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 역주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
  • 조(鳥)
  • 천둥오리[花鴨]
메뉴닫기 메뉴열기

천둥오리[花鴨]


花鴨 주001)
화압(花鴨)
두보가 762년(報應 元年, 51세) 봄에 [江頭五詠]의 한 수로 ‘천둥오리[花鴨]’에 빗대어 자신을 읊은 시이다.

화압
(천둥오리)

花鴨無泥滓 堦前每緩行

빗올히 주002)
빗올히
빛의 오리가. 빛+ㅅ#올히. 아마도 오리의 깃털이 빛에 반사되어, 무지개빛이 나는 오리를 형용한 것으로 보인다.
 무든  업스니 堦砌ㅅ 알셔 每常 주003)
매상(每常)
매양. 번번이. 항상. 매상(每常)은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한글로 표기되기도 한다. 한자음의 한글 표기이었던 ‘’이 음운 변화를 거쳐, 현대국어의 ‘매양’으로 발전한 단어이다.
날회야 주004)
날회야
천천히. 천천히 하여. 날회-+아. ‘날회야’는 ‘천천히 하다’의 뜻인 ‘날호다’의 사동사 ‘날회다’에 부동사 어미 ‘-어’가 결합한 형태인데, 동사의 활용형이라기보다 부사로 발전하여 쓰였던 듯하다. 날호다, 날회다, 날호이다, 날혹다 참조. ¶날호다 : 夫人이 구지저 닐오 네 날호야 니면 엇뎨 업더디리오 더라(夫人이 未嘗不呵責曰호 汝ㅣ 若安徐면 寧至踣乎ㅣ리오더라)〈내훈 3:30ㄴ〉. 날호야 거러 더위자바 올오미 이쇼라(緩步有躋攀)〈두시 10:15ㄴ〉. 날회다 : 키 날회야 호미 외니 날회야 면 話頭 니저 昏沈과 雜念괘 들리라(不可大緩이니 緩則忘却話頭야 入昏沈掉舉去也리라)〈몽산 23ㄱ〉. 날혹다 : 오좀을 녀허 글혀 두 되어든 두 번에 화 날혹기 먹고 두퍼  나게 면  됴리라(少男兒尿 先熬豉葱令相得則投小便煮取二升分再服徐徐服之覆令汗神驗)〈구간 1:105ㄴ〉.
니다

【한자음】 화압무니재 계전매완행
【언해역】 빛난 오리가 흙 묻은 데 없으니, 섬돌 앞에서 매양 천천히 다닌다.

羽毛知獨立 黑白大分明【獨立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7:23ㄴ

은 言羽毛ㅣ 異於衆鳥也ㅣ라】

지치 獨立혼 주005)
독립(獨立)혼
독립한. 남다른. 원주(原註)에 의하면 ‘독립(獨立)’이란 깃털이 다른 새들의 깃털과 다름을 가리킨다.
고 주006)
고
것을. 15세기 국어의 ‘곧’은 ‘것’의 뜻과 ‘곳’의 뜻이 모두 있는데, 전자가 훨씬 많이 쓰였고, 여기의 ‘고’도 전자의 의미로 쓰였다. ¶것 : 다 如來ㅅ 威力이론 고 아라라(當知皆是如來威力)〈석상 9:28ㄱ〉. 곳 : 不用處는 디 아니 고디니 긔 無所有處ㅣ라〈석상 3:35ㄴ〉.
아노니 거므며 요미 너무 주007)
너무
매우. 원시(元詩)의 ‘太’의 번역이다. 현대국어 학교문법에서는 ‘너무’가 항상 부정어와 호응하는 부정극어라 한 적이 있지만, 15세기 국어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는데, 여기의 ‘너무’가 바로 부정극어가 아닌 예에 속한다. ‘너무’는 일반적으로 ‘과(過)’의 번역어로 쓰이나, ‘과(過)’의 번역어로는 ‘너무’ 이외에 ‘’도 쓰인다. ¶ 우흿 두 하 너무 게을이 便安고(上二天中憍逸自恣)〈석상 6:36ㄱ〉. 너무 게을어 옷 자쇼 므던히 너기고(過懶從衣結)〈두시 10:13ㄴ〉.
分明도다

【한자음】 우모지독립 흑백태분명【독립(獨立)은 우모(羽毛)가 뭇 새들의 것과 다름을 말한다.】
【언해역】 깃이 남다른 것을 알고 있으니, 검으며 흼이 너무 분명하도다!

不覺群心妬 休牽衆眼驚

뭀 매 새오 주008)
새오
시샘하는. 시기하는. 질투하는. 새오-+. ¶앗기며 貪며  믜며 새오로 됴티 몯 根源을 일울(慳貪嫉妬 成就諸不善根故)〈석상 13:56ㄴ〉.
 아디 몯니 뭀 누늬 놀라 호 주009)
놀라 호
놀램을.
혀디 말라

【한자음】 불각군심투 휴견중안경
【언해역】 뭇 마음에 시샘하는 줄 알지 못하니, 뭇 눈의 놀램을 끌지 말라.

