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9 법문대시(法門對示)
  • 법문대시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법문대시 5


師言샤 此三十六對法을 若解用면 卽道貫一切經法야 出入에 卽離兩邊며 自性動用에 共人言語며 外於相애 離相며 內於空애 離空이어니와 若全着相면 卽長邪見고 若全執空면 卽長無明리니 執空之人은 有謗經야 直言호 不用文字ㅣ라 리니 旣云不用文字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7ㄴ

ㅣ라 하고 人亦不合語言이라 리니 只此語言이 便是文字之相이어 又云호 直道 不立文字ㅣ라 리니 卽此不立兩字ㅣ 亦是文字ㅣ니 見人所說고 便卽謗他야 言着文字리니 汝等은 須知호리라 自迷 猶可ㅣ어니와 又謗佛經리니 不要謗經라 罪障이 無數니라

師ㅣ 주001)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니샤 주002)
니샤:
아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오/우.
주003)
이:
이. 이러한. 이[此](관형사).
三十六 對法 주004)
대법(對法):
4체(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부처의 가르침. 곧 교법에 대한 연구와 연찬이라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涅槃)을 향하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이른다.
다가 주005)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아라 주006)
아라:
알. 알아서. 알-[解]+아(연결어미).
면 주007)
면:
쓰면. -[用]+면.
道ㅣ 주008)
도(道)ㅣ:
도(道)가. ‘ㅣ’는 주격조사. ‘도(道)’는 종교상의 근본이 되는 뜻을 이른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8ㄱ

주009)
일체(一切):
만물의 전체, 곧 모든 것을 이른다.
經法 주010)
경법(經法):
경에서 말한 교법(敎法).
여 주011)
여:
꿰뚫어. -[貫]+어(연결어미). ‘-여’는 음절부음 [j]에 의한 순행동화 표기.
出入에 주012)
출입(出入)에:
들어가고 나옴에.
兩邊을 주013)
양변(兩邊)을:
두 가지 치우침을.
여희며 주014)
여희며:
여의며. 여희-[離]+며(연결어미).
自性 주015)
자성(自性):
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本來)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動用애 주016)
동용(動用)애:
움직여 씀에.
사과 주017)
사과:
사람과. 사[人]+과.
말며 주018)
말며:
말하며. 말-[言語]+며.
밧긔 주019)
밧긔:
밖에. 밖으로. -[外]+의(처소부사격조사). ‘[外]’는 특이처격어.
相애 주020)
상(相)애:
상(相)에서.
주021)
상(相):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이나 모습.
을 여희며 안해 주022)
안해:
안에. 안으로. 안[內]+애(처소부사격조사).
空애 주023)
공(空)애:
공(空)에서.
주024)
공(空):
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 불변의 실체(實體)가 없음을 이르는 말.
여희리어니와 주025)
여희리어니와:
여읠 것이거니와. 여희-[離]+리+거니와(양보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다가 오로 주026)
오로:
온전히. 오로[全](부사).
相애 着면 주027)
착(着)면:
집착(執着)하면.
邪見 주028)
사견(邪見):
그릇된 생각. 또는 요사스러운 생각이나 바르지 못한 의견.
길우고 주029)
길우고:
기르고. 길-[長]+우(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
다가 오로 空을 자면 주030)
자면:
잡으면. 잡-[執]+면(연결어미).
無明 주031)
무명(無明):
번뇌로 말미암아 진리에 어둡고, 불법(佛法)을 이해하지 못하는 마음의 상태.
길우리니 주032)
길우리니:
기를 것이니. 길-[長]+우(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空을 주033)
공(空)을:
공(空)을. 공(空)에.
잡 주034)
잡:
잡는. 집착하는. 잡-[執]+.
사은 주035)
사은:
사람은.
주036)
경(經):
경전(經典).
誹謗야 주037)
비방(誹謗)야:
비방(誹謗)하여.
바 주038)
바:
바로. 바[直](부사).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8ㄴ

