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조(鳥)
  • 앵무새[鸚鵡]
메뉴닫기 메뉴열기

앵무새[鸚鵡]


鸚鵡 주001)
앵무(鸚鵡)
이 시는 두보가 766년(대력 원년, 55세)에 기주(夔州, 사천성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의기로운 선비가 자신의 기개를 펼칠 수 없는 신세를 새장에 갇혀 있는 앵무새에 비유하여 읊은 것이다.

앵무
(앵무새)

鸚鵡含愁思 聰明憶別離

鸚鵡ㅣ 시름왼 주002)
시름왼
걱정이 된. 근심스런. 시름#+. ¶鬼神은 어드워 시름왼 苦애 곗고(鬼神은 沈幽愁之苦고)〈원각 서:13ㄴ〉. 蒼梧애 구루미 正히 시름외도다 슬프다(蒼梧雲正愁)〈두시 9:33ㄱ〉.
들 머것니 주003)
머것니
먹어 있으니. 먹+어#잇++니. ¶곧 미 두려이 가 너비 國土 머것다 시니(即心이 圓明야 徧含國土ㅣ라 시니)〈능엄 2:63ㄱ〉. 烏蠻애 디 비치 赤壁을 머것도소니(烏蠻落照銜赤壁)〈두시 25:49ㄱ〉.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17ㄴ

明야 제  여희여슈믈 주004)
여희여슈믈
이별하여 있음을. 이별하였음을. 여희-+어#이시-+움+을. ¶貪欲 여희여 조 몸 사 하히니〈석상 3:16ㄱ〉. 이 여희요매 黃泉이 도다(此別間黃泉)〈두시 24:46ㄴ〉.
놋다 주005)
놋다
생각하는구나. -++옷+다.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어느 殿을 當얏거든 群臣의 趨走던 이 리오(豈憶當殿群臣趨)’ 구절 참조.

【한자음】 앵무함수사 총명억별리
【언해역】 앵무새가 걱정스런 뜻을 머금었으니, 총명하여 제 땅 떠나 있음을 생각하는구나!

翠衿渾短盡 紅觜謾多知

프른 기지 주006)
기지
깃이. 깆+이. ¶如깃 爲巢〈훈해 57〉. 밋 불휘 닷  사로니와 가접 안햇 깃 론 와 에 라〈구간 3:121ㄱ〉.
뎔어 주007)
뎔어
짧아. 뎌-/뎌르-+어. ¶管애  簧 두 길며 뎔오미 다니〈원각 하2-1:48ㄴ〉. 書冊 檢察노라 야 燭 라 뎌르게 고(檢書燒燭短)〈두시 15:55ㄱ〉.
업스니 주008)
업스니
없어지니. 15세기 국어의 ‘없다’는 형용사 이외에 ‘없어지다’ 뜻의 자동사로도 쓰였다. ¶형용사 : 獨 늘구 子息 업서 옷 모민 사미라〈석상 6:13ㄱ〉. 밥 업스며 아 업슨  婦人이니라(無食無兒一婦人)〈두시 7:22ㄱ〉. 자동사 : 부텨 업스신 後에 法 디녀(乃至佛滅住持法)〈석상 6:12ㄴ〉. 너희 무른 모미 일훔과 다  업스려니와(爾曹身與名俱滅)〈두시 16:11ㄴ〉.
주009)
프른 기지 다 뎔어 업스니
푸른 깃이 다 짧아져 없어지니.
블근 부리 쇽졀업시 주010)
쇽졀업시
속절없이. 쇽졀+없-+이. ¶末法은 쇽졀업시 似量이라 實 업스니라〈월석 9:7ㄴ〉. 져믄 사 즐규믈 쇽졀업시 보것다(漫看年少樂)〈두시 11:30ㄴ〉.
해 아놋다

【한자음】 취금혼단진 홍자만다지
【언해역】 푸른 깃이 다 짧아져 없어지니, 붉은 부리 속절없이 아는구나!
■〈중간본〉에서는, ‘쇽졀업시’가 ‘쇽뎔업시’로 되어 있다.

