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수(獸)
  • 진주에서 지은 잡시 한 수[秦州雜詩一首]
메뉴닫기 메뉴열기

진주에서 지은 잡시 한 수[秦州雜詩一首]


秦州雜詩一首 주001)
진주잡시일수(秦州雜詩一首)
이 시는 20수의 연작시의 제5수로 두보가 759년(乾元 2, 48세) 가을 진주(秦州, 감숙성 천수)에서 지은 것이다. 진주 잡시는 진주의 풍물, 인물, 특정 사건 등을 읊은 것으로, 제5수는 당이 설치한 목마감(牧馬監)이 있던 남사(南使)의 말을 노래한 것이다.

진주잡시일수
(진주에서 지은 잡시 한 수)

南使宜天馬 由來萬匹強【南使 地名이니 唐이 置牧馬監니 此編 專賦天馬니라】

南使 주002)
남사(南使)
당나라 때 진주(秦州, 甘肅 天水) 북부에 있던 양목장(養牧場). 관직명이기도 하다.
앳 天馬ㅣ 됴니 由來로 주003)
유래(由來)로
그런 까닭으로.
萬 匹이 남도다

【한자음】 남사의천마 유래만필강【남사(南使)는 지명인데 당나라가 목마감(牧馬監)을 두었으니, 이 편(編)은 오로지 천마(天馬)를 노래한 것이다.】
【언해역】 남사(南使)의 천마가 좋으니, 그런 이유로 만 필이 남도다!
■〈중간본〉에서는, ‘남사(南使)앳’이 ‘남사(南使)애’로 되어 있다.

浮雲連陣沒 秋草徧山長

주004)
뜬. -+ㄴ. ‘다’는 ‘물에 뜨다’와 ‘눈을 뜨다’ 등의 뜻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돐 수픐 서리예 氣運이 노피 도다(山峻路絕蹤)’ 구절 참조.
구루미 陣에 니 뎻고 주005)
뎻고
껴져 있고. -+어#디-+어#잇-+고. ¶안개 고 구름  우흔 고 아랜 어드워(霧罩雲籠야 上明下暗야)〈금삼 1:4ㄴ〉.  엿 桂樹ㅅ 들구를 스치노라(煙霏想桂叢)〈두시 19:9ㄱ〉.
 프른 뫼해 펴뎌 주006)
펴뎌
펴져. 펴-+어#디-+어. ¶부톄 說法샤 世間애 法이 펴디여 갈 그우리다 니〈석상 6:18ㄱ〉. 犬戎이 키 펴디니라(犬戎大充斥)〈두시 24:11ㄴ〉.
기럿도다

【한자음】 부운련진몰 추초편산장
【언해역】 뜬 구름이 진(陣)에 이어 껴졌고, 가을의 푸른 산에 펴져 길어 있도다!
■〈중간본〉에서는, ‘니’가 ‘니어’로, ‘뎻고’가 ‘뎟고’로, ‘’이 ‘’로 되어 있다.

聞說眞龍種 仍殘老驌驦

眞實ㅅ 龍 라 주007)
진실(眞實)ㅅ 용(龍) 라
진실한 용의 씨다. ‘’에 대해서는 「견흥 이수(遣興二首)」의 ‘그듸 渥洼앳  보라(君看渥窪種)’ 구절 참조.
니거늘 드로니 주008)
니거늘 드로니
이르거늘 들으니. 이르는 것을 들으니. ‘-거늘 듣다’의 ‘-거늘’은 연결어미로 파악하는 방법과 내포문 표지로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였다. ‘말하다’의 뜻인 ‘니다’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이 이 나모 뷜 사미 니더라(此事樵夫傳)’ 구절 참조하고, ‘~에 이르다’의 뜻인 ‘니르다/니다’에 대해서는 「총마행(驄馬行)」의 ‘時俗 아니 한 예 엇뎨 시러곰 닐위리오(時俗造次那得致)’ 구절 참조.
지즈로 주009)
지즈로
인하여. ‘지즈로’에 대해서는 「두견(杜鵑)」의 ‘지즈로 爲야 그 삿기 머겨(仍餧爲其子)’ 구절 참조.
늘근 驌驦 주010)
숙상(驌驦)
명마의 이름.
이 衰殘얏도다

【한자음】 문설진룡종 잉잔노숙상
【언해역】 진실의 용의 씨라 이르거늘 들으니, 인하여 늙은 <용어 realname="">숙상(驌驦)이 쇠잔하여 있도다!

