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중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중권
  • 제6 참청기연(參請機緣)
  • 참청기연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참청기연 13


只敎汝로 去假歸實노니 歸實之後엔 實亦無名니라 應知所有珎財ㅣ 盡屬於汝니 由汝受用이라 更不作父想며 亦不作子想며 亦無用想호미 是名持法華經이니 從劫至劫히 手不釋卷며 從晝至夜히 無不念時也ㅣ리라 達이 蒙啓發와 踊躍歡喜야 以偈讚曰호 經誦三千部ㅣ 曺溪一句에 亡콰다 未眀出世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0ㄱ

旨어니 寧歇累生狂이리오 羊鹿牛 權設이오 初中後 善揚이로다 誰知火宅內예 元是法中王이리오 師曰샤 汝ㅣ 今後에 方可名念經僧也ㅣ니라 達이 從此로 領玄旨야 亦不輟誦經니라

오직 널로 주001)
널로:
너로.
假 주002)
가(假):
거짓을.
앗고 주003)
앗고:
버리고. 앗[去]+고.
實에 도라가게 주004)
도라가게:
돌아가게.
노니 주005)
노니:
하니. ++오+니.
實에 주006)
간:
들어간. 가[去]+ㄴ.
後엔 實도  일후미 업스니라 반기 주007)
반기:
반드시.
아로리라 주008)
아로리라:
알리라. 알+오+리+라.
잇논 주009)
잇논:
있는. 잇++오+ㄴ.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0ㄴ

寶ㅣ 다 네게 屬니 네 바다 주010)
바다:
받아. 받[受]+아.
메 주011)
메:
씀에. [用]+우+ㅁ+에.
브툰 주012)
브툰:
말미암은. 븥[由]+우+ㄴ.
디라 주013)
디라:
것이다. +ㅣ+라.
외야 주014)
외야:
다시[更].
아비랏 주015)
아비랏:
아버지라는. 아비+∅+라+ㅅ(속격 조사).
 주016)
:
마음[想]을.
짓디 말며  아리랏 주017)
아리랏:
아들이라는. 아+이+라+ㅅ.
 짓디 말며  노랏 주018)
노랏:
쓴다는. ++오+라+ㅅ.
 업소미 주019)
업소미:
없음이. 없+오+ㅁ+이.
이 일후미 法華經 디뇨미니 주020)
디뇨미니:
지님이니. 디니[持]+오+ㅁ+이+니.
劫을 브터 주021)
브터:
부터[從].
劫에 니르리 주022)
니르리:
이르도록.
소내 주023)
소내:
손[手]에.
卷을 노티 주024)
노티:
놓[釋]지.
아니며 나 주025)
나:
낮[晝]을.
브터 바매 주026)
바매:
밤[夜]에.
니르리 念티 아닌 저기 주027)
저기:
적이. 적[時]+이.
업스리라 주028)
업스리라:
없을 것이다.
達이 여러 주029)
여러:
열[啓]어.
내샤 주030)
내샤:
내심을. 내[發]+시+아+ㅁ+.
닙와 주031)
닙와:
입어[蒙].
봄노라 주032)
봄노라:
뛰어 올라. 봄놀[踊躍]+아.
깃거 주033)
깃거:
기뻐하여. [歡喜]+어.
偈로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1ㄱ

오
주034)
찬(讚)오:
기리되. 찬(讚)++오+.
經을 三千部 외오미 주035)
외오미:
외움이. 외오+∅+ㅁ+이.
曺溪 一句에 닛과다 주036)
닛과다:
잊어집니다. 닛[亡]+과++다.
出世ㅅ 들 기디 주037)
기디:
밝히지.
몯거니 주038)
몯거니:
못하거니. 몯+거+니.
엇뎨 주039)
엇뎨:
어찌[寧].
여러 주040)
여러:
여러[累].
生애 미쵸 주041)
미쵸:
미침을. 미치[狂]+오+ㅁ+.
歇리오 주042)
헐(歇)리오:
그치겠는가. 그치리오. 쉬리오.
羊鹿牛# 주043)
양록거(羊鹿車):
양거(羊車)와 녹거(鹿車).
 權으로 로미오 주044)
로미오:
만듦이고. [設]+오+ㅁ+이+오.
初와 中과 後 善으로 펴시도다 주045)
펴시도다:
펴시도다. 펴[揚]+시+도+다.
火宅 주046)
화택(火宅):
법화경 7유(喩)의 하나. 삼계가 시끄러운 것을 불타는 집에 비유한 것. 즉 고뇌가 가득찬 이 세계.
안해 주047)
안해:
안에. 안ㅎ+애.
본 주048)
본:
원래. 본디.
法中王인 주049)
법중왕(法中王)인:
법중왕인.
주050)
: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알리오 師ㅣ 니샤 네 이 後에 可히 經

육조법보단경언해 중:71ㄴ

念 이라 일훔홀디니라 주051)
일훔홀디니라:
이름할 것이다. 일훔[名]+오+ㄹ디니라.
達이 일로브터 주052)
일로브터:
이로부터. 이+로부터.
玄旨 주053)
현지(玄旨):
깊은 뜻을.
아라 주054)
아라:
알아. 알[領]+아.
주055)
:
또[亦].
외오 주056)
외오:
외움을.
그치디 주057)
그치디:
그치지. 그치[輟]+디.
아니니라 주058)
아니니라:
아니하였다. 아니+니+라.

