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대두온(大頭瘟)
  • 온역발황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발황 4


針法頭面腫盛宜周匝針刺以出惡血尤妙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침주 법은 머리과 주001)
머리과:
머리[頭]+-과(접속 조사). 머리와. 중세 국어에서 접속 조사 ‘-와/과’는 체언의 음운 조건에 따라 현재와 같이 체언의 끝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와’, 자음인 경우에는 ‘-과’로 교체되지만, 체언의 끝소리가 ㄹ일 경우에는 현재와 달리 ‘-와’가 쓰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머리’ 아래에서 ‘-과’가 쓰였다. 이처럼 ‘-와’가 실현되어야 할 환경에서 ‘-과’가 나타나는 혼란이 16세기부터 종종 발견된다. 이 책 2ㄱ에는 “머리와 몸이 알며”에서 보듯이 ‘머리’ 다음에 본래대로 ‘-와’가 쓰였다.
치 주002)
치:
[面]+-이(주격 조사). 낯이. 얼굴이.
장 븟거든 맛당히 침을 오로 주003)
오로:
온전히.
두로 주004)
두로:
두루.
주어 모딘 피를 내면 더옥 됸니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침주는 법은, 머리와 얼굴이 매우 부어오르거든 마땅히 침을 온전히 두루 주어서 나쁜 피를 내게 하는 법인데, 이렇게 하면 더욱 좋아진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머리과:머리[頭]+-과(접속 조사). 머리와. 중세 국어에서 접속 조사 ‘-와/과’는 체언의 음운 조건에 따라 현재와 같이 체언의 끝소리가 모음인 경우에는 ‘-와’, 자음인 경우에는 ‘-과’로 교체되지만, 체언의 끝소리가 ㄹ일 경우에는 현재와 달리 ‘-와’가 쓰였다. 그런데 여기서는 ‘머리’ 아래에서 ‘-과’가 쓰였다. 이처럼 ‘-와’가 실현되어야 할 환경에서 ‘-과’가 나타나는 혼란이 16세기부터 종종 발견된다. 이 책 2ㄱ에는 “머리와 몸이 알며”에서 보듯이 ‘머리’ 다음에 본래대로 ‘-와’가 쓰였다.
주002)
치:[面]+-이(주격 조사). 낯이. 얼굴이.
주003)
오로:온전히.
주004)
두로:두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