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조(鳥)
  • 돌아가는 기러기를 바라보며 쓴 시 두 수[歸雁二首]
메뉴닫기 메뉴열기

돌아가는 기러기를 바라보며 쓴 시 두 수[歸雁二首]


歸雁二首 주001)
귀안 이수(歸雁二首)
이 시는 두보가 770년(대력 5, 59세) 봄 담주(潭州, 호남성 장사)에서 지은 것이다. 북으로 날아올라가는 기러기를 보고서, 고향을 생각하며 지은 것이다. 이 시는 원래 ‘萬里衡陽雁 今年又北歸 / 雙雙瞻客上 一一背人飛 / 雲裏相呼疾 沙邊自宿稀 / 系書元浪語 愁寂故山薇’와 ‘欲雪違胡地 先花別楚雲 / 卻過清渭影 高起洞庭群 / 塞北春陰暮 江南日色曛 / 傷弓流落羽 行斷不堪聞’의 두 수로 이루어져 있어, 제목에도 ‘이수(二首)’가 있으나, 『두시언해』에서는 구분하지 않았다. 첫수에서는 고향을 생각하는 것이고, 둘째 수에서는 돌아가는 기러기를 보고, 유랑하고 있는 자신을 노래하였다.

귀안 이수
(돌아가는 기러기를 바라보며 쓴 시 두 수)

〈첫째 수〉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19ㄴ

萬里衡陽雁 今年又北歸

萬里ㅅ 衡陽 주002)
형양(衡陽)
호남성의 형양(衡陽).
그려기 주003)
그려기
기러기. ¶곧 社앳 져비와 치윗 그려기와 귓돌와 類라〈능엄 8:121ㄴ〉. 외왼  돗기  그려기 도다(獨帆如飛鴻)〈두시 19:45ㄱ〉.
올 주004)
올
올해. 금년. ¶ 그 도즈글 자바 보내니 올 옥애셔 주그니라(却捉住那賊 發將來 今年就牢裏死了)〈번노 상:28ㄴ〉. 셔근 라 올 혼인쟈 년 혼인쟈 며셔〈순천141:5〉.
 北으로 가놋다

【한자음】 만리형양안 금년우북귀
【언해역】 만리의 형양(衡陽)의 기러기가 올해 또 북으로 가는구나!

雙雙瞻客上 一一背人飛

雙雙히 나그낼 보고 올아가고 낫나치 주005)
낫나치
낱낱이. 낯+낯+이. ¶가온론 萬物에 니르리 낫나치 子細히 에 샷다(中極萬物히 令一一詳擇也ㅣ샷다)〈능엄 2:34ㄴ〉. 낫나치 다 가짓 곳빗 도다(個個五花文)〈두시 7:31ㄱ〉.
사 뒤도라 라 가놋다

【한자음】 쌍쌍첨객상 일일배인비
【언해역】 쌍쌍이 나그네를 보고 올라가고, 낱낱이 사람을 뒤돌아 날아가는구나!

雲裏相呼疾 沙邊自宿稀

구 소개 서르 주006)
서르
서로. ‘서르’에 대해서는 「주봉행(朱鳳行)」의 ‘다 鴟梟로 여 서르 怒야 우르게 야리아(盡使鴟梟相怒號)’ 구절 참조.
블로미 주007)
블로미
부름이. 브르-+옴+이. ¶太子ㅣ 車匿이 브르샤(即命車匿)〈석상 3:29ㄴ〉. 書信이 와 조 나 브르다(書來數喚吾)〈두시 8:43ㄴ〉. 노래 부르다 : 七寶琴 놀오 놀애 브르니(彈七寶琴 ··· 歌)〈석상 11:15ㄱ〉. 南녀긧 늘근 사 巴州ㅅ 놀애 브르고(南翁巴曲醉)〈두시 11:9ㄱ〉. 배 부르다 : 祿 뫼화   브르게 홈 업고〈법화 2:28ㄴ〉. 세  眞實로  브르 듣과라(三年實飽聞)〈두시 7:14ㄴ〉.
니 주008)
니
빠르니. -+니. ¶入聲은 點 더우믄 가지로 니라(入聲은 加點이 同而促急니라)〈훈언 14ㄴ〉. 아니 너무 니여(無乃太匆忙)〈두시 8:67ㄱ〉.
몰앳 주009)
몰앳
모래의. 몰애+ㅅ. ¶더 몰애 모매 븓 苦왜라〈석상 13:8ㄱ〉. 몰애옛 며기  雙이 와 안잿도다(沙鷗並一雙)〈두시 15:53ㄱ〉.
 주010)
제가. 저의. ‘제’는 재귀대명사로 주격일 경우에는 ‘:제(상성)’, 관형격일 경우에는 ‘제(평성)’으로 쓰였다. ‘제’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 기세 브터 삿기 나콕 제 딕머기디 몯거든(寄巢生子不自啄)’ 구절 참조.
자미 드므도다

