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3


時예 徒衆이 聞說偈已고 普皆作禮야 並體師意야 各各攝心야 依法修行고 更不敢諍며 乃知大師ㅣ不久住世야 法海上座ㅣ 再拜問曰호 和尙入滅之後에 衣法은 當付何人이고 師曰샤 吾於大梵寺애 說法야 以至于今히 抄錄流行니 目曰法寶壇經이라노니 汝等이 守護야 遞相傳授야 度諸群生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9ㄱ

但依此說면 是名正法이니라

그 주001)
그:
그때에. 그[其]#[時]+의(부사격조사). ‘[時]’는 처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徒衆이 주002)
도중(徒衆)이:
문도(門徒) 대중(大衆)이.
偈# 주003)
게(偈)로:
게송(偈頌)으로.
니샤 주004)
니샤:
이르심을. 이르시는 것을. 니-[說]+샤(주체 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05)
다:
다. 모두.
듣고 주006)
듣고:
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너비 주007)
너비:
널리.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禮數야 주008)
예수(禮數)야:
예수(禮數)하여. 절하여.
師ㅅ 주009)
사(師)ㅅ:
조사(祖師)의. 스승의. ‘ㅅ’은 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들 주010)
들:
뜻을. [意]+을(목적격조사).
아라 주011)
아라:
알아. 체달(體達)하여. 알-[體]+아(연결어미). ‘체달(體達)’은 사물의 진상을 통달하는 일이다.
各各  주012)
:
마음을. [心].
자바 주013)
자바:
잡아. 거두어. 잡-[攝]+아(연결어미).
法을 브터 주014)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
修行고 주015)
수행(修行)고:
수행(修行)하고.
다시 주016)
다시:
다시. 다시[更](부사).
토디 주017)
토디:
다투지. 토-[諍]+디.
아니며 주018)
아니며:
아니하며.
大師ㅣ 주019)
대사(大師)ㅣ:
대사(大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世예 주020)
세(世)예:
세상(世上)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격조사.
오래 주021)
오래:
오래. 오래[久](부사).
住티 주022)
주(住)티:
머무르지. 주(住)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아니샤 주023)
아니샤:
아니하심을. 아니하실 것을. 아니-[不]+샤(주체 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아라 주024)
아라:
알아. 알아서. 알=[知]+아.
法海 上座 주025)
상좌(上座):
절 안의 승려들을 통솔하고, 온갖 사무를 총람(總覽)하는 직명(職名)이다.
ㅣ 다시 저고 주026)
저고:
저쑵고. 절하고. 저-[拜]+고(연결어미). ‘저-[拜]’은 어휘적 높임말이다.
묻오 주027)
묻오:
묻되. 여쭙되.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
和尙이 주028)
화상(和尙)이:
화상(和尙)께서. ‘화상(和尙)’은 수행(修行)을 많이 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入滅신 주029)
입멸(入滅)신:
입멸(入滅)하신. ‘입멸(入滅)’은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이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9ㄴ

