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33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33


一僧이 問師云호 黃梅意旨 甚麽人이 得이고 師云샤 會佛法人이 得이니라 僧이 云호 和尙은 還得否ㅣ가 師云샤 我 不會佛法노라 師ㅣ 一日에 欲濯所授之衣호 而無美泉커 因至寺後五里許야 見山林이 鬱茂며 瑞氣盤旋시고 師ㅣ 振錫卓地시니 泉이 應手而出커 積以爲池야 乃跪膝浣衣石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8ㄱ

上더시니 忽有一僧이 來야 禮拜云호 方辯은 是西蜀人이라니 昨於南天竺國에 見達磨大師호니 囑方辯샤 速往唐土라 吾傳大迦葉 正法眼藏과 及僧伽梨ㅣ 見傳六代於韶州曺溪니 汝去瞻禮라 야시

 이 師 주001)
사(師):
혜능 대사께.
묻오 주002)
묻오:
묻되. 묻[問]++오+.
黃梅ㅅ 주003)
황매(黃梅)ㅅ:
황매의. 황매(黃梅)+ㅅ.
든 주004)
든:
뜻은. [竟旨]+은. ‘황매의 뜻’은 오조(五祖) 홍인(弘忍) 대사의 법이다.
엇던 주005)
엇던:
어떤[甚麽].
사미 주006)
사미:
사람이. 사[人]+이.
得니고 주007)
득(得)니고:
득(得)합니까. 득(得)+니++ㅅ고.
師ㅣ 니샤 佛法 아 사미 得니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8ㄴ

라 僧이 닐오 和尙은 得시니가 주008)
득(得)시니가:
득(得)하십니까. 득(得)+시+니++ㅅ가.
몯시니가 師ㅣ 니샤 나 佛法을 아디 주009)
아디:
알지.
몯노라 師ㅣ  주010)
:
하루는. +.
傳授샨 주011)
전수(傳授)샨:
전수하신. 전수(傳授)+시+아+ㄴ.
오 주012)
오:
옷을. 옷[衣]+.
싯고져 주013)
싯고져:
씻고자. 세탁하고자. 싯[濯]+고져.
호 주014)
호:
하되. +오+.
됴 주015)
됴:
좋은. 둏[美]+.
미 주016)
미:
샘이. [泉]+이.
업거 因야 주017)
뎔:
절[寺].
뒤헤 주018)
뒤헤:
뒤에.
五里만 가 山林이 기 주019)
기:
우거져.
茂盛며 瑞氣 둘엣거 주020)
둘엣거:
둘러 있음을. 둘러 있는 것을.
보시고 師ㅣ 막대 주021)
막대:
막대기.
흐느러 주022)
흐느러:
흔들어. 흐늘[振]+어.
해 고시니 주023)
고시니:
꽂으시니. 곶[卓]+시+니.
미 소 주024)
소:
손을. 손[手]+.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9ㄱ

야
주025)
응(應)야:
따라.
나거 무러 주026)
무러:
모아. 물[積]+어.
모 주027)
모:
못을. 못[池]+.
라 주028)
라:
만들어. [爲]+아.
무루플 주029)
무루플:
무릎을. 무뤂[膝]+을.
러 주030)
러:
꿇어. [跪]+어.
우희 주031)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격 조사).
오 싯더시니 주032)
싯더시니:
씻으시더니.
믄득  이 와 저고 주033)
저고:
절하고. 예배하고.
닐오 方辯은 西蜀 사미라니 주034)
사미라니:
사람이더니. 사+이(계사)+라(‘다’의 이형태)+니.
어제 주035)
어제:
어제[昨].
南天竺國에 達磨大師 보오니 주036)
보오니:
보니. 보[見]++니.
方辯을 付囑 주037)
부촉(付囑):
부탁하여 위촉함.
샤 리 주038)
리:
빨리. ㄹ[速]+이.
唐土애 가라 주039)
가라:
가라. 가[往]+라.
주040)
내:
내가.
大迦葉 주041)
대가섭(大迦葉):
대가섭께.
傳혼 주042)
전(傳)혼:
전한. 전(傳)+오+ㄴ.
正法眼藏 주043)
정법안장(正法眼藏):
선문(禪門)에서 바른 세계의 보는 방법을 말한다. 석존이 말한 무상(無上)의 정법. 청정법안(淸淨法眼)이라고도 한다.
과  僧伽梨 주044)
승가리(僧伽梨):
대의(大衣), 중의(重衣)라고 한다. 비구의 삼의(三衣) 중 최대의 것. 설법이나 탁발을 위해 왕궁이나 취락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이것을 입는다.
ㅣ 六代

