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7 남돈북점(南頓北漸)
  • 남돈북점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남돈북점 5


心地無非ㅣ 自性戒오 心地無癡ㅣ 自性慧오 心地無亂이 自性定이니 不增不減호 自金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0ㄱ

剛이으[오] 身去身來ㅣ 本三昧라 신대 誠이 聞偈고 悔謝야 乃呈一偈호 五蘊은 幻身이어니 幻何究竟이리오 迴趣眞如면 法還不淨이로소다

心地 주001)
심지(心地):
마음의 바탕. 마음 밭, 또는 마음 땅.
외욤 주002)
외욤:
그릇됨. 그름. 외-[非]+옴/움.
업소미 주003)
업소미:
없음이. 없는 것이. 없-[無]+옴/움+이.
自性 주004)
자성(自性):
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
戒오 주005)
계(戒)오:
계(戒)이고. ‘-오’는 ‘계’의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계’는 ‘계율(戒律)’을 이르는 말로, 몸과 입과 뜻으로 범할 나쁜 짓을 방지하는 것이다.
心地 어룜 주006)
어룜:
어리석음. 어리-[癡]+옴/움.
업소미 自性 慧오 주007)
혜(慧)오:
혜(慧)이고. ‘혜’는 ‘지혜(智慧)’의 준말로 진리를 깨닫는 지혜를 이른다.
心地 어즈러움 주008)
어즈러움:
어지러움. 어즈-[亂]+옴/움(명사형어미).
업소미 自性 定이니 주009)
정(定)이니:
정(定)이니. ‘정’은 ‘선정(禪定)’을 이르는 말로, 산란한 마음을 한 경계(境界)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다.
더으디 주010)
더으디:
더하지. 더으-[增]+디.
아니며 주011)
아니며:
아니하며.
더디 주012)
더디:
덜지. 덜어내지. 덜-[減]+디. 어간 ‘더-’는 어미 ‘-디’ 앞에서 /ㄹ/ 탈락 표기.
아니호미 주013)
아니호미:
아니함이. 아니하는 것이. 아니-[不]+옴/움+이(주격조사).
주014)
제:
제. 자기의.
金剛이오 주015)
금강(金剛)이오:
금강(金剛)이고.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연결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 ‘금강’은 ‘가장 단단한 것, 또는 가장 뛰어 난 것’이란 뜻의 말이다.
주016)
몸:
몸이. 몸[身].
가며 주017)
가며:
가며. 가-[去]+며(연결어미).
오미 주018)
오미:
옴이. 오는 것이. 오-[來]+옴/움+이(주격조사). ‘·오[來-](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本來

육조법보단경언해 하:10ㄴ

주019)
본래(本來)ㅅ:
본래(本來)의.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통합되는 관형격조사.
三昧라 주020)
삼매(三昧)라:
삼매(三昧)이다. 삼매(三昧)+∅(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삼매(三昧)’는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일’이다.
신대 주021)
신대:
하신즉. 하시니까. -+시+ㄴ대.
誠이 偈 듣고 주022)
듣고:
듣고. 듣-[聞]+(겸양법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뉘으처 주023)
뉘으처:
뉘우쳐. 뉘읓-[悔]+어.
謝야 주024)
사(謝)야:
사죄(謝罪)하여.
偈 주025)
게(偈):
게송(偈頌)을.
呈호 주026)
정(呈)호:
드리되. 정(呈)-+오/우.
五蘊 주027)
오온(五蘊):
생멸(生滅)하고 변화하는 것을 다섯 종류로 나눈 것. 색온(色蘊),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 식온(識薀) 등을 이른다.
거즛 주028)
거즛:
거짓. 거즛[幻].
모미어니 주029)
모미어니:
몸이니. 몸이거니. 몸[身]+이(서술격조사)+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니. ‘-어-’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거즛거시 주030)
거즛거시:
거짓 것이. 허깨비가. 가짜가. ‘거즛[假]#것[幻]’+이(주격조사).
엇뎨 주031)
엇뎨:
어찌. 어찌하여.
究竟[이]리오 주032)
구경(究竟)[*이]리오:
구경(究竟)이겠느뇨. 구경(究竟)이겠는가. ‘-오’는 ‘라’체 설명의문형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 ‘’는 ‘이’의 오기(誤記)로 보인다.
眞如 주033)
진여(眞如):
우주 만유의 실체로서, 현실적이며 평등·무차별한 절대의 진리. 진성(眞性).
도라가면 주034)
도라가면:
돌아가면. ‘돌-[廻]+아#가-[趣]+면.
주035)
법(法):
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을 이른다.
도혀 주036)
도혀:
도리어. 도혀[還].
조티 주037)
조티:
깨끗하지. 조-[淨]+디.
아니도소다 주038)
아니도소다:
아니합니다. 아니-[不]+도+ㅅ++다.