【한자음】 운리상호질 사변자숙희
【언해역】 구름 속에 서로 부름이 빠르니, 모랫가에 제 잠이 드물도다!
■〈중간본〉에서는, ‘블로미’가 ‘브로미’로 되어 있다.

繫書無浪語 愁寂故山薇【繫書 用蘇武 주011)
소무(蘇武)
(B.C. 139-B.C. 30) 전한의 충신. 무제 때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19년 동안 온갖 고초를 견디다가 마침내 귀국함.
鴈足書事 주012)
안족서사(鴈足書事)
소무(蘇武)가 흉노땅에 억류되어 있을 때, 비단에 쓴 편지를 기러기 발에 묶어 무제(武帝)에게 보낸 일.
다】

바래 야 보내욜 글워른 쇽졀업슨 주013)
쇽졀없는
속절 없는. 쇽졀#없-+는. ‘쇽졀업시’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블근 부리 쇽졀업시 해 아놋다(紅觜漫多知)’의 구절 참조.
마리 업스니 故鄕 뫼햇 고사리 시름도외얫거니라 노라

【한자음】 운리상호질 사변자숙희【계서(繫書)는 소무(蘇武)의 안족서(鴈足書, 기러기발에 묶어 보낸 글 이야기)의 일을 쓴 것이다.】
【언해역】 발에 매어 보낼 편지는 속절없는 말이 없으니, 고향 산의 고사리 시름되어 있다 하노라.(여기까지가 첫째 수이다.)

〈둘째 수〉

欲雪違胡地 先花別楚雲

누니 오고져 커늘 주014)
오랑캐의. 되+ㅅ. ‘되’에 대해서는 「왕병마사이각응(王兵馬使二角鷹)」의 ‘누 시름 되 하콰 콰 보 도다(目如愁胡視天地)’ 구절 참조.
 주015)

땅을. ㅎ+. ¶ 爲地〈훈해 48〉. 하콰 콰 日夜애 도다(乾坤日夜浮)〈두시 14:13ㄴ〉.
리고 주016)
리고
버리고. 리-+고. 보조동사 구문 ‘-어 리다’에 대해서는 「고도호총마행(高都護驄馬行)」의 ‘交河애 몃 버늘 層層인 어르믈 와 혀 리니오(交河幾蹴曾冰裂)’ 구절 참조. ¶죽사리 免 道理 아니로다 샤 리고 가시니라(今此苦行非正解脫 知非亦捨)〈석상 3:36ㄱ〉. 다 나래 해 리과라(他日委泥沙)〈두시 7:15ㄱ〉.
왯더니 고지라와 주017)
고지라와
꽃보다. 곶+이라와. ‘곶’에 대해서는 「백설(百舌)」의 ‘고지 니 갈마 보미 어렵고(花密藏難見)’ 구절 참조. ¶이비 블라와 더으니(於口 甚於猛火)〈석상 11:42ㄴ〉. 복고 블고미 錦이라와 더오 내 分엣 것 삼디 몯고 버듨개야지 소오미라와 요  믜노라(不分桃花紅勝錦 生憎柳絮白於綿)〈두시 23:23ㄱ〉.
몬져 楚ㅅ 구루믈 여희놋다 주018)
여희놋다
여의는구나. 여희-++옷+다. ‘여희다’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제  여희여슈믈 놋다(聰明憶別離)’ 구절 참조.

【한자음】 욕설위호지 선화별초운
【언해역】 눈이 오고자 하여 오랑캐의 땅을 버리고 왔더니, 꽃보다 먼저 초(楚)의 구름을 여의는구나!
■〈중간본〉에서는, ‘여희놋다’가 ‘여헤놋다’로 되어 있다.

