러 이 지븨 드러오 놀라노라 : 떠돌아 다니는 신세가 되어서 밥을 먹는데, 암수 제비 두 마리가 흙을 물어, 두보가 살고 있는 집으로 들어오는 것을 보고 놀랐다. 제비가 흙을 물어 왔다는 것은 두보가 사는 집에 둥지를 짓고 산다는 뜻이다. 이 시는 두보의 부부를 ‘두 마리의 제비’에 비유한 것이다. ‘함니(㗸泥)’의 ‘함’의 한자 ‘위(㗸)’는 음이 ‘위’이다. ‘함(銜)’의 이체자로 쓰인 것으로 보인다. 이 글자는 「연자래(燕子來)어 주중작(舟中作)이라」의 ‘져비  므러 두 버늘 새롭도다(燕子㗸泥兩度新)’에서도 쓰였다.
주007)
이 : 응당.
주008)
이 : 당당히. 참고. 다이. ¶사라셔 은덕 몯 갑고 주거 가 이 모딘 귓것 도외야 도 주규링이다(生旣無以報 死當爲厲鬼以殺賊)〈삼강동경 충:14ㄴ〉. 이 일 지븨 오던 이 思念시니라(應念早升堂)〈두시 8:14ㄱ〉.
주009)
사 : 사람의. 사람이. 사+. 뒤의 ‘避호미’를 수식하기 때문에 관형격 조사 ‘-의’가 붙었다. 이른바 주어적 관형격이다. 15세기 국어에서는 관형절의 주어는 주격이 아닌 관형격을 취한다.
주010)
  : 마른 데. -+. ‘’는 장소를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다. 기원적으로는 원시명사 ‘’에 처소의 부사격조사 ‘’가 연결되었을 것으로 본다. ¶ᄆᆞᄅᆞ다 :  한 餓鬼 머리 우희 블 브트며 주으리며 목 며 더워 셜워 두려 답 더니(又諸餓鬼頭上애 火然ᄒᆞ며 飢渴熱惱ᄒᆞ야 周慞悶走ᄒᆞ더니)〈법화 2:130ㄱ〉. 骨髓ㅣ 幸혀 디 아니얫노라(骨髓幸未枯)〈두시 6:40ㄴ〉. ᄃᆡ : 도기 겨신  무러 일후믈 저니〈용가62〉. 나도 如來 겨신  모다(我亦不知如來所在)〈석상 11:10ㄴ〉.
주011)
즌  : 진 데. 즐-+은. ¶과 말괘 고면 道애 어루 즐어 나가리라(心言之直則道애 可徑造矣리라)〈능엄 1:44ㄴ〉. 向야 가논  기 즈니(所向泥活活)〈두시 11:25ㄴ〉.
주012)
피(避)호미 도소니 : 避함과 같으니. 避-+옴+이 +돗+오+니. 15세기 국어의 ‘다’는 현대국어의 ‘같다’와 같이 ‘-와/과’를 지배하는 경우보다 ‘-이’를 지배하는 경우가 많다. ‘다’는 ‘다’의 형태로도 쓰인다. ‘도소니’의 ‘돗’은 감동법의 선어말어미인데, 현대국어에서는 감동법이 감탄형 종결어미에 의해 실현되기 때문에 활용형에 나타날 수 없으나, 15세기 국어에서는 선어말어미에 의해서도 나타나므로 이와 같이 활용형에서도 감동법이 표현된다. ‘다’와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비룩 君臣의 녯 禮 이슈미 나(雖同君臣有舊禮)’ 구절 참조. ¶거름마다 발 드르신 해 다 蓮花ㅣ 나니 자최 조차 느러니 次第로 길 더니(步步舉足皆生蓮華 隨其蹤跡 行伍次第 如似街陌)〈석상 11:26ㄴ〉. 히 누르고 가치 살지고 목수미 실낫 호라(肉黃皮皺命如線)〈두시 3:50ㄴ〉.
주013)
더위와 : 더위와. ‘더위’는 ‘덥다’의 파생명사이다.
주014)
치위 : 추위를. ‘치위’는 ‘칩다’의 파생명사이다. ‘칩다’와 ‘치위’에 대해서는 「하골행(呀鶻行)」의 ‘맷 믌겨리 서늘고 치운 뫼히 어드워’ 구절 참조.
주015)
디내리로다 : 지낼 것이로다. 디나-+이+리+도+다.
주016)
 : 가에. 갓+. ‘ㅿ’은 ‘ㅅ’이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된 것을 표기한 것이다. 『두시언해』에 많은 용례가 보인다. ¶ : 이 사 功德이 그지 업스며  업스니(是人功德甚多 無量無邊)〈석상 19:4ㄱ〉. 悠悠히  먼  비취옛니(悠悠照邊塞)〈두시 15:52ㄴ〉.  :  의 간과 피  고   휫두로 라 두면 즉재 살리라(又雞肝及血塗面上以灰圍四方立起)〈구간 1:44ㄴ〉. 下牢ㅅ  忽然히 盡혼 고 비르서 알와라(忽盡下牢邊)〈두시 15:50ㄱ〉.
주017)
치니 : 기르니. 치-++니. 15세기 국어의 ‘치다’는 ‘기르다’의 뜻이다. ¶ 늘근 어미 치다가 乃終내 몯며 그 오녀 고 고티면(養人老母而不能卒 許人以諾而不能信)〈삼강런던 효:5ㄱ-ㄴ〉. 받 갈며 누에 치 百姓을  보고져 노라(複睹耕桑民)〈두시 22:28ㄱ〉.
주018)
저긔 : 적에. 때에. 적+의. ‘적’은 시간을 나타내는 의존명사이며, ‘-의’는 처소의 부사격조사다.
주019)
길히 : 길이. ‘길ㅎ’은 ㅎ말음체언이다.
주020)
기도다 : 길도다. 멀도다. 길-+도+다.
주021)
이  : 이 가을에. ㅎ+. ‘봄, 녀름, ㅎ, 겨’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보로브터 나 이럿 거시 어미 조차 니니(自春生成者)’ 구절 참조.
주022)
하콰 : 하늘과. 하ㅎ+과. ¶하콰 쾌 비 일흐며 와 왜 光明이 업도다(乾坤이 失色며 日月이 無光이로다)〈금삼 3:47ㄱ〉. 峴首ㅅ 보 하히 놉도다(天高峴首春)〈두시 23:50ㄴ〉.
주023)
쾃 : 땅의. ㅎ+과+ㅅ. ¶ 爲地〈훈해 48〉. 峨眉ㅅ 나조 히 어위오(地闊峨眉晚)〈두시 23:50ㄴ〉.
주024)
다  : 다른 땅을. 곧 타향(他鄕)을 말한다.
주025)
으리와도리라 : 떨어지게 하리라. 떠나게 하리라. 을-+이+왇+오+리+라. ‘으리왇다’는 ‘을다’에 사동접미사와 강세접미사가 붙은 형식이다. ¶을다 : 三昧예 드르샤 三昧力으로 耆闍崛山애 法座애 으로미 머디 아니(而入三昧ᄒᆞ샤 以三昧力으로 於耆闍崛山애 去法座不遠에)〈법화 7:14ㄱ〉. 으리다 : 조 니예 츠면 절로 으리리라〈구간1:3ㄱ〉. 으리왇다 : 裴氏ㅅ 아비 엳 婚姻 으리왇더니 德武ㅣ 裴氏더브러 닐오(矩表離婚 德武謂裵曰)〈삼강런던 열:14ㄱ〉. 들에 란 마 사 무를 으리왇도다(喧已去人群)〈두시 7:3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