오
주039)
닐오:
이르되. 말하되. 니-[言]+오/우. ‘니-’는 모음 어미와 통합될 때 어간이 바뀌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文字 디 주040)
디:
쓰지. 사용하지. -[用]+디(연결어미).
아니니라 주041)
아니니라:
아니하느니라. 아니한다. 아니-[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리니 주042)
리니:
하리니. 할 것이니. -+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마 주043)
마:
이미. 마[旣](부사).
文字 디 주044)
디:
쓰지. 사용하지. -[用]+디.
말라 주045)
말라:
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고 사도 주046)
사도:
다른 사람도.
주047)
:
또한. [亦](부사).
말호미 주048)
말호미:
말함이. 말하는 것이. 말[語言]+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올티 주049)
올티:
옳지. 옳-[合]+디.
아니니라 주050)
아니니라:
아니하니라. 아니하다.
리니 주051)
리니:
하리니. 할 것이니.
주052)
곧:
곧. 곧[只](부사).
주053)
이:
이. 이[此](관형사).
말미 주054)
말미:
말이. 말[語言]+이(주격조사).
주055)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文字相 주056)
문자상(文字相):
문자의 모습.
이어 주057)
-이어:
-이거늘. ‘-이어’은 ‘이(서술격조사)+거(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어’은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닐오 直道 주058)
직도(直道):
사람이 가야 할 바른길. 또는 곧은 길.
 文字 셰디 주059)
셰디:
세우지. 셔-[立]+ㅣ(사동접미사)+디(연결어미).
아니니라 리니 이 셰디 아니타 주060)
아니타:
아니하다. 아니-[不]+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61)
혼:
한. -+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62)
두:
두. 두[兩](수관형사).
주063)
:
자(字)가. 글자가. [字]+ㅣ(주격조사).
주064)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文字ㅣ니 주065)
문자(文字)ㅣ니:
문자(文字)이니.
사의 주066)
사의:
사람이. 다른 사람이. 사[人]+의(주격조사). 관형절의 주어이므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 표지 ‘의’가 왔다.
닐오 주067)
닐오:
말함을. 말하는 것을. 니-[說]+옴/움+(목적격조사).
보고 주068)
보고:
보고. 보-[見]+고(연결어미).
뎌 주069)
뎌:
그를. 뎌[他]+(목적격조사). ‘뎌’는 지시어로만 쓰일 뿐 대용어(代用語)로는 쓰이지 않으므로 ‘그’로 받았다.
誹謗야 文字애