“오직 너로 하여금 가(假)를 버리고 실(實)에 돌아가게 하니 실(實)에 간 후엔 실도 또 이름이 없는 것이다. 반드시 알리라. 있는 진보(珍寶)가 다 너에게 속하니 네가 받아 씀에 말미암은 것이다. 다시 아버지라는 마음 짓지 말며 또 아들이라는 마음 짓지 말며, 또 쓴다는 마음 없음이 이 이름이 법화경(法華經) 지님이니 겁(劫)으로부터 겁에 이르도록 손에서 권(卷)을 놓지 아니하며, 낮부터 밤에 이르도록 염(念)하지 아니한 적이 없을 것이다.” 법달이 여러 내심을 입어 뛰어 올라 기뻐하여 게(偈)로 기리되 “경(經)을 삼천(三千) 번 외움이 조계일구(曺溪一句)에 잊어집니다. 출세(出世)의 뜻을 밝히지 못하거니 어찌 여러 생(生)에 미침을 그치리오. 양녹우(羊鹿牛)는 권(權)으로 만듦이고 초(初)와 중(中)과 후(後)는 선(善)으로 펴시도다. 누가 화택(火宅) 안에 원래 이 법중왕(法中王)인 것을 알리오.” 대사가 이르시되 “네가 이 후에 가(可)히 ‘경(經) 염(念)하는 중’이라고 이름할 것이다.” 법달이 이로부터 깊은 뜻을 알아 또 경 외움을 그치지 아니하였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널로:너로.
주002)
가(假):거짓을.
주003)
앗고:버리고. 앗[去]+고.
주004)
도라가게:돌아가게.
주005)
노니:하니. ++오+니.
주006)
간:들어간. 가[去]+ㄴ.
주007)
반기:반드시.
주008)
아로리라:알리라. 알+오+리+라.
주009)
잇논:있는. 잇++오+ㄴ.
주010)
바다:받아. 받[受]+아.
주011)
메:씀에. [用]+우+ㅁ+에.
주012)
브툰:말미암은. 븥[由]+우+ㄴ.
주013)
디라:것이다. +ㅣ+라.
주014)
외야:다시[更].
주015)
아비랏:아버지라는. 아비+∅+라+ㅅ(속격 조사).
주016)
:마음[想]을.
주017)
아리랏:아들이라는. 아+이+라+ㅅ.
주018)
노랏:쓴다는. ++오+라+ㅅ.
주019)
업소미:없음이. 없+오+ㅁ+이.
주020)
디뇨미니:지님이니. 디니[持]+오+ㅁ+이+니.
주021)
브터:부터[從].
주022)
니르리:이르도록.
주023)
소내:손[手]에.
주024)
노티:놓[釋]지.
주025)
나:낮[晝]을.
주026)
바매:밤[夜]에.
주027)
저기:적이. 적[時]+이.
주028)
업스리라:없을 것이다.
주029)
여러:열[啓]어.
주030)
내샤:내심을. 내[發]+시+아+ㅁ+.
주031)
닙와:입어[蒙].
주032)
봄노라:뛰어 올라. 봄놀[踊躍]+아.
주033)
깃거:기뻐하여. [歡喜]+어.
주034)
찬(讚)오:기리되. 찬(讚)++오+.
주035)
외오미:외움이. 외오+∅+ㅁ+이.
주036)
닛과다:잊어집니다. 닛[亡]+과++다.
주037)
기디:밝히지.
주038)
몯거니:못하거니. 몯+거+니.
주039)
엇뎨:어찌[寧].
주040)
여러:여러[累].
주041)
미쵸:미침을. 미치[狂]+오+ㅁ+.
주042)
헐(歇)리오:그치겠는가. 그치리오. 쉬리오.
주043)
양록거(羊鹿車):양거(羊車)와 녹거(鹿車).
주044)
로미오:만듦이고. [設]+오+ㅁ+이+오.
주045)
펴시도다:펴시도다. 펴[揚]+시+도+다.
주046)
화택(火宅):법화경 7유(喩)의 하나. 삼계가 시끄러운 것을 불타는 집에 비유한 것. 즉 고뇌가 가득찬 이 세계.
주047)
안해:안에. 안ㅎ+애.
주048)
본:원래. 본디.
주049)
법중왕(法中王)인:법중왕인.
주050)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주051)
일훔홀디니라:이름할 것이다. 일훔[名]+오+ㄹ디니라.
주052)
일로브터:이로부터. 이+로부터.
주053)
현지(玄旨):깊은 뜻을.
주054)
아라:알아. 알[領]+아.
주055)
:또[亦].
주056)
외오:외움을.
주057)
그치디:그치지. 그치[輟]+디.
주058)
아니니라:아니하였다. 아니+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