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표증의한(瘟疫表證宜汗)
  • 온역표증의한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표증의한 2


初得二三日頭痛身疼或寒或熱此邪氣在表宜汗之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어든 주001)
어든:
얻-[得]+-은(관형사형 어미). 얻은. 〈병에〉 걸린.
이 사흘 안 주002)
안:
안ㅎ[內]+-(처격 조사). 안에. 내(內)에.
머리와 몸이 알며 치우락 더우락 호 주003)
호:
-[爲]+-옴(명사형 어미)+-(보조사). 함은. 하는 것은. 이 책의 12ㄴ에는 이 경우에 삽입 모음이 사용되지 않은 ‘믈’이 등장한다.
병이 밧 이시미니 주004)
이시미니:
이시-[有]+-ㅁ(명사형 어미)+-이니(서술격 조사). 있음이니. 중세 국어에서 명사형 어미 ‘-ㅁ’ 앞에는 삽입 모음 ‘-오/우-’의 첨가가 필수적이어서 ‘이쇼미니/이슈미니’로 됨이 마땅함에도 여기서는 삽입 모음이 수반되지 않은 ‘이시미니’로 표기하고 있다. 이미 이 시기는 삽입 모음의 쇠퇴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삽입 모음 ‘-오/우-’의 자취는 아직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위의 ‘호’에도 삽입 모음 ㅗ가 남아 있다.
맛이  낼 거시니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병에 걸린 사람이 사흘 안에 머리와 몸이 아프며 차다가 열이 났다가 하는 것은 병 기운이 밖에 있음이니(=밖으로 나타남이니) 마땅히 땀을 내어야 할 것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든:얻-[得]+-은(관형사형 어미). 얻은. 〈병에〉 걸린.
주002)
안:안ㅎ[內]+-(처격 조사). 안에. 내(內)에.
주003)
호:-[爲]+-옴(명사형 어미)+-(보조사). 함은. 하는 것은. 이 책의 12ㄴ에는 이 경우에 삽입 모음이 사용되지 않은 ‘믈’이 등장한다.
주004)
이시미니:이시-[有]+-ㅁ(명사형 어미)+-이니(서술격 조사). 있음이니. 중세 국어에서 명사형 어미 ‘-ㅁ’ 앞에는 삽입 모음 ‘-오/우-’의 첨가가 필수적이어서 ‘이쇼미니/이슈미니’로 됨이 마땅함에도 여기서는 삽입 모음이 수반되지 않은 ‘이시미니’로 표기하고 있다. 이미 이 시기는 삽입 모음의 쇠퇴기에 접어들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삽입 모음 ‘-오/우-’의 자취는 아직 발견할 수 있다. 바로 위의 ‘호’에도 삽입 모음 ㅗ가 남아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