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이등의하(瘟疫裡▼(疒*登)宜下)
  • 온역이등의하 9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이등의하 9


水中細苔主天行瘟疫熱悶多採搗絞取汁飮之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가온대 주001)
가온대:
가운데. 속.
 주002)
:
-[細]+-ㄴ(관형사형 어미). 가느다란. 보드라운. 용언의 어간 말음 ㄹ은 ㄴ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잇기 주003)
잇기:
잇기[苔]+-(보조사). 이끼는. ‘잇기’가 중세 국어에서는 ‘잇’ 또는 ‘’으로 나타난다.
시병의 열여 답답 증을 고티니 만히 야 주004)
야:
-[採]+-아(연결 어미). 캐어.
허 즙을 내여 머그

벽온신방:8ㄴ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물속의 보드라운 이끼는 전염병으로 열이 나서 답답한 증세를 고치니, 많이 캔 다음 찧어 즙을 내어서 먹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가온대:가운데. 속.
주002)
:-[細]+-ㄴ(관형사형 어미). 가느다란. 보드라운. 용언의 어간 말음 ㄹ은 ㄴ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한다.
주003)
잇기:잇기[苔]+-(보조사). 이끼는. ‘잇기’가 중세 국어에서는 ‘잇’ 또는 ‘’으로 나타난다.
주004)
야:-[採]+-아(연결 어미). 캐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