未有開籠日 空殘宿舊枝

籠 열 나리 잇디 아니토소니 주011)
아니토소니
않으니. 아니#-+돗+오+니. ¶누니 도로 어듭거늘 제 너교 바 가다가 귓것과 모딘 이 므엽도소니 므스므라 바 나오나뇨 야 뉘으처 도로 오려 더니(心目還闇便自念言 今夜故闇 若我往者 為惡鬼猛狩見害 且還入城待曉當往)〈석상 6:19ㄴ〉. 微妙호 발와 자최와 료 어덧도소니(妙取筌蹄棄)〈두시 20:23ㄱ〉.
녜 자던 가지 갓 주012)
갓
한갓. ¶香 갓 옷곳 것 분 아니라 고로 맏 거슬 다 니르니라〈석상 13:39ㄱ〉. 세  奔走야 뇨매 갓 갓과 왜로소니(三年奔走空皮骨)〈두시 21:5ㄱ〉.
衰殘얫도다

【한자음】 미유개롱일 공잔숙구지
【언해역】 새장을 열 날이 있지 않을 것이니, 옛날에 자던 가지 한갓 쇠잔(衰殘)하여 있도다.

世人憐復損 何用羽毛奇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世옛 사미 호 주013)
호
생각하되. #-+오+.
도로 야리니 주014)
야리니
헐어버리니. ¶呪는 빌 씨오 詛 야릴 씨니 呪詛 비러  야릴 씨라〈석상 21:5ㄴ〉. 올 灌口에 戶口 야리니(今年灌口損戶口)〈두시 3:71ㄴ〉.
므슴 지츼 주015)
지츼
깃의. 짗+의. ‘짗’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지츨 帶야슈믈 붓그리며 얼구릐 어류 슬놋다(羞帶羽翮傷形愚)’ 구절 참조.
奇異호 리오 주016)
리오
쓰리오? 쓰겠는가? -+리+오. 설명 의문 어미 ‘-오’는 앞의 의문 관형사 ‘므슴’과 호응한다. ¶사용하다 : 於는 아모그 논 겨체 는 字ㅣ라 日 나리라 用  씨라〈훈언 3ㄱ〉. 이제 淸商이 이 니(今茲商用事)〈두시 10:24ㄴ〉. 비로 쓸다 : 因果 러리논 디 가시야 슬험직니 平 길란 몰라 일코 어듭고  미치도다(撥因果논디 更堪傷니 迷失夷途코 暗且狂도다)〈남명 상:77ㄱ〉. 留滯 이 이 번 러리도다(滯務茲一掃)〈두시 15:18ㄱ〉.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세인련복손 하용우모기
【언해역】 세상의 사람이 생각함을 도로 헐어버리니, 무슨 깃의 기이함을 쓰리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앵무(鸚鵡) : 이 시는 두보가 766년(대력 원년, 55세)에 기주(夔州, 사천성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의기로운 선비가 자신의 기개를 펼칠 수 없는 신세를 새장에 갇혀 있는 앵무새에 비유하여 읊은 것이다.
주002)
시름왼 : 걱정이 된. 근심스런. 시름#+. ¶鬼神은 어드워 시름왼 苦애 곗고(鬼神은 沈幽愁之苦고)〈원각 서:13ㄴ〉. 蒼梧애 구루미 正히 시름외도다 슬프다(蒼梧雲正愁)〈두시 9:33ㄱ〉.
주003)
머것니 : 먹어 있으니. 먹+어#잇++니. ¶곧 미 두려이 가 너비 國土 머것다 시니(即心이 圓明야 徧含國土ㅣ라 시니)〈능엄 2:63ㄱ〉. 烏蠻애 디 비치 赤壁을 머것도소니(烏蠻落照銜赤壁)〈두시 25:49ㄱ〉.
주004)