육조법보단경언해 하:49ㄱ

着다 주070)
착(着)다:
집착(執着)하다. 집착(執着)한다.
니리니 주071)
니리니:
말할 것이니. 이르리니. 니-[言]+리+니.
너희 주072)
너희:
너희들은. 너희ㅎ[汝等]+(보조사).
모로매 주073)
모로매:
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부사).
아로리라 주074)
아로리라:
알 것이다. 알-[知]+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75)
저:
자기가. 스스로. 저[自].
迷惑 주076)
미혹(迷惑):
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림.
호 주077)
미혹(迷惑)호:
미혹(迷惑)함은. ‘-호’은 ‘--+옴/움+(보조사)’로 분석된다.
오히려 주078)
오히려:
오히려[猶](부사).
올커니와 주079)
올커니와:
옳거니와. 옳-[可]+거니와(양보의 연결어미).
佛經 주080)
불경(佛經):
불교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經典). 불전(佛典).
誹謗리니 주081)
비방(誹謗)리니:
비방(誹謗)하리니. 비방(誹謗)할 것이니. ‘-리니’는 ‘--+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82)
경(經):
경전(經典).
誹謗호 주083)
비방(誹謗)호:
비방(誹謗)함을. 비방(誹謗)하는 것을. ‘-호’은 ‘--+옴/움+(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求티 주084)
구(求)티:
구(求)하지. ‘-티’는 ‘--+디(연결어미)’.
말라 주085)
말라:
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罪障 주086)
죄장(罪障):
죄업(罪業)으로 말미암아 불과(佛果)를 얻는 데 생기는 장애(障礙)를 이르는 말.
주087)
수(數):
수(數)가.
업스니라 주088)
업스니라:
없을 것이다. 없느니라. 없-[無]+으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이 삼십육(三十六) 대법(對法)을 만약 〈잘〉 알아서 쓰면, 곧 도(道)가 일체의 경법(經法 : 경에서 가르친 법)을 꿰뚫어 출입(出入)에 곧 양변(兩邊)을 여의며, 자성(自性) 동용(動用)에 사람과 말하며, 밖으로 상(相)에서 상(相)을 여의며, 안으로 공(空)에서 공(空)을 여읠 것이다. 만약 온전히 상(相)에 집착(執着)하면, 곧 사견(邪見)을 기르고, 만약 온전히 공(空)을 잡으면, 곧 무명(無明)을 기를 것이다. 공(空) 을 잡는 사람은 경(經)을 비방(誹謗)하여 바로 말하되, ‘문자(文字)를 쓰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니, 이미 ‘문자(文字)를 쓰지 말라.’ 하고, 사람도 또한 ‘말하는 것이 옳지 않다.’고 할 것이니, 이 말이 곧 문자상(文字相)이다. 또 이르되, ‘직도(直道)는 문자를 세우지 아니한다.’고 할 것이니, 이 ‘세우지 아니하다[不立].’라고 하는 두 자(字)가 또 이 문자(文字)이다. 〈다른〉 사람이 말하는 것을 보고, 곧 그를 비방하여, ‘문자에 집착한다.’고 말할 것이니, 너희들은 모름지기 알 것이다. 자기가 미혹(迷惑)함은 오히려 옳거니와 또 불경(佛經)을 비방할 것이니, 경(經) 비방함을 구하지 말라. 〈그〉 죄장(罪障)이 수(數)가 없을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02)
니샤:아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言]+샤+오/우.
주003)
이:이. 이러한. 이[此](관형사).
주004)
대법(對法):4체(諦)의 이치를 대관(對觀)하여 열반에 대향(對向)한다는 뜻이다. 일반적으로는 두 가지 뜻이 있다. 하나는 부처의 가르침. 곧 교법에 대한 연구와 연찬이라는 의미이고, 다른 하나는 열반(涅槃)을 향하는 무루(無漏)의 지혜를 이른다.
주005)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06)
아라:알. 알아서. 알-[解]+아(연결어미).
주007)
면:쓰면. -[用]+면.
주008)
도(道)ㅣ:도(道)가. ‘ㅣ’는 주격조사. ‘도(道)’는 종교상의 근본이 되는 뜻을 이른다.
주009)
일체(一切):만물의 전체, 곧 모든 것을 이른다.
주010)
경법(經法):경에서 말한 교법(敎法).
주011)
여:꿰뚫어. -[貫]+어(연결어미). ‘-여’는 음절부음 [j]에 의한 순행동화 표기.
주012)
출입(出入)에:들어가고 나옴에.
주013)
양변(兩邊)을:두 가지 치우침을.
주014)
여희며:여의며. 여희-[離]+며(연결어미).
주015)
자성(自性):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本來)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주016)
동용(動用)애:움직여 씀에.
주017)
사과:사람과. 사[人]+과.
주018)
말며:말하며. 말-[言語]+며.
주019)
밧긔:밖에. 밖으로. -[外]+의(처소부사격조사). ‘[外]’는 특이처격어.
주020)
상(相)애:상(相)에서.
주021)
상(相):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이나 모습.
주022)
안해:안에. 안으로. 안[內]+애(처소부사격조사).
주023)
공(空)애:공(空)에서.
주024)
공(空):세상의 모든 것은 인연(因緣)에 따라 생긴 가상(假相)이며, 영구 불변의 실체(實體)가 없음을 이르는 말.
주025)