衣法 주030)
의법(衣法):
가사(袈裟)와 법(法).
반기 주031)
반기:
마땅히. 반드시. 반기[當].
어느 주032)
어느:
어느. 어느[何](관형사).
사게 주033)
사게:
사람에게. 사[人]+게(처격조사).
브티시리고 주034)
브티시리고:
부치시겠습니까. 븥-[付]+이(사동접미사)+시+리+(상대 높임의 선어말어미)+ㅅ(청자 확인법 선어말어미)+고(의문형어미). ‘-고’는 ‘쇼셔’체의 설명 의문형이다.
師ㅣ 니샤 주035)
내:
내가.
大梵寺애 주036)
대범사(大梵寺)애:
소주(韶州)의 대범사(大梵寺)에서.
法을 닐어 주037)
닐어:
말하여. 설(說)하여. 니-[說]+어. ‘니-’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이 바뀌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이제 주038)
이제:
이제. 지금에. 이제[今](부사).
니르리 주039)
니르리:
이르기까지. 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
抄錄야 주040)
초록(抄錄)야:
초록(抄錄)하여. ‘초록(抄錄)’은 필요한 대목만 가려 뽑아서 적은 것이다.
流行니 주041)
유행(流行)니:
유행(流行)하니. ‘유행(流行)’은 널리 유통됨을 이르는 말.
일후 주042)
일후:
이름을. 일훔[名]+(목적격조사).
닐오 주043)
닐오:
이르되. 말하면. 니-[曰]+오/우.
法寶壇經이라 주044)
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
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고.
노니 주045)
노니:
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니.
너희히 주046)
너희히:
너희들이. 너희ㅎ[汝等]+이(주격조사).
간슈야 주047)
간슈야:
간수하여. 간수해서. 간슈-[守護]+야(연결어미).
서르 주048)
서르:
서로. 서르[相](부사).
傳야 주049)
전(傳)야:
전(傳)하여.
맛뎌 주050)
맛뎌:
맡기어. -[授]+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모 주051)
모:
모든. 모[諸](관형사).
群生을 주052)
군생(群生)을:
많은 사람을.
濟度라 주053)
제도(濟度)라:
제도(濟度)하여라. 제도(濟度)하라. ‘제도(濟度)’는 중생(衆生)을 고해(苦海)에서 건지어 극락(極樂)으로 이끌어 주는 일을 이른다.
오직 주054)
오직:
오직. 다만. 오직[但].
주055)
이:
여기서. 이[此].
닐오 주056)
닐오:
이름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목적격조사).
브트면 주057)
브트면:
의지하면. 븥-[依]+으면.
주058)
이:
이. 이[是](관형사).
일후미 주059)
일후미:
이름이.
正法이니라 주060)
정법(正法)이니라:
정법(正法)이니라. 정법(正法)이다. ‘정법(正法)’은 불교의 바른 교법(敎法)을 이른다. 불법(佛法).

