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이등의하(瘟疫裡▼(疒*登)宜下)
  • 온역이등의하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이등의하 11


月經水治天行瘟疫熱盛發狂取年少婦人月經衣水漬飮之衂血尤佳
Ⓒ 구결 | 세조 / 1653년(효종 4) 3월 일

월경슈 주001)
월경슈(月經水):
월경 때 나오는 피.
 시병의 열이 만여 미친 증을 고티니 병 업고 져믄 주002)
져믄:
졈-[年少]+-은(관형사형 어미). 젊은.
계집 주003)
계집:
여자. 중세 국어에서는 ‘겨집’으로 쓰였으나 이 시기에 와서 움라우트 현상을 경험한 ‘계집’이 등장하였다.
의 월경슈를 머그라 코 피 나  더옥 주004)
더옥:
더욱. 이는 훈민정음 초기부터 ‘더욱’으로 쓰이다가 16세기에 들어서 ‘더옥’의 표기가 많이 등장함을 볼 수 있다.
됴니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월경의 피는 전염병으로 열이 많아서 미치게 된 증세를 고치니, 병이 없는 젊은 여자의 월경 피를 먹어라. 코에 피가 나는 것에 더욱 좋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월경슈(月經水):월경 때 나오는 피.
주002)
져믄:졈-[年少]+-은(관형사형 어미). 젊은.
주003)
계집:여자. 중세 국어에서는 ‘겨집’으로 쓰였으나 이 시기에 와서 움라우트 현상을 경험한 ‘계집’이 등장하였다.
주004)
더옥:더욱. 이는 훈민정음 초기부터 ‘더욱’으로 쓰이다가 16세기에 들어서 ‘더옥’의 표기가 많이 등장함을 볼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