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대두온(大頭瘟)
  • 온역발황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발황 6


陳米飮靑粱飮亦佳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무근 주001)
무근:
묵-[陳]+-은(관형사형 어미). 묵은. 오래된.
니 주002)
니:
입쌀. 멥쌀.
달힌 믈과 주003)
믈과:
믈[水]+-과(접속 조사). 물과. 중세 국어에서 접속 조사 ‘-와/과’의 연결에 있어 체언의 끝소리가 ㄹ일 경우에는 현재와 달리 ‘-와’가 쓰였다. 따라서 명사 ‘믈’의 경우에는 ‘믈와’가 되었다. 그러나 이 책에 와서는 ‘믈’ 아래에 ‘-과’가 연결되어 현대어와 같은 사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동 주004)
동:
생동찰. 생동찰은 이삭에 털이 많고 알이 적으며[芒多米少] 조 가운데 약간 크고 청흑색(靑黑色)을 띤 차조의 한 가지로, 금수(金水)의 기운을 받은 까닭에 약성(藥性)이 매우 차서[凉] 환자에게 좋은 식품이라는 것이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설명이다. 또 맛은 달고 독이 없다고 했다. 청량미(靑粱米)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푸른 좁쌀을 지칭하는 말로 쓰나 의약계(醫藥界)에서는 ‘회색빛 차조’를 가리킨다. 식물명은 생동찰[靑粱]이며 방아로 찧은 좁쌀을 생동쌀 또는 청정미(靑精米)라 부른다.
달힌 믈이  됴니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묵은 멥쌀을 달인 물과 생동찰[靑粱]을 달인 물이 또한 좋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무근:묵-[陳]+-은(관형사형 어미). 묵은. 오래된.
주002)
니:입쌀. 멥쌀.
주003)
믈과:믈[水]+-과(접속 조사). 물과. 중세 국어에서 접속 조사 ‘-와/과’의 연결에 있어 체언의 끝소리가 ㄹ일 경우에는 현재와 달리 ‘-와’가 쓰였다. 따라서 명사 ‘믈’의 경우에는 ‘믈와’가 되었다. 그러나 이 책에 와서는 ‘믈’ 아래에 ‘-과’가 연결되어 현대어와 같은 사용법을 나타내고 있다.
주004)
동:생동찰. 생동찰은 이삭에 털이 많고 알이 적으며[芒多米少] 조 가운데 약간 크고 청흑색(靑黑色)을 띤 차조의 한 가지로, 금수(金水)의 기운을 받은 까닭에 약성(藥性)이 매우 차서[凉] 환자에게 좋은 식품이라는 것이 ≪본초강목(本草綱目)≫의 설명이다. 또 맛은 달고 독이 없다고 했다. 청량미(靑粱米)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푸른 좁쌀을 지칭하는 말로 쓰나 의약계(醫藥界)에서는 ‘회색빛 차조’를 가리킨다. 식물명은 생동찰[靑粱]이며 방아로 찧은 좁쌀을 생동쌀 또는 청정미(靑精米)라 부른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