却過清渭影 高起洞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20ㄱ

庭群

도로  渭水로 디나가 주019)
디나가
지나가는. 디나가-+. ¶錫杖 잡고 바리 받고 알로 디나가거늘(持錫掌鉢徐行駕前)〈석상 3:19ㄴ〉. 南녀그로 디나가 뵈왓보 놀라고(南過駭倉卒)〈두시 24:52ㄱ〉.
그르메로소니 주020)
그르메로소니
그르메+이+돗+오+니. ‘그르메’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北斗ㅅ 우희셔 외왼 그르메 드위텨(斗上捩孤影)’ 구절 참조.
노피 洞庭에셔 니러 주021)
니러
일어. 일어나. 닐-+어. ¶ 念 믌겨리 닐면 여러 妄이 토아 짓니(一念波興면 諸妄이 競作니)〈금삼 4:23ㄴ〉. 九萬里 가 일로브터 닐리로다(九萬起於斯)〈두시 20:49ㄴ〉.
가 무리로다 주022)
무리로다
무리이로다. 무리+(이)+도+다.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한자음】 각과청위영 고기동정군
【언해역】 도로 맑은 위수(渭水)로 지나가는 그림자이니, 높이 동정호에서 일어가는 무리로다!

塞北春陰暮 江南日色曛

邊塞 주023)
변새(邊塞)
변경에 있는 요새.
ㅅ 北녀긘  어득 주024)
어득
어득한. 어득-+ㄴ. ¶五欲애 기피 貪着야 어득야 보디 몯야(深著於五欲 盲瞑無所見)〈석상 13:57ㄱ〉. 罔 어득야 모 라〈월석 21:105ㄱ〉.
나조히오 주025)
나조히오
저녁이고. 나조ㅎ+이+고. ¶아 虛空애 나아 노다가 나조 므레 가 자니〈석상 13:10ㄴ〉. 뭀가마괴 절로 아 나조 잇고(群烏自朝夕)〈두시 24:21ㄱ〉.
 南녀긘 비치 어득도다

【한자음】 새북춘음모 강남일색훈
【언해역】 변새(邊塞)의 북녘에는 어득한 봄 저녁이고, 강 남녘엔 햇빛이 어득하도다!
■〈중간본〉에서는, ‘남(南)녀긘’이 ‘남(南)녀긔’로 되어 있다.