哀鳴思戰關 迥立向蒼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슬피 우러셔 사호 야 주011)
랑야
생각하여. 랑#-+아.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어느 殿을 當얏거든 群臣의 趨走던 이 리오(豈憶當殿群臣趨)’ 구절 참조.
아라히 주012)
아라히
아스라이. ‘아라다, 아라히’ 등에 대해서는 「자규(子規)」의 ‘아라히  매 보리로소니(眇眇春風見)’ 구절 참조.
셔셔 하 向얫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애명사전관 형립향창창
【언해역】 슬피 울어서 싸움을 생각하고, 아스라이 서서 하늘을 향하여 있도다!
■〈중간본〉에서는, ‘아라히’가 ‘아라히’로, ‘향(向)얫도다’가 ‘향(向)얏도다’로 되어 있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진주잡시일수(秦州雜詩一首) : 이 시는 20수의 연작시의 제5수로 두보가 759년(乾元 2, 48세) 가을 진주(秦州, 감숙성 천수)에서 지은 것이다. 진주 잡시는 진주의 풍물, 인물, 특정 사건 등을 읊은 것으로, 제5수는 당이 설치한 목마감(牧馬監)이 있던 남사(南使)의 말을 노래한 것이다.
주002)
남사(南使) : 당나라 때 진주(秦州, 甘肅 天水) 북부에 있던 양목장(養牧場). 관직명이기도 하다.
주003)
유래(由來)로 : 그런 까닭으로.
주004)
 : 뜬. -+ㄴ. ‘다’는 ‘물에 뜨다’와 ‘눈을 뜨다’ 등의 뜻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돐 수픐 서리예 氣運이 노피 도다(山峻路絕蹤)’ 구절 참조.
주005)
뎻고 : 껴져 있고. -+어#디-+어#잇-+고. ¶안개 고 구름  우흔 고 아랜 어드워(霧罩雲籠야 上明下暗야)〈금삼 1:4ㄴ〉.  엿 桂樹ㅅ 들구를 스치노라(煙霏想桂叢)〈두시 19:9ㄱ〉.
주006)
펴뎌 : 펴져. 펴-+어#디-+어. ¶부톄 說法샤 世間애 法이 펴디여 갈 그우리다 니〈석상 6:18ㄱ〉. 犬戎이 키 펴디니라(犬戎大充斥)〈두시 24:11ㄴ〉.
주007)
진실(眞實)ㅅ 용(龍) 라 : 진실한 용의 씨다. ‘’에 대해서는 「견흥 이수(遣興二首)」의 ‘그듸 渥洼앳  보라(君看渥窪種)’ 구절 참조.
주008)
니거늘 드로니 : 이르거늘 들으니. 이르는 것을 들으니. ‘-거늘 듣다’의 ‘-거늘’은 연결어미로 파악하는 방법과 내포문 표지로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여기서는 전자를 취하였다. ‘말하다’의 뜻인 ‘니다’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이 이 나모 뷜 사미 니더라(此事樵夫傳)’ 구절 참조하고, ‘~에 이르다’의 뜻인 ‘니르다/니다’에 대해서는 「총마행(驄馬行)」의 ‘時俗 아니 한 예 엇뎨 시러곰 닐위리오(時俗造次那得致)’ 구절 참조.
주009)
지즈로 : 인하여. ‘지즈로’에 대해서는 「두견(杜鵑)」의 ‘지즈로 爲야 그 삿기 머겨(仍餧爲其子)’ 구절 참조.
주010)
숙상(驌驦) : 명마의 이름.
주011)
랑야 : 생각하여. 랑#-+아.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어느 殿을 當얏거든 群臣의 趨走던 이 리오(豈憶當殿群臣趨)’ 구절 참조.
주012)
아라히 : 아스라이. ‘아라다, 아라히’ 등에 대해서는 「자규(子規)」의 ‘아라히  매 보리로소니(眇眇春風見)’ 구절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