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조(鳥)
  • 관가 연못의 봄 기러기 두 수[官池春雁二首]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가 연못의 봄 기러기 두 수[官池春雁二首]


官池春雁二首 주001)
관지춘안이수(官池春雁二首)
이 시는 두보가 763년(광덕 원년)에 한주(漢州, 사천성 광한)에서 지은 것이다. 관지(官池)는 방공의 연못으로 봄 기러기를 노래하여, 나그네의 심사를 읊은 것이다. 원래 두 수로 되어 있으나 『두시언해』에서는 수의 구분이 없다.

관지춘안 이수
(관가 연못의 봄 기러기 두 수)

〈첫째 수〉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21ㄴ

自古稻粱多不足 至今鸂鶒亂爲群

녜로브터 稻粱이 해 足디 몯니 이제 니르리 믌과 야 어즈러이 주002)
어즈러이
어지럽게. 어즈럽-+이. ‘어즈럽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어즈러운 시르믈 혀 업게 호 어름 녹 다(撥煩去冰釋)’ 구절 참조.
주003)
무리를. 물+을.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얏도다

【한자음】 자고도량다불족 지금계칙란위군
【언해역】 예부터 도량(稻粱)이 많이 족하지 못하니, 이제 이르기까지 물닭과 함께 어지러이 무리 이루었도다!

且休悵望看春水 更恐歸飛隔暮雲

슬허 라셔  므를 보디 말라. 라가 나죗 구루메 즈츨가 주004)
즈츨가
사이를 둘까. 막힐까. 즈ᅀᅳᆷ+츠+ㄹ+가. ‘즈ᅀᅳᆷ츠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길흘 마가 여곰 주츠게 다(塞蹊使之隔)’ 구절 참조.
다시 전로라 주005)
전로라
두려워하노라. 젛+노+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권 17-19(교정본)에는 ‘전노라’로 교정되어 있다.

【한자음】 차휴창망간춘수 경공귀비격모운
【언해역】 슬퍼하여 바라서 봄의 물을 보지 말라, 날아가 저녁의 구름에 막힐까 다시 두려워하노라.(여기까지가 첫째 수이다.)

〈둘째 수〉

青春欲盡急還鄉 紫塞寧論尙有霜

프른 보미 다아 가거늘 리 本鄕으로 도라가니 블근  주006)
블근 
붉은 가에. 붉은 변방에. ‘진(秦)’이 쌓은 만리장성의 색깔이 자색(紫色)이다.
오히려 서리 이슈믈 엇뎨 議論리오

【한자음】 청춘욕진급환향 자새녕론상유상
【언해역】 푸른 봄이 다해 가거늘 빨리 본향으로 돌아가니, 붉은 가에 오히려 서리 있음을 어찌 의논하겠는가?

翅在雲天終不遠 力微矰繳絕須防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개 구룸  하해 이슈미 매 머디 아니리로소니 히미 져그니 줄사 주007)
줄사
줄살을. 줄살/주살+. ‘주살’은 화살의 머리를 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
 주008)

매우. 「두견(杜鵑)」의 ‘ 녯 前브터 禮 잇니(有禮太古前)’ 구절 참조.
모로매 막라 주009)
막라
막아라. 잘라 막아라. 막-#ᄌᆞᄅᆞ-+아.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시재운천종불원 역미증격절수방
【언해역】 날개가 구름 낀 하늘에 있음이 마침내 멀지 않을 것이니, 힘이 적으니 주살을 모름지기 막아라.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관지춘안이수(官池春雁二首) : 이 시는 두보가 763년(광덕 원년)에 한주(漢州, 사천성 광한)에서 지은 것이다. 관지(官池)는 방공의 연못으로 봄 기러기를 노래하여, 나그네의 심사를 읊은 것이다. 원래 두 수로 되어 있으나 『두시언해』에서는 수의 구분이 없다.
주002)
어즈러이 : 어지럽게. 어즈럽-+이. ‘어즈럽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어즈러운 시르믈 혀 업게 호 어름 녹 다(撥煩去冰釋)’ 구절 참조.
주003)
물 : 무리를. 물+을.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주004)
즈츨가 : 사이를 둘까. 막힐까. 즈ᅀᅳᆷ+츠+ㄹ+가. ‘즈ᅀᅳᆷ츠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의 ‘길흘 마가 여곰 주츠게 다(塞蹊使之隔)’ 구절 참조.
주005)
전로라 : 두려워하노라. 젛+노+라.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권 17-19(교정본)에는 ‘전노라’로 교정되어 있다.
주006)
블근  : 붉은 가에. 붉은 변방에. ‘진(秦)’이 쌓은 만리장성의 색깔이 자색(紫色)이다.
주007)
줄사 : 줄살을. 줄살/주살+. ‘주살’은 화살의 머리를 시위에 끼도록 에어 낸 부분.
주008)
 : 매우. 「두견(杜鵑)」의 ‘ 녯 前브터 禮 잇니(有禮太古前)’ 구절 참조.
주009)
막라 : 막아라. 잘라 막아라. 막-#ᄌᆞᄅᆞ-+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