傷弓流落羽 行斷不堪聞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화 슬허 주026)
슬허
싫어하는. 슳-+어#-++ㄴ. ‘슳다, 슬허다, 슬프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그 소리 슬허 셟고 이베 피 흘리니(其聲哀痛口流血)’ 구절 참조.
러뎟 주027)
러뎟
떨어져 있는. -+어#디+어#잇-+. ‘다, 이다, 티다, 어디다’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것근 리 能히  번 티니(折尾能一掉)’ 구절 참조.
지치여 주028)
지치여
깃이여. 짗+이+어. ‘짗’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지츨 帶야슈믈 붓그리며 얼구릐 어류 슬놋다(羞帶羽翮傷形愚)’ 구절 참조.
行列이 그츠니 주029)
그츠니
끊어지니. 긏-+으니. ‘긏다’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뫼히 노파 길헤 사 자최 그츠니(山峻路絕蹤)’ 구절 참조.
드럼직디 주030)
드럼직디
들음직 하지. 듣-+엄+직+()+디. ‘듣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蜀ㅅ 사미 듣곡 다 니러셔니(蜀人聞之皆起立)’ 구절 참조하고, ‘듣다’에 대해서는 「수마행(瘦馬行)」의 ‘가치 라 드러 기 섯것고(皮幹剝落雜泥滓)’ 구절 참조. 또한 ‘-음직 다’에 대해서는 「계(雞)」의 ‘브베 몌오 너희 무를 얌직 도다(充庖爾輩堪)’ 구절 참조.
아니도다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상궁류락우 행단불감문
【언해역】 활을 싫어하는 떨어져 있는 깃이여! 행렬이 끊어지니 들음직 하지 아니하도다!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귀안 이수(歸雁二首) : 이 시는 두보가 770년(대력 5, 59세) 봄 담주(潭州, 호남성 장사)에서 지은 것이다. 북으로 날아올라가는 기러기를 보고서, 고향을 생각하며 지은 것이다. 이 시는 원래 ‘萬里衡陽雁 今年又北歸 / 雙雙瞻客上 一一背人飛 / 雲裏相呼疾 沙邊自宿稀 / 系書元浪語 愁寂故山薇’와 ‘欲雪違胡地 先花別楚雲 / 卻過清渭影 高起洞庭群 / 塞北春陰暮 江南日色曛 / 傷弓流落羽 行斷不堪聞’의 두 수로 이루어져 있어, 제목에도 ‘이수(二首)’가 있으나, 『두시언해』에서는 구분하지 않았다. 첫수에서는 고향을 생각하는 것이고, 둘째 수에서는 돌아가는 기러기를 보고, 유랑하고 있는 자신을 노래하였다.
주002)
형양(衡陽) : 호남성의 형양(衡陽).
주003)
그려기 : 기러기. ¶곧 社앳 져비와 치윗 그려기와 귓돌와 類라〈능엄 8:121ㄴ〉. 외왼  돗기  그려기 도다(獨帆如飛鴻)〈두시 19:45ㄱ〉.
주004)
올 : 올해. 금년. ¶ 그 도즈글 자바 보내니 올 옥애셔 주그니라(却捉住那賊 發將來 今年就牢裏死了)〈번노 상:28ㄴ〉. 셔근 라 올 혼인쟈 년 혼인쟈 며셔〈순천141:5〉.
주005)
낫나치 : 낱낱이. 낯+낯+이. ¶가온론 萬物에 니르리 낫나치 子細히 에 샷다(中極萬物히 令一一詳擇也ㅣ샷다)〈능엄 2:34ㄴ〉. 낫나치 다 가짓 곳빗 도다(個個五花文)〈두시 7:31ㄱ〉.
주006)
서르 : 서로. ‘서르’에 대해서는 「주봉행(朱鳳行)」의 ‘다 鴟梟로 여 서르 怒야 우르게 야리아(盡使鴟梟相怒號)’ 구절 참조.
주007)
블로미 : 부름이. 브르-+옴+이. ¶太子ㅣ 車匿이 브르샤(即命車匿)〈석상 3:29ㄴ〉. 書信이 와 조 나 브르다(書來數喚吾)〈두시 8:43ㄴ〉. 노래 부르다 : 七寶琴 놀오 놀애 브르니(彈七寶琴 ··· 歌)〈석상 11:15ㄱ〉. 南녀긧 늘근 사 巴州ㅅ 놀애 브르고(南翁巴曲醉)〈두시 11:9ㄱ〉. 배 부르다 : 祿 뫼화   브르게 홈 업고〈법화 2:28ㄴ〉. 세  眞實로  브르 듣과라(三年實飽聞)〈두시 7:14ㄴ〉.
주008)
니 : 빠르니. -+니. ¶入聲은 點 더우믄 가지로 니라(入聲은 加點이 同而促急니라)〈훈언 14ㄴ〉. 아니 너무 니여(無乃太匆忙)〈두시 8:67ㄱ〉.
주009)
몰앳 : 모래의. 몰애+ㅅ. ¶더 몰애 모매 븓 苦왜라〈석상 13:8ㄱ〉. 몰애옛 며기  雙이 와 안잿도다(沙鷗並一雙)〈두시 15:53ㄱ〉.
주010)
제 : 제가. 저의. ‘제’는 재귀대명사로 주격일 경우에는 ‘:제(상성)’, 관형격일 경우에는 ‘제(평성)’으로 쓰였다. ‘제’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 기세 브터 삿기 나콕 제 딕머기디 몯거든(寄巢生子不自啄)’ 구절 참조.