여희여슈믈 : 이별하여 있음을. 이별하였음을. 여희-+어#이시-+움+을. ¶貪欲 여희여 조 몸 사 하히니〈석상 3:16ㄱ〉. 이 여희요매 黃泉이 도다(此別間黃泉)〈두시 24:46ㄴ〉.
주005)
놋다 : 생각하는구나. -++옷+다. ‘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어느 殿을 當얏거든 群臣의 趨走던 이 리오(豈憶當殿群臣趨)’ 구절 참조.
주006)
기지 : 깃이. 깆+이. ¶如깃 爲巢〈훈해 57〉. 밋 불휘 닷  사로니와 가접 안햇 깃 론 와 에 라〈구간 3:121ㄱ〉.
주007)
뎔어 : 짧아. 뎌-/뎌르-+어. ¶管애  簧 두 길며 뎔오미 다니〈원각 하2-1:48ㄴ〉. 書冊 檢察노라 야 燭 라 뎌르게 고(檢書燒燭短)〈두시 15:55ㄱ〉.
주008)
업스니 : 없어지니. 15세기 국어의 ‘없다’는 형용사 이외에 ‘없어지다’ 뜻의 자동사로도 쓰였다. ¶형용사 : 獨 늘구 子息 업서 옷 모민 사미라〈석상 6:13ㄱ〉. 밥 업스며 아 업슨  婦人이니라(無食無兒一婦人)〈두시 7:22ㄱ〉. 자동사 : 부텨 업스신 後에 法 디녀(乃至佛滅住持法)〈석상 6:12ㄴ〉. 너희 무른 모미 일훔과 다  업스려니와(爾曹身與名俱滅)〈두시 16:11ㄴ〉.
주009)
프른 기지 다 뎔어 업스니 : 푸른 깃이 다 짧아져 없어지니.
주010)
쇽졀업시 : 속절없이. 쇽졀+없-+이. ¶末法은 쇽졀업시 似量이라 實 업스니라〈월석 9:7ㄴ〉. 져믄 사 즐규믈 쇽졀업시 보것다(漫看年少樂)〈두시 11:30ㄴ〉.
주011)
아니토소니 : 않으니. 아니#-+돗+오+니. ¶누니 도로 어듭거늘 제 너교 바 가다가 귓것과 모딘 이 므엽도소니 므스므라 바 나오나뇨 야 뉘으처 도로 오려 더니(心目還闇便自念言 今夜故闇 若我往者 為惡鬼猛狩見害 且還入城待曉當往)〈석상 6:19ㄴ〉. 微妙호 발와 자최와 료 어덧도소니(妙取筌蹄棄)〈두시 20:23ㄱ〉.
주012)
갓 : 한갓. ¶香 갓 옷곳 것 분 아니라 고로 맏 거슬 다 니르니라〈석상 13:39ㄱ〉. 세  奔走야 뇨매 갓 갓과 왜로소니(三年奔走空皮骨)〈두시 21:5ㄱ〉.
주013)
호 : 생각하되. #-+오+.
주014)
야리니 : 헐어버리니. ¶呪는 빌 씨오 詛 야릴 씨니 呪詛 비러  야릴 씨라〈석상 21:5ㄴ〉. 올 灌口에 戶口 야리니(今年灌口損戶口)〈두시 3:71ㄴ〉.
주015)
지츼 : 깃의. 짗+의. ‘짗’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지츨 帶야슈믈 붓그리며 얼구릐 어류 슬놋다(羞帶羽翮傷形愚)’ 구절 참조.
주016)
리오 : 쓰리오? 쓰겠는가? -+리+오. 설명 의문 어미 ‘-오’는 앞의 의문 관형사 ‘므슴’과 호응한다. ¶사용하다 : 於는 아모그 논 겨체 는 字ㅣ라 日 나리라 用  씨라〈훈언 3ㄱ〉. 이제 淸商이 이 니(今茲商用事)〈두시 10:24ㄴ〉. 비로 쓸다 : 因果 러리논 디 가시야 슬험직니 平 길란 몰라 일코 어듭고  미치도다(撥因果논디 更堪傷니 迷失夷途코 暗且狂도다)〈남명 상:77ㄱ〉. 留滯 이 이 번 러리도다(滯務茲一掃)〈두시 15:18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