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벽온신방

  • 역주 벽온신방
  • 벽온신방(辟瘟新方)
  • 온역표증의한(瘟疫表證宜汗)
  • 온역표증의한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온역표증의한 1


瘟疫表證宜汗

벽온신방:2ㄱ

시병 주001)
시병(時病):
시환(時患). 때에 따라 유행하는 상한병(傷寒病)이나 전염성 질환.
긔운이 밧 주002)
밧:
[外]+-의(처격 조사). 밖에. 15세기에 ‘밧긔’로 표기되던 말이 여기서는 둘째 음절이 경음화된 ‘밧’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5ㄱ에는 ‘밧긔’가 여전히 쓰이고 있어 혼기(混記)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인 증의 주003)
증의:
증(證, 症)+-의(처격 조사). 증세에는.
맛이 주004)
맛이:
마땅히. 15세기에 ‘맛이’로 표기되던 말이 앞의 ‘밧’에서 보듯이 둘째 음절이 경음화된 ‘맛이’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5ㄱ에는 ‘맛당이’, 그리고 5ㄴ에는 ‘맛당히’로 표기되고 있어 혼기 현상을 보이고 있다.
 내라
Ⓒ 언해 | 안경창 / 1653년(효종 4) 7월 16일

전염성 질환의 기운이 밖에 있는
(=밖으로 나타나는)
증세에는 마땅히 땀을 내어라.
Ⓒ 역자 | 김문웅 / 2009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병(時病):시환(時患). 때에 따라 유행하는 상한병(傷寒病)이나 전염성 질환.
주002)
밧:[外]+-의(처격 조사). 밖에. 15세기에 ‘밧긔’로 표기되던 말이 여기서는 둘째 음절이 경음화된 ‘밧’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5ㄱ에는 ‘밧긔’가 여전히 쓰이고 있어 혼기(混記)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주003)
증의:증(證, 症)+-의(처격 조사). 증세에는.
주004)
맛이:마땅히. 15세기에 ‘맛이’로 표기되던 말이 앞의 ‘밧’에서 보듯이 둘째 음절이 경음화된 ‘맛이’로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 책의 5ㄱ에는 ‘맛당이’, 그리고 5ㄴ에는 ‘맛당히’로 표기되고 있어 혼기 현상을 보이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