주011)
소무(蘇武) : (B.C. 139-B.C. 30) 전한의 충신. 무제 때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19년 동안 온갖 고초를 견디다가 마침내 귀국함.
주012)
안족서사(鴈足書事) : 소무(蘇武)가 흉노땅에 억류되어 있을 때, 비단에 쓴 편지를 기러기 발에 묶어 무제(武帝)에게 보낸 일.
주013)
쇽졀없는 : 속절 없는. 쇽졀#없-+는. ‘쇽졀업시’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블근 부리 쇽졀업시 해 아놋다(紅觜漫多知)’의 구절 참조.
주014)
됫 : 오랑캐의. 되+ㅅ. ‘되’에 대해서는 「왕병마사이각응(王兵馬使二角鷹)」의 ‘누 시름 되 하콰 콰 보 도다(目如愁胡視天地)’ 구절 참조.
주015)
 : 땅을. ㅎ+. ¶ 爲地〈훈해 48〉. 하콰 콰 日夜애 도다(乾坤日夜浮)〈두시 14:13ㄴ〉.
주016)
리고 : 버리고. 리-+고. 보조동사 구문 ‘-어 리다’에 대해서는 「고도호총마행(高都護驄馬行)」의 ‘交河애 몃 버늘 層層인 어르믈 와 혀 리니오(交河幾蹴曾冰裂)’ 구절 참조. ¶죽사리 免 道理 아니로다 샤 리고 가시니라(今此苦行非正解脫 知非亦捨)〈석상 3:36ㄱ〉. 다 나래 해 리과라(他日委泥沙)〈두시 7:15ㄱ〉.
주017)
고지라와 : 꽃보다. 곶+이라와. ‘곶’에 대해서는 「백설(百舌)」의 ‘고지 니 갈마 보미 어렵고(花密藏難見)’ 구절 참조. ¶이비 블라와 더으니(於口 甚於猛火)〈석상 11:42ㄴ〉. 복고 블고미 錦이라와 더오 내 分엣 것 삼디 몯고 버듨개야지 소오미라와 요  믜노라(不分桃花紅勝錦 生憎柳絮白於綿)〈두시 23:23ㄱ〉.
주018)
여희놋다 : 여의는구나. 여희-++옷+다. ‘여희다’에 대해서는 「앵무(鸚鵡)」의 ‘제  여희여슈믈 놋다(聰明憶別離)’ 구절 참조.
주019)
디나가 : 지나가는. 디나가-+. ¶錫杖 잡고 바리 받고 알로 디나가거늘(持錫掌鉢徐行駕前)〈석상 3:19ㄴ〉. 南녀그로 디나가 뵈왓보 놀라고(南過駭倉卒)〈두시 24:52ㄱ〉.
주020)
그르메로소니 : 그르메+이+돗+오+니. ‘그르메’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北斗ㅅ 우희셔 외왼 그르메 드위텨(斗上捩孤影)’ 구절 참조.
주021)
니러 : 일어. 일어나. 닐-+어. ¶ 念 믌겨리 닐면 여러 妄이 토아 짓니(一念波興면 諸妄이 競作니)〈금삼 4:23ㄴ〉. 九萬里 가 일로브터 닐리로다(九萬起於斯)〈두시 20:49ㄴ〉.
주022)
무리로다 : 무리이로다. 무리+(이)+도+다. ‘물, 믈, 무리’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물 盜賊이 어느 머므러시리오(群盜何淹留)’ 구절 참조.
주023)
변새(邊塞) : 변경에 있는 요새.
주024)
어득 : 어득한. 어득-+ㄴ. ¶五欲애 기피 貪着야 어득야 보디 몯야(深著於五欲 盲瞑無所見)〈석상 13:57ㄱ〉. 罔 어득야 모 라〈월석 21:105ㄱ〉.
주025)
나조히오 : 저녁이고. 나조ㅎ+이+고. ¶아 虛空애 나아 노다가 나조 므레 가 자니〈석상 13:10ㄴ〉. 뭀가마괴 절로 아 나조 잇고(群烏自朝夕)〈두시 24:21ㄱ〉.
주026)
슬허 : 싫어하는. 슳-+어#-++ㄴ. ‘슳다, 슬허다, 슬프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그 소리 슬허 셟고 이베 피 흘리니(其聲哀痛口流血)’ 구절 참조.
주027)
러뎟 : 떨어져 있는. -+어#디+어#잇-+. ‘다, 이다, 티다, 어디다’에 대해서는 「의골행(義鶻行)」의 ‘것근 리 能히  번 티니(折尾能一掉)’ 구절 참조.
주028)
지치여 : 깃이여. 짗+이+어. ‘짗’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지츨 帶야슈믈 붓그리며 얼구릐 어류 슬놋다(羞帶羽翮傷形愚)’ 구절 참조.
주029)
그츠니 : 끊어지니. 긏-+으니. ‘긏다’에 대해서는 「봉황대(鳳凰臺)」의 ‘뫼히 노파 길헤 사 자최 그츠니(山峻路絕蹤)’ 구절 참조.
주030)
드럼직디 : 들음직 하지. 듣-+엄+직+()+디. ‘듣다’에 대해서는 「두견행(杜鵑行)」의 ‘蜀ㅅ 사미 듣곡 다 니러셔니(蜀人聞之皆起立)’ 구절 참조하고, ‘듣다’에 대해서는 「수마행(瘦馬行)」의 ‘가치 라 드러 기 섯것고(皮幹剝落雜泥滓)’ 구절 참조. 또한 ‘-음직 다’에 대해서는 「계(雞)」의 ‘브베 몌오 너희 무를 얌직 도다(充庖爾輩堪)’ 구절 참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