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부전염법(不傳染法)
  • 부전염법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전염법 5


石雄黃末調香油濃塗鼻竅中雖與病人同床亦不相染朝夕點之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셕웅황  주001)
:
[粉]+-(목적격 조사). 가루를. 명사 ‘’는 그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끝모음 ‘’가 탈락하고 ㄹ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붙어 명사의 어형이 ‘’로 교체되는 변동이 일어난다. 그리하여 ‘’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면 ‘이, , ’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다가 17세기에 오면 모음의 조사에 ㄹ이 첨가되어 ‘이, , ’ 등이 ‘리, , ’ 형으로 나타난다.
기의 라 주002)
라:
-[水調]+-아(연결 어미). 〈물에〉 말아. 개어.
콧굼게 주003)
콧굼게:
코[鼻]+-ㅅ(사이시옷)+구무(穴)+-에(처격 조사). 콧구멍에.
걸게 주004)
걸게:
걸-[濃]+-게(부사형 어미). 걸쭉하게. 진하게.
면 주005)
면:
-[塗]+-면(종속적 연결 어미). 바르면.
비륵 주006)
비륵:
비록.
병든 사과  주007)
:
한데. 한곳에.
안자도 주008)
안자도:
앉-[坐]+-아도(종속적 연결 어미). 앉아도.
 서 옴

벽온신방:17ㄱ

디 아니니 아져녁 주009)
아져녁[朝夕]:
아침저녁. 15세기에는 조석(朝夕)을 ‘아나조’ ‘아나죄’로 표현하였다.
으로 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석웅황의 가루를 참기름에 개어 콧구멍에 걸쭉하게 해서 바르면 비록 병든 사람과 한데 앉아도 또한 서로에게 병이 옮지 아니하니 아침저녁으로 발라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粉]+-(목적격 조사). 가루를. 명사 ‘’는 그 다음에 모음으로 시작되는 조사가 연결되면 명사의 끝모음 ‘’가 탈락하고 ㄹ은 앞 음절의 받침으로 붙어 명사의 어형이 ‘’로 교체되는 변동이 일어난다. 그리하여 ‘’에 모음의 조사가 연결되면 ‘이, , ’ 등으로 나타난다. 그러다가 17세기에 오면 모음의 조사에 ㄹ이 첨가되어 ‘이, , ’ 등이 ‘리, , ’ 형으로 나타난다.
주002)
라:-[水調]+-아(연결 어미). 〈물에〉 말아. 개어.
주003)
콧굼게:코[鼻]+-ㅅ(사이시옷)+구무(穴)+-에(처격 조사). 콧구멍에.
주004)
걸게:걸-[濃]+-게(부사형 어미). 걸쭉하게. 진하게.
주005)
면:-[塗]+-면(종속적 연결 어미). 바르면.
주006)
비륵:비록.
주007)
:한데. 한곳에.
주008)
안자도:앉-[坐]+-아도(종속적 연결 어미). 앉아도.
주009)
아져녁[朝夕]:아침저녁. 15세기에는 조석(朝夕)을 ‘아나조’ ‘아나죄’로 표현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