“마음 밭[心地]에 그릇됨 없음이 자성(自性)의 계(戒)이고, 마음 밭에 어리석음 없음이 자성의 혜(慧)이며, 마음 밭에 어지러움 없음이 자성의 정(定)이네. 더하지 아니하며 덜지 아니함이 제 금강(金剛)이고, 몸이 가며 몸이 오는 것이 본래(本來)의 삼매(三昧)니라.”(라고) 하신즉, 지성(志誠)이 게송(偈頌)을 듣고 뉘우쳐 사죄하고 한 게송을 바쳤다. “오온(五蘊)은 거짓 몸이니 거짓 것[허깨비]이 어찌 구경(究竟)이리오. 진여(眞如)에 돌아가면 법(法)이 도리어 깨끗하지 아니합니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심지(心地):마음의 바탕. 마음 밭, 또는 마음 땅.
주002)
외욤:그릇됨. 그름. 외-[非]+옴/움.
주003)
업소미:없음이. 없는 것이. 없-[無]+옴/움+이.
주004)
자성(自性):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
주005)
계(戒)오:계(戒)이고. ‘-오’는 ‘계’의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계’는 ‘계율(戒律)’을 이르는 말로, 몸과 입과 뜻으로 범할 나쁜 짓을 방지하는 것이다.
주006)
어룜:어리석음. 어리-[癡]+옴/움.
주007)
혜(慧)오:혜(慧)이고. ‘혜’는 ‘지혜(智慧)’의 준말로 진리를 깨닫는 지혜를 이른다.
주008)
어즈러움:어지러움. 어즈-[亂]+옴/움(명사형어미).
주009)
정(定)이니:정(定)이니. ‘정’은 ‘선정(禪定)’을 이르는 말로, 산란한 마음을 한 경계(境界)에 머무르게 하는 것이다.
주010)
더으디:더하지. 더으-[增]+디.
주011)
아니며:아니하며.
주012)
더디:덜지. 덜어내지. 덜-[減]+디. 어간 ‘더-’는 어미 ‘-디’ 앞에서 /ㄹ/ 탈락 표기.
주013)
아니호미:아니함이. 아니하는 것이. 아니-[不]+옴/움+이(주격조사).
주014)
제:제. 자기의.
주015)
금강(金剛)이오:금강(金剛)이고. ‘-오’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연결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 ‘금강’은 ‘가장 단단한 것, 또는 가장 뛰어 난 것’이란 뜻의 말이다.
주016)
몸:몸이. 몸[身].
주017)
가며:가며. 가-[去]+며(연결어미).
주018)
오미:옴이. 오는 것이. 오-[來]+옴/움+이(주격조사). ‘·오[來-](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주019)
본래(本來)ㅅ:본래(本來)의. ‘ㅅ’은 무정명사 다음에 통합되는 관형격조사.
주020)
삼매(三昧)라:삼매(三昧)이다. 삼매(三昧)+∅(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삼매(三昧)’는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일’이다.
주021)
신대:하신즉. 하시니까. -+시+ㄴ대.
주022)
듣고:듣고. 듣-[聞]+(겸양법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23)
뉘으처:뉘우쳐. 뉘읓-[悔]+어.
주024)
사(謝)야:사죄(謝罪)하여.
주025)
게(偈):게송(偈頌)을.
주026)
정(呈)호:드리되. 정(呈)-+오/우.
주027)
오온(五蘊):생멸(生滅)하고 변화하는 것을 다섯 종류로 나눈 것. 색온(色蘊),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 식온(識薀) 등을 이른다.
주028)
거즛:거짓. 거즛[幻].
주029)
모미어니:몸이니. 몸이거니. 몸[身]+이(서술격조사)+거/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니. ‘-어-’는 서술격조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30)
거즛거시:거짓 것이. 허깨비가. 가짜가. ‘거즛[假]#것[幻]’+이(주격조사).
주031)
엇뎨:어찌. 어찌하여.
주032)
구경(究竟)[*이]리오:구경(究竟)이겠느뇨. 구경(究竟)이겠는가. ‘-오’는 ‘라’체 설명의문형어미 ‘-고’의 /ㄱ/ 약화 표기. ‘’는 ‘이’의 오기(誤記)로 보인다.
주033)
진여(眞如):우주 만유의 실체로서, 현실적이며 평등·무차별한 절대의 진리. 진성(眞性).
주034)
도라가면:돌아가면. ‘돌-[廻]+아#가-[趣]+면.
주035)
법(法):물(物)·심(心)·선(善)·악(惡)의 모든 사상을 이른다.
주036)
도혀:도리어. 도혀[還].
주037)
조티:깨끗하지. 조-[淨]+디.
주038)
아니도소다:아니합니다. 아니-[不]+도+ㅅ++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