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조(鳥)
  • 외로운 기러기[孤雁]
메뉴닫기 메뉴열기

외로운 기러기[孤雁]


孤雁 주001)
고안(孤雁)
이 시는 두보가 766년(대력 원년, 55세) 기주(夔州, 사천성 봉절현)에서 읊은 것이다. 난리 중에 형제가 서로 떨어졌음을 외로운 기러기[孤雁]에 빗대어 읊은 것이다. 시에서 ‘외롭다[孤]’는 전체 주제를 지배하고 있다.

고안
(외로운 기러기)

孤雁不飲啄 飛鳴聲念群

외로왼 주002)
외로왼
외로운. 외-++. ‘외왼’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北斗ㅅ 우희셔 외왼 그르메 드위텨(斗上捩孤影)’ 구절 참조. ¶우리 어 아리 외고 입게 외야(使我母子守孤抱窮)〈석상 6:5ㄱ〉. 외로왼 고미 오 나니 大千이 서늘도다(孤明이 獨露니 大千이 寒도다)〈남명 하:29ㄱ〉.
그려기 믈 마시며 딕먹디 주003)
딕먹디
쪼아 먹지. 딕-+먹-+디. ‘딕먹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 기세 브터 삿기 나콕 제 딕머기디 몯거든(寄巢生子不自啄)’ 구절 참조.
아니고 라셔 주004)
라셔
날아서. -+아#시-+어. ¶五百 靑새 圍繞 며(五百青雀左繞飛空)〈석상 3:42ㄱ〉. 시혹 鸞鳥 타 하해 어(或驂鸞騰天)〈두시 8:58ㄴ〉.
우 소리 제 무를 주005)
제 무를
제 무리를. 물+을.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念놋다

【한자음】 고안불음탁 비명성념군
【언해역】 외로운 기러기 물 마시며 쪼아 먹지 아니하고, 날아서 우는 소리 제 무리를 생각하는구나!
■〈중간본〉에서는, ‘외로왼’이 ‘외로온’으로 되어 있다.

誰憐一片影 相失萬重雲

一片ㅅ 그르메 주006)
그르메
그림자. ‘그르메’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北斗ㅅ 우희셔 외왼 그르메 드위텨(斗上捩孤影)’ 구절 참조.
萬重인 구루메 서르 주007)
서르
서로. ‘서르’에 대해서는 「주봉행(朱鳳行)」의 ‘다 鴟梟로 여 서르 怒야 우르게 야리아(盡使鴟梟相怒號)’ 구절 참조.
일허슈믈 주008)
일허슈믈
잃었음을. 잃-+어#이시-+움+을. ¶섯그면 뎌 性이  名字 일흐리니 섯구미  性 일논 디라(雜則失彼性明名字리니 雜호미 失明性이라)〈능엄 2:98ㄴ〉. 나조  예 큰 남 일흐니(晚來江門失大木)〈두시 10:41ㄴ〉.
어엿비 주009)
어엿비
가엾게. 불쌍하게. 어엿-+브+이. ¶어엿비 :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훈언 2ㄴ〉. 채 울여 여 보내야 漁父 어엿비 너기니(鳴鞭走送憐漁父)〈두시 22:22ㄱ〉. 어엿브다 : 舍衛國 大臣 須達이 가며러 쳔랴 그지업고 布施기 즐겨 艱難며 어엿븐 사 쥐주어 거리칠 號 給孤獨이라 더라(舍衛國王波斯匿 有一大臣 名曰須達 居家巨富財寶無限 好喜布施賑濟貧乏及諸孤老 時人因行為其立號 名給孤獨)〈석상 6:13ㄱ〉. 柝 두드리닌 可히 어엿븐 사미로소니(擊柝可憐子)〈두시 14:22ㄴ〉.
너기리오 주010)
너기리오
여기겠는가? 너기-+리+오. ‘너기다’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重히 너기 바 王者의 祥瑞니(所貴王者瑞)’ 구절 참조.

【한자음】 수련일편영 상실만중운
【언해역】 한 조각의 그림자 만중(萬重)인 구름에 서로 잃었음을 누가 불쌍하게 여기겠는가?

望盡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21ㄱ

似猶見 哀多如更聞

라오매 주011)
라오매
바람에. 바램에. 라-+옴+애. ¶蜜多羅ㅣ 라고 마니 몯 안자 가라 업시 니러나(毘奢蜜多 遙見 不能自禁 遂使其身怱起)〈석상 3:8ㄱ〉. 라오 막노라 事勢ㅣ  뵈왓더라(塞望勢敦迫)〈두시 24:13ㄱ〉.
다 업소 오히려 보 고 슬픈 소리 하니 다시 든논 주012)
든논
듣는. 듣-++오+ㄴ. ‘듣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蜀ㅅ 사미 듣곡 다 니러셔니(蜀人聞之皆起立)’ 구절 참조하고 ‘떨어지다’의 뜻인 ‘듣다’에 대해서는 「수마행(瘦馬行)」의 ‘가치 라 드러 기 섯것고(皮幹剝落雜泥滓)’ 구절 참조.
도다

【한자음】 망진사유견 애다여경문
【언해역】 바람에 다 없으되, 오히려 보는 듯하고 슬픈 소리 많으니 다시 듣는 듯하도다!
■〈중간본〉에서는, ‘든논’이 ‘듣’으로 되어 있다.

