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표증의한(瘟疫表證宜汗)
  • 온역표증의한 7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표증의한 7


浮萍瘟疫初得發汗最妙每取五錢濃煎熱服紫背者良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머구밥 주001)
머구밥:
개구리밥. 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 수초(水草). 몸은 둥글거나 타원형의 광택이 있는 세 개의 엽상체(葉狀體)로 이루어져 있는데 겉은 풀색이고 안쪽은 자주색이다. 여름에 연녹색의 잔 꽃이 피고 전체를 약으로 쓴다. 논이나 못에서 자라는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부록의 ‘부평’ 참조.
은 시병 처음 내기예 장 됴니  번의 다 돈식 주002)
다 돈식:
다[五]+돈(무게의 단위)+-식(보조사). 다섯 돈씩. 돈은 귀금속이나 한약재 등의 무게를 잴 때 쓰는 단위로서, 한 돈은 한 냥의 10분의 일이며 3.75g에 해당한다. ‘-식’은 수사와 수에 관련된 체언에만 통합되어 쓰이던 보조사로서 현대어의 ‘-씩’의 의미를 갖는다. ≪구급방 언해≫나 ≪구급 간이방≫에서는 훈민정음 초기 때부터 사용되었던 ‘-곰’이 쓰였고 ‘-식’은 전혀 볼 수 없다.
이 달혀 덥게 여 며[머]그라 부평이 주003)
부평이(浮萍-):
개구리밥.
등이 블그니야 주004)
블그니야:
븕-[紫]+-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야(강세 조사). 붉은 것이라야. 강세 조사 ‘-야’는 15세기 국어에서 ‘-’로 쓰였다.
됴니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개구리밥은 전염병 초기의 땀내기에 매우 좋으니, 한 번에 다섯 돈씩 푹 달여서 뜨겁게 하여 먹어라. 개구리밥의 등(=뒷면)이 붉은 것이라야 좋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머구밥:개구리밥. 개구리밥과의 여러해살이 수초(水草). 몸은 둥글거나 타원형의 광택이 있는 세 개의 엽상체(葉狀體)로 이루어져 있는데 겉은 풀색이고 안쪽은 자주색이다. 여름에 연녹색의 잔 꽃이 피고 전체를 약으로 쓴다. 논이나 못에서 자라는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부록의 ‘부평’ 참조.
주002)
다 돈식:다[五]+돈(무게의 단위)+-식(보조사). 다섯 돈씩. 돈은 귀금속이나 한약재 등의 무게를 잴 때 쓰는 단위로서, 한 돈은 한 냥의 10분의 일이며 3.75g에 해당한다. ‘-식’은 수사와 수에 관련된 체언에만 통합되어 쓰이던 보조사로서 현대어의 ‘-씩’의 의미를 갖는다. ≪구급방 언해≫나 ≪구급 간이방≫에서는 훈민정음 초기 때부터 사용되었던 ‘-곰’이 쓰였고 ‘-식’은 전혀 볼 수 없다.
주003)
부평이(浮萍-):개구리밥.
주004)
블그니야:븕-[紫]+-은(관형사형 어미)+이(것, 의존 명사)+-야(강세 조사). 붉은 것이라야. 강세 조사 ‘-야’는 15세기 국어에서 ‘-’로 쓰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