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반표반리의화해(瘟疫半表半裏宜和解)
  • 온역반표반리의화해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반표반리의화해 1


瘟疫半表半裏宜和解

시병 긔운이 반은 밧긔 주001)
밧긔:
[外]+-의(처격 조사). 밖에. 이 책 2ㄱ에는 ‘밧’로 표기되어 있다.
잇고 반은 안 주002)
안:
안ㅎ[內]+-(처격 조사). 안에.
인 주003)
인:
잇-[有]+- (관형사형 어미). 있는. ‘잇’을 자음동화가 일어난 대로 ‘인’으로 표기하였다.
증 맛당이 긔운이 됴화여 주004)
됴화여:
됴화(調和)-+-여(연결 어미). 조화를 이루어. 서로 잘 어울려. ‘됴화〉죠화〉조화’(구개음화).
병이 플리게 주005)
플리게:
플-[解]+-리-[피동 접미사]+-게(부사형 어미). 풀리게. ‘플다〉풀다’(원순모음화).
니라 주006)
니라:
-[爲]+-ㄹ니라(평서형 어미). 할 것이다.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ㄹ 다음의 경음 표기를 ‘()디니라’ 또는 ‘(홀)띠니라’로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 책의 바로 다음에서는 경음 표기가 아닌 ‘디라’가 나타난다.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전염병의 기운이 반은 밖에 있고
(=밖으로 나타나고)
반은 안에 있는 증세에는 마땅히 기운이 서로 잘 어울려 병이 풀리게 해야 할 것이다.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밧긔:[外]+-의(처격 조사). 밖에. 이 책 2ㄱ에는 ‘밧’로 표기되어 있다.
주002)
안:안ㅎ[內]+-(처격 조사). 안에.
주003)
인:잇-[有]+- (관형사형 어미). 있는. ‘잇’을 자음동화가 일어난 대로 ‘인’으로 표기하였다.
주004)
됴화여:됴화(調和)-+-여(연결 어미). 조화를 이루어. 서로 잘 어울려. ‘됴화〉죠화〉조화’(구개음화).
주005)
플리게:플-[解]+-리-[피동 접미사]+-게(부사형 어미). 풀리게. ‘플다〉풀다’(원순모음화).
주006)
니라:-[爲]+-ㄹ니라(평서형 어미). 할 것이다. 훈민정음 초기 문헌에서는 ㄹ 다음의 경음 표기를 ‘()디니라’ 또는 ‘(홀)띠니라’로 나타내었다. 그런데 이 책의 바로 다음에서는 경음 표기가 아닌 ‘디라’가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