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6


師ㅣ 說偈已시고 端坐샤 至三更야 忽謂門人曰샤 吾行矣로라시고 奄然遷化시니 于時예 異香이 滿室며 白虹이 屬地며 林木이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1ㄴ

變白며 禽獸ㅣ 哀鳴커 十一月에 廣韶新三郡官僚와 洎門人緇白이 爭迎眞身호 莫決所之야 乃焚香고 禱曰호 香煙指處ㅣ 師所歸焉이니다니 時예 香煙이 直貫曺溪커 十一月十三日에 遷神龕과 倂所傳衣鉢而回니라

師ㅣ 偈 니샤 시고 端正히 안샤 주001)
안샤:
앉으시어. 앉으셔서. 앉-[坐]+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三更에 주002)
삼경(三更)에:
삼경(三更)에. ‘삼경(三更)’은 하오 11시부터 다음날 상오 1시까지를 이른다.
니르러 주003)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연결어미).
믄득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2ㄱ

人려
주004)
문인(門人)려:
문인(門人)더러. 문인(門人)에게. ‘려’는 여격조사.
니샤 주005)
내:
내가. 나는.
가노라 주006)
가노라:
가노라. 간다. 가-[行]+(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시고 믄득 업스시니 주007)
업스시니:
없으시니.
그 주008)
그:
그때에. 그[其]#[時]+의(처소부사격조사).
異香이 주009)
이향(異香)이:
기이(奇異)한 향기가.
室에 주010)
실(室)에:
방안에.
며 주011)
며:
가득하며. -[滿]+며(대등적 연결어미).
白虹이 주012)
백홍(白虹)이:
흰 무지개가.
해 주013)
해:
땅에.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니며 주014)
니며:
이어지며. -[屬]+으며(대등적 연결어미).
林木이 變야 며 주015)
며:
희며. 희어지며. -[白]+며.
禽獸ㅣ 주016)
금수(禽獸)ㅣ:
금수(禽獸)가. 새와 짐승들이. ‘ㅣ’는 주격조사.
슬피 주017)
슬피:
슬피. 슬프게. 슬프-[哀]+이(부사파생접미사).
울어 주018)
울어:
울거늘. 울-[鳴]+거/어. ‘어’은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十一月에 廣과 주019)
광(廣)과:
광주(廣州)와.
韶와 주020)
소(韶)와:
소주(韶州)와.
新과 주021)
신(新)과:
신주(新州)의.
옰 주022)
옰:
고을의. 올-[群]+ㅅ(관형격조사).
官僚와  門人 주023)
문인(門人):
제자(弟子)들과.
緇와 주024)
치(緇)와:
출가자(出家者)와.
白괘 주025)
백(白)괘:
재가자(在家者)들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당시에는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眞身을 토아 주026)
토아:
다투어. 토-[爭]+아.
맏오려 주027)
맏오려:
맞으려. 맏-[迎]+려(의도형 종결어미). ‘맏-[迎]’은 어휘적 높임말이다.
호 주028)
호:
하되. -+오/우.
가실 주029)
가실:
가실. 가-[之]+시+ㄹ(관형사형어미).
주030)
:
데를. [所]+ㄹ(목적격조사).
決티 주031)
결(決)티:
결정(決定)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몯야 香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2ㄴ

