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어(魚)
  • 은어[白小]
메뉴닫기 메뉴열기

은어[白小]


白小 주001)
백소(白小)
이 시는 두보가 766년(대력 원년, 55세) 기주(夔州, 사천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은어(銀魚)를 가리키는 백소(白小)에 빗대어 불인(不仁), 불의(不義)한 기주(夔州)의 풍속과 인정을 묘사한 것이다. 시에서 시인은 만물일체의 정신을 표현하고, 생명을 상하게 하지 말라는 인도주의 정신을 표현하였다.

백소
(은어)

白小群分命 天然二寸魚

白小ㅣ 무리 목수믈 주002)
백소(白小)ㅣ 무리 목수믈
백소(白小)가 무리가 목숨을. 이중주격문으로 의미는 ‘백소(白小)의 무리가 목수믈’로 볼 수 있다. 목숨+을.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호아 잇니 天然 두 寸 만 고기로다

【한자음】 백소군분명 천연이촌어
【언해역】 백소(白小)의 무리가 목숨을 나누어 있으니, 천연의 두 촌(寸) 만한 고기로다!

細微霑水族 風俗當園蔬【當 去聲이라】

細微 거시 水族 니벳도소니 주003)
수족(水族) 니벳도소니
물 속에서 사는 생물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니.
風俗 園中엣 菜蔬와 마초니라 주004)
마초니라
맞추느니라. 맞-+호++니+라. ¶波塞奇王이 綵色 마초아(時波塞奇調和衆彩)〈석상 24:10ㄴ〉. 成都애 마초아 시르미 업도다(成都適無虞)〈두시 6:37ㄴ〉.

【한자음】 세미점수족 풍속당원소【당(當)은 거성(去聲)이다.】
【언해역】 미세한 것이 수족(水族)을 입어 있으니, 풍속은 원(園) 중의 채소와 맞느니라.

入肆銀花亂 傾箱雪片虛

市肆 주005)
시사(市肆)
시장의 가게.
애 드리니 銀ㅅ 고지 주006)
은(銀)ㅅ 고지
은꽃이. 백사[은어]의 은빛을 형용한 말.
어즈러운 주007)
어즈러운
어지러운. 어즐-+업+ㄴ. ‘어즈럽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10의 ‘어즈러운 시르믈 혀 업게 호 어름 녹 다(撥煩去冰釋)’ 구절 참조.
고 箱子 기우리니  片이 주008)
 편(片)이
눈조각이. 눈+ㅅ#편+이.
뷘 도다

【한자음】 입사은화란 경상설편허
【언해역】 시장에 내 놓으니 은꽃이 어지러운 듯하고, 상자를 기울이니 눈조각이 빈 듯하도다!

生成猶拾卵 盡取義何如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나셔 이 주009)
이
이루어지는. ¶내히 이러 바래 가니(流新爲川于海必達)〈용가 2〉. 成은 일 씨라〈훈주 13〉.
거슬 오히려 알 줏니
주010)
나셔 이 거슬 오히려 알 줏니
상자에서 쏟아지자마자 팔딱대는 것을 오히려 알을 주어 댄다. 즉 ‘백소(白小)’는 자연의 생성물인데 백소의 알을 다 주어버림은 정의(正義)를 상하게 하는 것이라는 뜻.
다 자보 義예 엇더니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생성유습란 진취의하여
【언해역】 나와서 이루어지는 것을 오히려 알을 주우니, 다 잡음은 의(義)에 어떠한가?
■〈중간본〉은, 목판이 닳아서 판독이 어렵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40ㄱ

分類杜工部詩 卷之十七

【한자음】 분류두공부시언해 제17권 〈마침〉.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백소(白小) : 이 시는 두보가 766년(대력 원년, 55세) 기주(夔州, 사천 봉절현)에서 지은 것이다. 은어(銀魚)를 가리키는 백소(白小)에 빗대어 불인(不仁), 불의(不義)한 기주(夔州)의 풍속과 인정을 묘사한 것이다. 시에서 시인은 만물일체의 정신을 표현하고, 생명을 상하게 하지 말라는 인도주의 정신을 표현하였다.
주002)
백소(白小)ㅣ 무리 목수믈 : 백소(白小)가 무리가 목숨을. 이중주격문으로 의미는 ‘백소(白小)의 무리가 목수믈’로 볼 수 있다. 목숨+을.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주003)
수족(水族) 니벳도소니 : 물 속에서 사는 생물의 성질을 가지고 있으니.
주004)
마초니라 : 맞추느니라. 맞-+호++니+라. ¶波塞奇王이 綵色 마초아(時波塞奇調和衆彩)〈석상 24:10ㄴ〉. 成都애 마초아 시르미 업도다(成都適無虞)〈두시 6:37ㄴ〉.
주005)
시사(市肆) : 시장의 가게.
주006)
은(銀)ㅅ 고지 : 은꽃이. 백사[은어]의 은빛을 형용한 말.
주007)
어즈러운 : 어지러운. 어즐-+업+ㄴ. ‘어즈럽다’에 대해서는 「최종문수계책(催宗文樹雞柵)」10의 ‘어즈러운 시르믈 혀 업게 호 어름 녹 다(撥煩去冰釋)’ 구절 참조.
주008)
 편(片)이 : 눈조각이. 눈+ㅅ#편+이.
주009)
이 : 이루어지는. ¶내히 이러 바래 가니(流新爲川于海必達)〈용가 2〉. 成은 일 씨라〈훈주 13〉.
주010)
나셔 이 거슬 오히려 알 줏니 : 상자에서 쏟아지자마자 팔딱대는 것을 오히려 알을 주어 댄다. 즉 ‘백소(白小)’는 자연의 생성물인데 백소의 알을 다 주어버림은 정의(正義)를 상하게 하는 것이라는 뜻.
책목차이전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