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발황(瘟疫發黃)
  • 온역발황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발황 1


瘟疫發黃面目身體皆黃小便亦黃茵蔯葉一兩水一升半煎至七合去滓不拘時日服一貼以差爲度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시병으로 치며 주001)
치며:
[顔]+-이며(접속 조사). 얼굴이며.
눈이며 온몸이 다 누로며 주002)
누로며:
누로-[黃]+-며(대등적 연결 어미). 누레지며.
오좀 주003)
오좀:
오줌.
이  누로니 져븨 주004)
져븨:
제비쑥. 제비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잎은 어긋맞게 나고 쐐기꼴이며, 7~9월에 줄기 끝에서 연노란 꽃이 우산 모양으로 빽빽하게 핀다. 어린잎은 먹고 사료로도 쓰며 한방에서 청호(靑蒿)라 하여 약재로 쓴다.
 냥의 믈  되 반 브어 칠 홉 되게 달혀 즈의란 리고 주005)
리고:
리-[棄]+-고(대등적 연결 어미). 버리고.
아므 주006)
아므:
아무. 이는 중세 국어에서부터 일관되게 ‘아모’로 표기되었는데 근대 국어에 와서 ‘아므’의 형태가 혼용되기 시작하였다.
주007)
:
때[時]. 이는 중세 국어에서 ‘’로 표기되었으나 근대 국어로 오면서 어두자음군 ㅴ, ㅵ이 사라지면서 ‘’는 ‘’로 표기하게 되었다.
예나 머그되 됴토록 주008)
됴토록:
둏-[愈]+-도록(부사형 어미). 좋아지도록. 좋아질 때까지.
머그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전염병으로 얼굴이며 눈이며 온몸이 다 누렇게 되며, 오줌이 또 누레지면, 제비쑥 한 냥에 물 한 되 반을 부어 칠 홉이 되도록 달여서 찌꺼기는 버리고 아무 때에나 먹되 좋아질 때까지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치며:[顔]+-이며(접속 조사). 얼굴이며.
주002)
누로며:누로-[黃]+-며(대등적 연결 어미). 누레지며.
주003)
오좀:오줌.
주004)
져븨:제비쑥. 제비쑥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잎은 어긋맞게 나고 쐐기꼴이며, 7~9월에 줄기 끝에서 연노란 꽃이 우산 모양으로 빽빽하게 핀다. 어린잎은 먹고 사료로도 쓰며 한방에서 청호(靑蒿)라 하여 약재로 쓴다.
주005)
리고:리-[棄]+-고(대등적 연결 어미). 버리고.
주006)
아므:아무. 이는 중세 국어에서부터 일관되게 ‘아모’로 표기되었는데 근대 국어에 와서 ‘아므’의 형태가 혼용되기 시작하였다.
주007)
:때[時]. 이는 중세 국어에서 ‘’로 표기되었으나 근대 국어로 오면서 어두자음군 ㅴ, ㅵ이 사라지면서 ‘’는 ‘’로 표기하게 되었다.
주008)
됴토록:둏-[愈]+-도록(부사형 어미). 좋아지도록. 좋아질 때까지.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