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이등의하(瘟疫裡▼(疒*登)宜下)
  • 온역이등의하 8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이등의하 8


藍葉汁主天行瘟疫熱狂取靑藍葉搗取汁飮之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주001)
족[藍]:
쪽. 여뀟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높이는 5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7~8월에 붉은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은 염료로 쓴다. 중국, 인도차이나가 원산지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부록의 ‘쪽’ 참조.
닙 즙은 시병 열 라 주002)
열 라:
열 나[發熱]. 근대 국어에 오면 ‘진실노, 흘너[流]’에서 보듯이 모음 사이에서 ㄹㄹ과 ㄹㄴ이 혼용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여기서도 ‘열 나’가 ‘열 라’로 혼기된 것이다.
미친  고티니 프 주003)
프:
푸른.
닙플 주004)
닙플:
닢[葉]+-을(목적격 조사). 잎을. ‘닢을’의 중철 표기로 ‘닙플’이 쓰인 것이다.
허 주005)
허:
-[搗]+-어(연결 어미). 찧어. ≪구급방≫과 ≪구급 간이방≫에서는 ‘딯다’와 ‘다’가 함께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 책에서는 경음화한 ‘다’의 표기만 나타난다.
즙을 내여 머그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쪽잎[藍葉]을 짜서 만든 즙은 전염병으로 열이 나서 미치게 된 것을 고치니, 푸른 쪽잎을 찧어 즙을 내어서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족[藍]:쪽. 여뀟과의 한해살이풀로서, 높이는 50~60cm이며,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다. 7~8월에 붉은 꽃이 수상(穗狀)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수과(瘦果)를 맺는다. 잎은 염료로 쓴다. 중국, 인도차이나가 원산지로 전 세계에 분포한다. 부록의 ‘쪽’ 참조.
주002)
열 라:열 나[發熱]. 근대 국어에 오면 ‘진실노, 흘너[流]’에서 보듯이 모음 사이에서 ㄹㄹ과 ㄹㄴ이 혼용되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여기서도 ‘열 나’가 ‘열 라’로 혼기된 것이다.
주003)
프:푸른.
주004)
닙플:닢[葉]+-을(목적격 조사). 잎을. ‘닢을’의 중철 표기로 ‘닙플’이 쓰인 것이다.
주005)
허:-[搗]+-어(연결 어미). 찧어. ≪구급방≫과 ≪구급 간이방≫에서는 ‘딯다’와 ‘다’가 함께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으나 이 책에서는 경음화한 ‘다’의 표기만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