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벽법(瘟疫辟法)
  • 온역벽법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벽법 5


東向桃枝細剉煮湯浴之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동녁흐로 향 복셩화 주001)
복셩화:
복숭아나무. 부록의 ‘복숭아나무’ 참조.
가지를 게 주002)
게:
-[細]+-게(부사형 어미). 잘게. 중세 국어에서 ㄹ 다음의 ㄱ은 탈락하였는데, 이 문헌에 와서는 ㄱ 탈락 현상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싸흐라 달힌 믈의 모욕 주003)
모욕:
미역(물에 몸을 담그고 씻거나 노는 일). 목욕.
므라 주004)
므라:
-[浴]+-으라(명령형 어미). 〈미역을〉 감으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동쪽으로 향한 복숭아나무 가지를 잘게 썰어서 달인 물에 멱 감아라.
〈덧붙임〉
참고로 위의 한문 원문과 동일한 원문을 두고 이보다 앞서 번역이 이루어졌던 ≪간이 벽온방≫(1578)의 언해문을 보이면 다음과 같다.
“東녁으로 向 복화 가지 에 사라 달힌 믈로 목욕 므라”(15ㄱ)
이상은 70년이 넘게 차이가 있는 두 문헌 사이에 달라진 것이 무엇인지를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음운 현상으로는 먼저 ‘東녁으로〉동녁흐로’(유기음화), ‘사라〉싸흐라’(경음화) ‘목욕〉모욕’(자음 탈락) 등이 일어났음을 들 수 있다. 그리고 ≪간이 벽온방≫에서는 ‘에’에서 볼 수 있듯이 ㄹ 아래 ㄱ탈락 현상이 실현되고 있으나 ≪벽온신방≫에서는 ㄱ탈락 현상이 소멸되었음을 ‘게’를 통해 알 수 있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복셩화:복숭아나무. 부록의 ‘복숭아나무’ 참조.
주002)
게:-[細]+-게(부사형 어미). 잘게. 중세 국어에서 ㄹ 다음의 ㄱ은 탈락하였는데, 이 문헌에 와서는 ㄱ 탈락 현상이 존재하지 않게 되었다.
주003)
모욕:미역(물에 몸을 담그고 씻거나 노는 일). 목욕.
주004)
므라:-[浴]+-으라(명령형 어미). 〈미역을〉 감으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