육조법보단경언해 중:109ㄴ

韶州 曺溪에 傳야 잇니 주045)
네:
네가.
가 보아 저오라 주046)
저오라:
절하라. 저[禮]+라.
야시

한 중이 혜능 대사께 묻되 “황매(黃梅)의 뜻은 어떤 사람이 득(得)합니까?” 대사가 이르시되 “불법(佛法) 아는 사람이 득(得)한다.” 승(僧)이 이르되 “화상(和尙)께서는 득(得)하십니까 못하십니까?” 대사가 이르시되 “나는 불법을 알지 못하노라.” 대사가 하루는 전수(傳授)하신 옷을 씻고자(세탁하고자) 하되 좋은 샘이 없거늘 인(因)하여(그래서) 절 뒤에 오리(五里)만 가 산림(山林)이 우거져 무성(茂盛)하며 서기(瑞氣)가 둘러 있음을 보시고 대사가 막대기를 흔들어 땅에 꽃으시니 샘이 손을 따라 나오거늘 모아 못을 만들어 무릎을 꿇어 돌 위에 옷을 씻으시더니 문득 한 중이 와 절하고 이르되 “방변(方辯)은 서촉(西蜀) 사람이더니 어제 남천축국(南天竺國)에서 달마대사(達磨大師)를 보니 방변에게 부촉(付囑)하시되 빨리 당토(唐土)에 가라. 내가 대가섭(大迦葉)께 전(傳)한 정법안장(正法眼藏)과 또 승가리(僧伽梨)가 (승가리를) 소주(韶州) 조계(曺溪)의 육대조(六代祖)에게 전(傳)하여 있으니 네가 가 보아 절하라.”고 하시거늘,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師):혜능 대사께.
주002)
묻오:묻되. 묻[問]++오+.
주003)
황매(黃梅)ㅅ:황매의. 황매(黃梅)+ㅅ.
주004)
든:뜻은. [竟旨]+은. ‘황매의 뜻’은 오조(五祖) 홍인(弘忍) 대사의 법이다.
주005)
엇던:어떤[甚麽].
주006)
사미:사람이. 사[人]+이.
주007)
득(得)니고:득(得)합니까. 득(得)+니++ㅅ고.
주008)
득(得)시니가:득(得)하십니까. 득(得)+시+니++ㅅ가.
주009)
아디:알지.
주010)
:하루는. +.
주011)
전수(傳授)샨:전수하신. 전수(傳授)+시+아+ㄴ.
주012)
오:옷을. 옷[衣]+.
주013)
싯고져:씻고자. 세탁하고자. 싯[濯]+고져.
주014)
호:하되. +오+.
주015)
됴:좋은. 둏[美]+.
주016)
미:샘이. [泉]+이.
주017)
뎔:절[寺].
주018)
뒤헤:뒤에.
주019)
기:우거져.
주020)
둘엣거:둘러 있음을. 둘러 있는 것을.
주021)
막대:막대기.
주022)
흐느러:흔들어. 흐늘[振]+어.
주023)
고시니:꽂으시니. 곶[卓]+시+니.
주024)
소:손을. 손[手]+.
주025)
응(應)야:따라.
주026)
무러:모아. 물[積]+어.
주027)
모:못을. 못[池]+.
주028)
라:만들어. [爲]+아.
주029)
무루플:무릎을. 무뤂[膝]+을.
주030)
러:꿇어. [跪]+어.
주031)
우희:위에. 우ㅎ[上]+의(처격 조사).
주032)
싯더시니:씻으시더니.
주033)
저고:절하고. 예배하고.
주034)
사미라니:사람이더니. 사+이(계사)+라(‘다’의 이형태)+니.
주035)
어제:어제[昨].
주036)
보오니:보니. 보[見]++니.
주037)
부촉(付囑):부탁하여 위촉함.
주038)
리:빨리. ㄹ[速]+이.
주039)
가라:가라. 가[往]+라.
주040)
내:내가.
주041)
대가섭(大迦葉):대가섭께.
주042)
전(傳)혼:전한. 전(傳)+오+ㄴ.
주043)
정법안장(正法眼藏):선문(禪門)에서 바른 세계의 보는 방법을 말한다. 석존이 말한 무상(無上)의 정법. 청정법안(淸淨法眼)이라고도 한다.
주044)
승가리(僧伽梨):대의(大衣), 중의(重衣)라고 한다. 비구의 삼의(三衣) 중 최대의 것. 설법이나 탁발을 위해 왕궁이나 취락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이것을 입는다.
주045)
네:네가.
주046)
저오라:절하라. 저[禮]+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