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이등의하(瘟疫裡▼(疒*登)宜下)
  • 온역이등의하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이등의하 16


熱病及傷寒大便滑泄取滑石末六錢甘草末一錢米飮或蜜水調服以差爲度一名益元散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시병과 샹한 주001)
샹한(傷寒):
추위에 상해서 생긴 병. 감기, 급성 열병, 폐렴 같은 질환을 가리킨다.
에 대변이 즈츼거든 주002)
즈츼거든:
즈츼-[泄]+-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설사하거든.
활셕 주003)
활셕(滑石):
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암석으로 색깔은 백색, 은백색, 담녹색 등이 있으며 아트지를 가공할 때의 재료가 되거나 화장품, 보온용 내화재 등에 사용하지만 한약재로도 쓰인다. 부록 참조.
 주004)
:
가루[粉].
엿 돈과 감초   돈을 니 주005)
니:
입쌀. 멥쌀.
달힌 믈의 거나 혹 믈에  머그되 됴토록 주006)
:
한도(限度).
을 삼으라 약 일홈 주007)
일홈:
이름. 15세기 국어에는 ‘일훔’으로만 나타난다.
익원산 주008)
익원산(益元散):
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열(熱)이 많이 나며 갈증이 심하거나, 더위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이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전염병과 추위에 상하여 생긴 병으로 대변이 설사로 나오거든 활석 가루 여섯 돈과 감초 가루 한 돈을 멥쌀을 달인 물, 즉 미음(米飮)에 타거나 혹은 꿀물에 타서 먹되 좋아질 때까지 먹어라. 약 이름은 익원산(益元散)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샹한(傷寒):추위에 상해서 생긴 병. 감기, 급성 열병, 폐렴 같은 질환을 가리킨다.
주002)
즈츼거든:즈츼-[泄]+-거든(종속적 연결 어미). 설사하거든.
주003)
활셕(滑石):운모와 같은 결정구조를 가지는 단사정계(單斜晶系)에 속하는 암석으로 색깔은 백색, 은백색, 담녹색 등이 있으며 아트지를 가공할 때의 재료가 되거나 화장품, 보온용 내화재 등에 사용하지만 한약재로도 쓰인다. 부록 참조.
주004)
:가루[粉].
주005)
니:입쌀. 멥쌀.
주006)
:한도(限度).
주007)
일홈:이름. 15세기 국어에는 ‘일훔’으로만 나타난다.
주008)
익원산(益元散):여름에 땀을 많이 흘리고 열(熱)이 많이 나며 갈증이 심하거나, 더위 먹어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을 치료하는 처방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