野鵶無意緒 鳴噪自紛紛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햇 주013)
햇
들의. ㅎ+애+ㅅ. ‘뫼ㅎ’와 ‘ㅎ’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뫼히 노파 길헤 사 자최 그츠니(山峻路絕蹤)’ 구절 참조.
가마괴 디 업스니 우러 수미 주014)
수미
시끄러움이. 수-+움+이. ‘수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소리 수워려 닐오미 잇 니(聲音咽咽如有謂)’ 구절 참조.
제 어즈럽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야아무의서 명조자분분
【언해역】 들의 까마귀는 뜻이 없으니, 울어 시끄러움이 스스로 어지럽도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안(孤雁) : 이 시는 두보가 766년(대력 원년, 55세) 기주(夔州, 사천성 봉절현)에서 읊은 것이다. 난리 중에 형제가 서로 떨어졌음을 외로운 기러기[孤雁]에 빗대어 읊은 것이다. 시에서 ‘외롭다[孤]’는 전체 주제를 지배하고 있다.
주002)
외로왼 : 외로운. 외-++. ‘외왼’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北斗ㅅ 우희셔 외왼 그르메 드위텨(斗上捩孤影)’ 구절 참조. ¶우리 어 아리 외고 입게 외야(使我母子守孤抱窮)〈석상 6:5ㄱ〉. 외로왼 고미 오 나니 大千이 서늘도다(孤明이 獨露니 大千이 寒도다)〈남명 하:29ㄱ〉.
주003)
딕먹디 : 쪼아 먹지. 딕-+먹-+디. ‘딕먹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 기세 브터 삿기 나콕 제 딕머기디 몯거든(寄巢生子不自啄)’ 구절 참조.
주004)
라셔 : 날아서. -+아#시-+어. ¶五百 靑새 圍繞 며(五百青雀左繞飛空)〈석상 3:42ㄱ〉. 시혹 鸞鳥 타 하해 어(或驂鸞騰天)〈두시 8:58ㄴ〉.
주005)
제 무를 : 제 무리를. 물+을.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주006)
그르메 : 그림자. ‘그르메’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北斗ㅅ 우희셔 외왼 그르메 드위텨(斗上捩孤影)’ 구절 참조.
주007)
서르 : 서로. ‘서르’에 대해서는 「주봉행(朱鳳行)」의 ‘다 鴟梟로 여 서르 怒야 우르게 야리아(盡使鴟梟相怒號)’ 구절 참조.
주008)
일허슈믈 : 잃었음을. 잃-+어#이시-+움+을. ¶섯그면 뎌 性이  名字 일흐리니 섯구미  性 일논 디라(雜則失彼性明名字리니 雜호미 失明性이라)〈능엄 2:98ㄴ〉. 나조  예 큰 남 일흐니(晚來江門失大木)〈두시 10:41ㄴ〉.
주009)
어엿비 : 가엾게. 불쌍하게. 어엿-+브+이. ¶어엿비 : 憫然은 어엿비 너기실 씨라〈훈언 2ㄴ〉. 채 울여 여 보내야 漁父 어엿비 너기니(鳴鞭走送憐漁父)〈두시 22:22ㄱ〉. 어엿브다 : 舍衛國 大臣 須達이 가며러 쳔랴 그지업고 布施기 즐겨 艱難며 어엿븐 사 쥐주어 거리칠 號 給孤獨이라 더라(舍衛國王波斯匿 有一大臣 名曰須達 居家巨富財寶無限 好喜布施賑濟貧乏及諸孤老 時人因行為其立號 名給孤獨)〈석상 6:13ㄱ〉. 柝 두드리닌 可히 어엿븐 사미로소니(擊柝可憐子)〈두시 14:22ㄴ〉.
주010)
너기리오 : 여기겠는가? 너기-+리+오. ‘너기다’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重히 너기 바 王者의 祥瑞니(所貴王者瑞)’ 구절 참조.
주011)
라오매 : 바람에. 바램에. 라-+옴+애. ¶蜜多羅ㅣ 라고 마니 몯 안자 가라 업시 니러나(毘奢蜜多 遙見 不能自禁 遂使其身怱起)〈석상 3:8ㄱ〉. 라오 막노라 事勢ㅣ  뵈왓더라(塞望勢敦迫)〈두시 24:13ㄱ〉.
주012)
든논 : 듣는. 듣-++오+ㄴ. ‘듣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蜀ㅅ 사미 듣곡 다 니러셔니(蜀人聞之皆起立)’ 구절 참조하고 ‘떨어지다’의 뜻인 ‘듣다’에 대해서는 「수마행(瘦馬行)」의 ‘가치 라 드러 기 섯것고(皮幹剝落雜泥滓)’ 구절 참조.
주013)
햇 : 들의. ㅎ+애+ㅅ. ‘뫼ㅎ’와 ‘ㅎ’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뫼히 노파 길헤 사 자최 그츠니(山峻路絕蹤)’ 구절 참조.
주014)
수미 : 시끄러움이. 수-+움+이. ‘수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소리 수워려 닐오미 잇 니(聲音咽咽如有謂)’ 구절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