稻粱霑汝在 作意莫先鳴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稻粱로 주010)
도량(稻粱)로
벼와 조로.
머규미 주011)
머규미
먹임이. 먹-+이+움+이.
잇니 들 니와다 주012)
니와다
일으켜. 니-+왇+아. ¶須達이 이 말 듣고 부텻긔 發心 니와다 언제 새어든 부텨를 가 보려뇨 더니(須達聞說如此妙事 歡喜踊躍感念信敬 企望至曉當往見佛 誠款神應見地明曉尋明即往羅閱城門)〈석상 6:19ㄱ〉.  니와다셔 雄材 슬노라(激烈傷雄才)〈두시 3:64ㄱ〉.
게 몬져 우디 말라
Ⓒ 편찬 | 유윤겸, 유휴복, 조위, 의침 등 / 1481년(성종 12)

【한자음】 도량첨여재 작의막선명
【언해역】 도량(稻粱)으로 너 먹임이 있으니, 뜻을 일으켜 남에게 먼저 울지 말라.
Ⓒ 역자 | 김영배, 김성주 / 2015년 12월 3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화압(花鴨) : 두보가 762년(報應 元年, 51세) 봄에 [江頭五詠]의 한 수로 ‘천둥오리[花鴨]’에 빗대어 자신을 읊은 시이다.
주002)
빗올히 : 빛의 오리가. 빛+ㅅ#올히. 아마도 오리의 깃털이 빛에 반사되어, 무지개빛이 나는 오리를 형용한 것으로 보인다.
주003)
매상(每常) : 매양. 번번이. 항상. 매상(每常)은 한자로 표기되어 있지만, 한글로 표기되기도 한다. 한자음의 한글 표기이었던 ‘’이 음운 변화를 거쳐, 현대국어의 ‘매양’으로 발전한 단어이다.
주004)
날회야 : 천천히. 천천히 하여. 날회-+아. ‘날회야’는 ‘천천히 하다’의 뜻인 ‘날호다’의 사동사 ‘날회다’에 부동사 어미 ‘-어’가 결합한 형태인데, 동사의 활용형이라기보다 부사로 발전하여 쓰였던 듯하다. 날호다, 날회다, 날호이다, 날혹다 참조. ¶날호다 : 夫人이 구지저 닐오 네 날호야 니면 엇뎨 업더디리오 더라(夫人이 未嘗不呵責曰호 汝ㅣ 若安徐면 寧至踣乎ㅣ리오더라)〈내훈 3:30ㄴ〉. 날호야 거러 더위자바 올오미 이쇼라(緩步有躋攀)〈두시 10:15ㄴ〉. 날회다 : 키 날회야 호미 외니 날회야 면 話頭 니저 昏沈과 雜念괘 들리라(不可大緩이니 緩則忘却話頭야 入昏沈掉舉去也리라)〈몽산 23ㄱ〉. 날혹다 : 오좀을 녀허 글혀 두 되어든 두 번에 화 날혹기 먹고 두퍼  나게 면  됴리라(少男兒尿 先熬豉葱令相得則投小便煮取二升分再服徐徐服之覆令汗神驗)〈구간 1:105ㄴ〉.
주005)
독립(獨立)혼 : 독립한. 남다른. 원주(原註)에 의하면 ‘독립(獨立)’이란 깃털이 다른 새들의 깃털과 다름을 가리킨다.
주006)
고 : 것을. 15세기 국어의 ‘곧’은 ‘것’의 뜻과 ‘곳’의 뜻이 모두 있는데, 전자가 훨씬 많이 쓰였고, 여기의 ‘고’도 전자의 의미로 쓰였다. ¶것 : 다 如來ㅅ 威力이론 고 아라라(當知皆是如來威力)〈석상 9:28ㄱ〉. 곳 : 不用處는 디 아니 고디니 긔 無所有處ㅣ라〈석상 3:35ㄴ〉.
주007)
너무 : 매우. 원시(元詩)의 ‘太’의 번역이다. 현대국어 학교문법에서는 ‘너무’가 항상 부정어와 호응하는 부정극어라 한 적이 있지만, 15세기 국어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는데, 여기의 ‘너무’가 바로 부정극어가 아닌 예에 속한다. ‘너무’는 일반적으로 ‘과(過)’의 번역어로 쓰이나, ‘과(過)’의 번역어로는 ‘너무’ 이외에 ‘’도 쓰인다. ¶ 우흿 두 하 너무 게을이 便安고(上二天中憍逸自恣)〈석상 6:36ㄱ〉. 너무 게을어 옷 자쇼 므던히 너기고(過懶從衣結)〈두시 10:13ㄴ〉.
주008)
새오 : 시샘하는. 시기하는. 질투하는. 새오-+. ¶앗기며 貪며  믜며 새오로 됴티 몯 根源을 일울(慳貪嫉妬 成就諸不善根故)〈석상 13:56ㄴ〉.
주009)
놀라 호 : 놀램을.
주010)
도량(稻粱)로 : 벼와 조로.
주011)
머규미 : 먹임이. 먹-+이+움+이.
주012)
니와다 : 일으켜. 니-+왇+아. ¶須達이 이 말 듣고 부텻긔 發心 니와다 언제 새어든 부텨를 가 보려뇨 더니(須達聞說如此妙事 歡喜踊躍感念信敬 企望至曉當往見佛 誠款神應見地明曉尋明即往羅閱城門)〈석상 6:19ㄱ〉.  니와다셔 雄材 슬노라(激烈傷雄才)〈두시 3:64ㄱ〉.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