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양법(瘟疫禳法)
  • 온역양법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양법 3


又方密以艾灸病人床四角各一壯勿令病人知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마니 주001)
마니:
가만히. 은밀히.
그로 주002)
그로:
쑥[艾]+-으로(조격 조사). 쑥으로. ‘그로’는 중철 표기임. 쑥은 들에 절로 나며 잎의 뒷면에 젖빛 솜털이 있고 향기가 나고, 어린 잎은 먹으며, 다 자란 잎은 배앓이나 토사 등에 약으로 쓰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부록의 ‘쑥’ 참조.
병인 주003)
병인(病人):
병자.
 주004)
:
있는. ‘잇’을 ‘인’으로 표기하였다.
주005)
상(床):
평상. 나무로 만든 침상.
모흘 주006)
모흘:
모ㅎ[角]+-을(목적격 조사). 모퉁이를. 모서리를. ‘모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장식 주007)
장식:
장(壯)+-식(보조사). ~장(壯)씩. 장(壯)은 뜸뜨는 횟수를 가리키는 말이며, 고유어로는 ‘’이라 하였다. 이는 한번 뜸을 뜨면 장사(壯士)의 힘만큼이 몸으로 들어온다고 해서 쓰이게 된 말이다.
되 주008)
되:
-[灸]+-되(종속적 연결 어미). 〈뜸을〉 뜨되.
병인을 아디 주009)
아디:
알-[知]+-디(보조적 연결 어미). 알지. 중세 국어에서 용언의 어간 말음 ㄹ은 ㄷ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였다.
못게 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가만히 쑥으로 병자가 누워 있는 평상(平床)의 네 모서리를 한 번씩 뜸뜨되 환자가 알지 못하게 하여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마니:가만히. 은밀히.
주002)
그로:쑥[艾]+-으로(조격 조사). 쑥으로. ‘그로’는 중철 표기임. 쑥은 들에 절로 나며 잎의 뒷면에 젖빛 솜털이 있고 향기가 나고, 어린 잎은 먹으며, 다 자란 잎은 배앓이나 토사 등에 약으로 쓰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부록의 ‘쑥’ 참조.
주003)
병인(病人):병자.
주004)
:있는. ‘잇’을 ‘인’으로 표기하였다.
주005)
상(床):평상. 나무로 만든 침상.
주006)
모흘:모ㅎ[角]+-을(목적격 조사). 모퉁이를. 모서리를. ‘모ㅎ’는 ㅎ끝소리 명사이다.
주007)
장식:장(壯)+-식(보조사). ~장(壯)씩. 장(壯)은 뜸뜨는 횟수를 가리키는 말이며, 고유어로는 ‘’이라 하였다. 이는 한번 뜸을 뜨면 장사(壯士)의 힘만큼이 몸으로 들어온다고 해서 쓰이게 된 말이다.
주008)
되:-[灸]+-되(종속적 연결 어미). 〈뜸을〉 뜨되.
주009)
아디:알-[知]+-디(보조적 연결 어미). 알지. 중세 국어에서 용언의 어간 말음 ㄹ은 ㄷ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