여희리어니와:여읠 것이거니와. 여희-[離]+리+거니와(양보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26)
오로:온전히. 오로[全](부사).
주027)
착(着)면:집착(執着)하면.
주028)
사견(邪見):그릇된 생각. 또는 요사스러운 생각이나 바르지 못한 의견.
주029)
길우고:기르고. 길-[長]+우(사동접미사)+고(연결어미).
주030)
자면:잡으면. 잡-[執]+면(연결어미).
주031)
무명(無明):번뇌로 말미암아 진리에 어둡고, 불법(佛法)을 이해하지 못하는 마음의 상태.
주032)
길우리니:기를 것이니. 길-[長]+우(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주033)
공(空)을:공(空)을. 공(空)에.
주034)
잡:잡는. 집착하는. 잡-[執]+.
주035)
사은:사람은.
주036)
경(經):경전(經典).
주037)
비방(誹謗)야:비방(誹謗)하여.
주038)
바:바로. 바[直](부사).
주039)
닐오:이르되. 말하되. 니-[言]+오/우. ‘니-’는 모음 어미와 통합될 때 어간이 바뀌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40)
디:쓰지. 사용하지. -[用]+디(연결어미).
주041)
아니니라:아니하느니라. 아니한다. 아니-[不]+(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42)
리니:하리니. 할 것이니. -+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주043)
마:이미. 마[旣](부사).
주044)
디:쓰지. 사용하지. -[用]+디.
주045)
말라: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46)
사도:다른 사람도.
주047)
:또한. [亦](부사).
주048)
말호미:말함이. 말하는 것이. 말[語言]+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49)
올티:옳지. 옳-[合]+디.
주050)
아니니라:아니하니라. 아니하다.
주051)
리니:하리니. 할 것이니.
주052)
곧:곧. 곧[只](부사).
주053)
이:이. 이[此](관형사).
주054)
말미:말이. 말[語言]+이(주격조사).
주055)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56)
문자상(文字相):문자의 모습.
주057)
-이어:-이거늘. ‘-이어’은 ‘이(서술격조사)+거(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어’은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58)
직도(直道):사람이 가야 할 바른길. 또는 곧은 길.
주059)
셰디:세우지. 셔-[立]+ㅣ(사동접미사)+디(연결어미).
주060)
아니타:아니하다. 아니-[不]+다(‘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61)
혼:한. -+오/우(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
주062)
두:두. 두[兩](수관형사).
주063)
:자(字)가. 글자가. [字]+ㅣ(주격조사).
주064)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65)
문자(文字)ㅣ니:문자(文字)이니.
주066)
사의:사람이. 다른 사람이. 사[人]+의(주격조사). 관형절의 주어이므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 표지 ‘의’가 왔다.
주067)
닐오:말함을. 말하는 것을. 니-[說]+옴/움+(목적격조사).
주068)
보고:보고. 보-[見]+고(연결어미).
주069)
뎌:그를. 뎌[他]+(목적격조사). ‘뎌’는 지시어로만 쓰일 뿐 대용어(代用語)로는 쓰이지 않으므로 ‘그’로 받았다.
주070)
착(着)다:집착(執着)하다. 집착(執着)한다.
주071)
니리니:말할 것이니. 이르리니. 니-[言]+리+니.
주072)
너희:너희들은. 너희ㅎ[汝等]+(보조사).
주073)
모로매:모름지기. 반드시. 모로매[須](부사).
주074)
아로리라:알 것이다. 알-[知]+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주075)
저:자기가. 스스로. 저[自].
주076)
미혹(迷惑):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림.
주077)
미혹(迷惑)호:미혹(迷惑)함은. ‘-호’은 ‘--+옴/움+(보조사)’로 분석된다.
주078)
오히려:오히려[猶](부사).
주079)
올커니와:옳거니와. 옳-[可]+거니와(양보의 연결어미).
주080)
불경(佛經):불교의 가르침을 적은 경전(經典). 불전(佛典).
주081)
비방(誹謗)리니:비방(誹謗)하리니. 비방(誹謗)할 것이니. ‘-리니’는 ‘--+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82)
경(經):경전(經典).
주083)
비방(誹謗)호:비방(誹謗)함을. 비방(誹謗)하는 것을. ‘-호’은 ‘--+옴/움+(목적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84)
구(求)티:구(求)하지. ‘-티’는 ‘--+디(연결어미)’.
주085)
말라:말라. 말아라. 말-[不]+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86)
죄장(罪障):죄업(罪業)으로 말미암아 불과(佛果)를 얻는 데 생기는 장애(障礙)를 이르는 말.
주087)
수(數):수(數)가.
주088)
업스니라:없을 것이다. 없느니라. 없-[無]+으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