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벽법(瘟疫辟法)
  • 온역벽법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벽법 7


馬蹄屑二兩盛絳囊帶之男左女右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굽 주001)
굽:
말굽[馬蹄]. 말의 발톱.
슬 주002)
슬:
슳-[屑]+-(관형사형 어미). 깎은.
 두 냥을 블근 주머니예 녀허 나 주003)
나:
사나이. 남자.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로 표기되었는데 그 이후 자음군 ‘ㅻ’ 사이에 모음 ‘’가 첨가되어 ‘아’ 또는 ‘나’가 되었다.
는 왼녁 계집 주004)
계집:
여자. 중세 국어에서는 ‘겨집’으로 표기하였다.
올(흔) 녁 주005)
올 녁:
올[右]+녘[方向]+-(처격 조사). 오른쪽에.
라 주006)
라:
-[佩]+-라(명령형 어미). 차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말굽을 깎은 가루 두 냥을 붉은 주머니에 넣어서 남자는 왼쪽, 여자는 오른쪽에 차고 있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굽:말굽[馬蹄]. 말의 발톱.
주002)
슬:슳-[屑]+-(관형사형 어미). 깎은.
주003)
나:사나이. 남자.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로 표기되었는데 그 이후 자음군 ‘ㅻ’ 사이에 모음 ‘’가 첨가되어 ‘아’ 또는 ‘나’가 되었다.
주004)
계집:여자. 중세 국어에서는 ‘겨집’으로 표기하였다.
주005)
올 녁:올[右]+녘[方向]+-(처격 조사). 오른쪽에.
주006)
라:-[佩]+-라(명령형 어미). 차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