그때에 문도 대중(門徒大衆)이 게송(偈頌)으로 이르심을 다 듣고, 널리 다 예수(禮數)하여 조사의 뜻을 알아 각각 마음을 잡아 법(法)에 의지하여 수행(修行)하고 다시는 다투지 아니하였다. 대사(大師)께서 세상에 오래 머무르지 아니하실 것을 알아 법해(法海) 상좌(上座)가 다시 절하고 여쭈었다. “화상(和尙)께서 입멸(入滅)한신 후에 의법(衣法)은 반드시 어느 사람에게 붙이시겠습니까?”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대범사(大梵寺)에서 법(法)을 말하여 이제 이르기까지 〈설법한 내용이〉 초록(抄錄)하여 유행(流行)하니, 이름을 말하면 ‘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 한다. 너희들이 간수해서 서로 전(傳)하고 맡기어, 모든 군생(群生)을 제도(濟度)하여라. 오직 여기서 이르는 것을 의지하면, 이 이름이 정법(正法)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에. 그[其]#[時]+의(부사격조사). ‘[時]’는 처격조사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02)
도중(徒衆)이:문도(門徒) 대중(大衆)이.
주003)
게(偈)로:게송(偈頌)으로.
주004)
니샤:이르심을. 이르시는 것을. 니-[說]+샤(주체 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05)
다:다. 모두.
주006)
듣고: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07)
너비:널리.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8)
예수(禮數)야:예수(禮數)하여. 절하여.
주009)
사(師)ㅅ:조사(祖師)의. 스승의. ‘ㅅ’은 높임 대상의 명사 다음에 오는 관형격조사.
주010)
들:뜻을. [意]+을(목적격조사).
주011)
아라:알아. 체달(體達)하여. 알-[體]+아(연결어미). ‘체달(體達)’은 사물의 진상을 통달하는 일이다.
주012)
:마음을. [心].
주013)
자바:잡아. 거두어. 잡-[攝]+아(연결어미).
주014)
브터:의지하여. 븥-[依]+어.
주015)
수행(修行)고:수행(修行)하고.
주016)
다시:다시. 다시[更](부사).
주017)
토디:다투지. 토-[諍]+디.
주018)
아니며:아니하며.
주019)
대사(大師)ㅣ:대사(大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20)
세(世)예:세상(世上)에. ‘예’는 음절부음 [j] 다음에 오는 처격조사.
주021)
오래:오래. 오래[久](부사).
주022)
주(住)티:머무르지. 주(住)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주023)
아니샤:아니하심을. 아니하실 것을. 아니-[不]+샤(주체 존대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24)
아라:알아. 알아서. 알=[知]+아.
주025)
상좌(上座):절 안의 승려들을 통솔하고, 온갖 사무를 총람(總覽)하는 직명(職名)이다.
주026)
저고:저쑵고. 절하고. 저-[拜]+고(연결어미). ‘저-[拜]’은 어휘적 높임말이다.
주027)
묻오:묻되. 여쭙되. 묻-[問]+(겸양법 선어말어미)+오/우.
주028)
화상(和尙)이:화상(和尙)께서. ‘화상(和尙)’은 수행(修行)을 많이 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이다.
주029)
입멸(入滅)신:입멸(入滅)하신. ‘입멸(入滅)’은 고승(高僧)의 입적(入寂)을 이르는 말이다.
주030)
의법(衣法):가사(袈裟)와 법(法).
주031)
반기:마땅히. 반드시. 반기[當].
주032)
어느:어느. 어느[何](관형사).
주033)
사게:사람에게. 사[人]+게(처격조사).
주034)
브티시리고:부치시겠습니까. 븥-[付]+이(사동접미사)+시+리+(상대 높임의 선어말어미)+ㅅ(청자 확인법 선어말어미)+고(의문형어미). ‘-고’는 ‘쇼셔’체의 설명 의문형이다.
주035)
내:내가.
주036)
대범사(大梵寺)애:소주(韶州)의 대범사(大梵寺)에서.
주037)
닐어:말하여. 설(說)하여. 니-[說]+어. ‘니-’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이 바뀌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38)
이제:이제. 지금에. 이제[今](부사).
주039)
니르리:이르기까지. 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파생접미사).
주040)
초록(抄錄)야:초록(抄錄)하여. ‘초록(抄錄)’은 필요한 대목만 가려 뽑아서 적은 것이다.
주041)
유행(流行)니:유행(流行)하니. ‘유행(流行)’은 널리 유통됨을 이르는 말.
주042)
일후:이름을. 일훔[名]+(목적격조사).
주043)
닐오:이르되. 말하면. 니-[曰]+오/우.
주044)
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법보단경(法寶壇經)이라고.
주045)
노니: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니.
주046)
너희히:너희들이. 너희ㅎ[汝等]+이(주격조사).
주047)
간슈야:간수하여. 간수해서. 간슈-[守護]+야(연결어미).
주048)
서르:서로. 서르[相](부사).
주049)
전(傳)야:전(傳)하여.
주050)
맛뎌:맡기어. -[授]+이(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51)
모:모든. 모[諸](관형사).
주052)
군생(群生)을:많은 사람을.
주053)
제도(濟度)라:제도(濟度)하여라. 제도(濟度)하라. ‘제도(濟度)’는 중생(衆生)을 고해(苦海)에서 건지어 극락(極樂)으로 이끌어 주는 일을 이른다.
주054)
오직:오직. 다만. 오직[但].
주055)
이:여기서. 이[此].
주056)
닐오:이름을. 이르는 것을. 니-[說]+옴/움+(목적격조사).
주057)
브트면:의지하면. 븥-[依]+으면.
주058)
이:이. 이[是](관형사).
주059)
일후미:이름이.
주060)
정법(正法)이니라:정법(正法)이니라. 정법(正法)이다. ‘정법(正法)’은 불교의 바른 교법(敎法)을 이른다. 불법(佛法).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