우고
주032)
퓌우고:
피우고. 퓌우-[焚]+고(대등적 연결어미).
비와 주033)
비와:
빌어. 빌-[禱]+(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닐오 주034)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曰]+오/우.
香煙이 주035)
향연(香煙)이:
향(香) 연기(煙氣)가.
가신 주036)
가신:
가신. 가리키는. 가-[指]+시+ㄴ(관형사형어미).
고디 주037)
고디:
곳이. 곧[處]+이(주격조사).
師ㅣ 가실 다 주038)
다:
데입니다. 곳입니다. [所]+∅(서술격조사)+(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니 주039)
니:
하니.
그 香煙이 바 주040)
바:
바로. 바[直](부사).
曺溪예 어 주041)
어:
꿰거늘. 꿰뚫으므로. -[貫]+거. ‘-어’은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 기.
十一月 十三日에 神龕과 주042)
신감(神龕)과:
진신(眞身)을 모신 단(壇)과.
傳샨 주043)
전(傳)샨:
전(傳)하신. ‘-샨’은 ‘-+샤+오/우+ㄴ(관형사형어미).
衣鉢을 주044)
의발(衣鉢)을:
가사(袈裟)와 발우(鉢盂)를.
옮겨 도라오니라 주045)
도라오니라:
돌아오니라. 돌아왔다. 돌-[回]+아#오-[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대사께서 게송(偈頌) 이르심을 마치고 단정(端正)이 앉으셔서 삼경(三更)에 이르니, 문득 문인(門人)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가노라.” 하시고, 홀연 없어지셨다. 그때에 기이한 향기[異香]가 방안에 가득하며, 백홍(白虹 : 흰 무지개)이 땅에 이어지며, 임목(林木)이 변하여 희어지며, 금수(禽獸)가 슬피 울었다. 십일월에 광주(廣州)와 소주(韶州)와 신주(新州)의 세 고을 관료(官僚)와 문인(門人)과 출가자[緇]와 재가자[白]들이 진신(眞身)을 다투어 맞으려 하되, 가실 데를 결정하지 못하여 향(香)을 피우고 빌어 말했다. “향의 연기[香煙]가 가리키는 곳이 대사께서 가실 곳입니다.”라고 하니, 그때에 향연(香煙)이 바로 조계(曺溪)에 꿰뚫으므로 십일월 십삼일에 신감(神龕 : 진신을 모신 단)과 또한 전(傳)하신 의발(衣鉢)을 〈조계 보림에〉 옮겨 돌아왔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안샤:앉으시어. 앉으셔서. 앉-[坐]+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02)
삼경(三更)에:삼경(三更)에. ‘삼경(三更)’은 하오 11시부터 다음날 상오 1시까지를 이른다.
주003)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연결어미).
주004)
문인(門人)려:문인(門人)더러. 문인(門人)에게. ‘려’는 여격조사.
주005)
내:내가. 나는.
주006)
가노라:가노라. 간다. 가-[行]+(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07)
업스시니:없으시니.
주008)
그:그때에. 그[其]#[時]+의(처소부사격조사).
주009)
이향(異香)이:기이(奇異)한 향기가.
주010)
실(室)에:방안에.
주011)
며:가득하며. -[滿]+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2)
백홍(白虹)이:흰 무지개가.
주013)
해:땅에.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014)
니며:이어지며. -[屬]+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5)
며:희며. 희어지며. -[白]+며.
주016)
금수(禽獸)ㅣ:금수(禽獸)가. 새와 짐승들이. ‘ㅣ’는 주격조사.
주017)
슬피:슬피. 슬프게. 슬프-[哀]+이(부사파생접미사).
주018)
울어:울거늘. 울-[鳴]+거/어. ‘어’은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19)
광(廣)과:광주(廣州)와.
주020)
소(韶)와:소주(韶州)와.
주021)
신(新)과:신주(新州)의.
주022)
옰:고을의. 올-[群]+ㅅ(관형격조사).
주023)
문인(門人):제자(弟子)들과.
주024)
치(緇)와:출가자(出家者)와.
주025)
백(白)괘:재가자(在家者)들이. ‘-괘’는 ‘과(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당시에는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26)
토아:다투어. 토-[爭]+아.
주027)
맏오려:맞으려. 맏-[迎]+려(의도형 종결어미). ‘맏-[迎]’은 어휘적 높임말이다.
주028)
호:하되. -+오/우.
주029)
가실:가실. 가-[之]+시+ㄹ(관형사형어미).
주030)
:데를. [所]+ㄹ(목적격조사).
주031)
결(決)티:결정(決定)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주032)
퓌우고:피우고. 퓌우-[焚]+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33)
비와:빌어. 빌-[禱]+(겸양법 선어말어미)+아(연결어미).
주034)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曰]+오/우.
주035)
향연(香煙)이:향(香) 연기(煙氣)가.
주036)
가신:가신. 가리키는. 가-[指]+시+ㄴ(관형사형어미).
주037)
고디:곳이. 곧[處]+이(주격조사).
주038)
다:데입니다. 곳입니다. [所]+∅(서술격조사)+(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다(종결어미).
주039)
니:하니.
주040)
바:바로. 바[直](부사).
주041)
어:꿰거늘. 꿰뚫으므로. -[貫]+거. ‘-어’은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 기.
주042)
신감(神龕)과:진신(眞身)을 모신 단(壇)과.
주043)
전(傳)샨:전(傳)하신. ‘-샨’은 ‘-+샤+오/우+ㄴ(관형사형어미).
주044)
의발(衣鉢)을:가사(袈裟)와 발우(鉢盂)를.
주045)
도라오니라:돌아오니라. 돌아왔다. 돌-[回]+아#오-[歸]+니라(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