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3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3


自性을 若悟면 衆生이 是佛이오 自性을 若迷면 佛是衆生이니라 自性이 平等면 衆生이 是佛이오 自性이 邪險면 佛是衆生이니리 汝等이 心若險曲면 卽佛在衆生中이오 一念平直면 卽是衆生成佛이니라 我心에 自有佛이니 自佛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4ㄱ

이 是眞佛이니라 自若無佛心이면 何處求眞佛이리오 汝等의 自心이 是佛이니 更莫狐疑라 外無一物호 而能建立니 皆是本心이 生萬種法이니라 故로 經云샤 心生면 種種法生고 心滅면 種種法滅이라 시니 吾今에 留一偈고 與汝等으로 別호리니 名이 自性眞佛偈니 後代之人이 識此偈意면 自見本心야 自成佛道리라 偈曰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4ㄴ

自性 주001)
자성(自性):
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本來)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을 다가 알면 주002)
알면:
깨달으면. 알-[悟]+면.
衆生이 이 부톄오 주003)
부톄오:
부처이고. ‘-고’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自性을 다가 모면 주004)
모면:
모르면. 모-[迷]+면.
부톄 주005)
부톄:
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衆生이니라 주006)
중생(衆生)이니라:
중생(衆生)이니라. 중생(衆生)이다.
自性이 平等면 衆生이 이 부톄오 自性이 邪險면 주007)
사험(邪險)면:
그릇되고 험(險)하면.
부톄 이 衆生이니라 너희히 미 다가 險曲면 주008)
험곡(險曲)면:
험(險)하고 굽으면.
곧 부톄 衆生 中에 잇고 주009)
잇고:
있고. 잇-[在]+고(대등적 연결어미).
一念이 주010)
일념(一念)이:
한 생각이.
平直면 주011)
평직(平直)면:
평등하고 곧으면.
곧 이 衆生이 부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5ㄱ

외요미니라 주012)
외요미니라:
됨이니라. 되는 것이다. 외-[成]+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3)
내: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매 주014)
매:
마음에. [心]+애(처소부사격조사).
주015)
제:
스스로. 절로. 제[自](부사).
부톄 잇니 주016)
잇니:
있느니.
주017)
제:
제.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부톄 주018)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眞佛이니라 주019)
진불(眞佛)이니라:
참된 부처이니라. 참 부처이니라.
주020)
제:
스스로. 자기(自己)에게.
다가 佛心곳 주021)
불심(佛心)곳:
불심(佛心)이. ‘곳’은 단독보조사.
업스면 주022)
업스면:
없으면.
어느 주023)
어느:
어느. 어느[何](관형사).
고대 주024)
고대:
곳에서. 곧[處]+애(처소부사격조사).
眞佛을 求리오 주025)
구(求)리오:
구(求)할 것인가. 구할 것이냐. 의문형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리-’에는 서술격이 내재해 있다. ‘라’체의 의문형 종결어미.
너희 주026)
너희:
너희들의.
自心이 이 부톄니 주027)
부톄니:
부처이니. 부텨[佛]+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다시 疑心 말라 주028)
말라:
말아라. 말라.
밧긔 주029)
밧긔:
밖에. 밖으로는. [外]+의(처소부사격조사). ‘[外]’은 특이처격어.
주030)
:
한. 하나의. [一](수관형사).
것도 주031)
것도:
것도. 물건도. 것[物]+도(보조사).
업소 주032)
업소:
없되. 없-[無]+오/우.
能히 建立니 주033)
건립(建立)니:
건립(建立)하니. 세우니.
다 이 本心이 주034)
본심(本心)이:
본 마음이.
萬種 주035)
만종(萬種):
만 가지.
法을 내니라 주036)
내니라:
내느니라. 낸다. 내-[生]++니라.
그럴 주037)
그럴:
그러므로. 그럴[故](부사).
經에 주038)
경(經)에:
경(經)에.
니샤 미 주039)
미:
마음이.
나면 주040)
나면:
생기면. 나면. 나-[生]+면(연결어미).
種種 주041)
종종(種種):
종종의. 갖가지의.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5ㄴ

法이 나고 주042)
나고:
나고. 생기고.
미 주043)
미:
마음이.
滅면 주044)
멸(滅)면:
멸(滅)하면. 없어지면.
種種 法이 滅니라 주045)
멸(滅)니라:
멸(滅)하느니라. 없어진다. ‘-니라’는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시니 주046)
시니:
하시니.
주047)
내:
내가.
이제 주048)
이제:
이제. 이제[今].
주049)
:
한. 하나의. [一](수관형사).
偈 주050)
게(偈):
게송(偈頌)을.
留야 주051)
유(留)야:
남기어.
너희로 주052)
너희로:
너희들로. 너희들과.
여희요리니 주053)
여희요리니:
이별할 것이니. 이별하리니. 여의리니. 여희-[別]+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일후미 주054)
일후미:
이름이.
自性眞佛偈니 주055)
자성진불게(自性眞佛偈)니:
자성진불게(自性眞佛偈)이니. 자기 성품의 참 부처를 보인 노래이니.
後代옛 주056)
후대(後代)옛:
후대의.‘-옛’은 ‘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사미 이 偈ㅅ 주057)
게(偈)ㅅ:
게송(偈頌)의.
들 주058)
들:
뜻을.
알면 주059)
알면:
알-[識]+면.
주060)
제:
스스로.제[自](스스로).
本來ㅅ 주061)
본래(本來)ㅅ:
본래(本來)의.
을 주062)
을:
마음을.
보아 주063)
보아:
보아서. 보-[見]+아.
佛道 주064)
불도(佛道):
불도(佛道)를. ‘불도(佛道)’는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수(修行)을 이른다.
일우리라 주065)
일우리라:
이루리라. 이룰 것이다. 일-[成]+우(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偈 니샤

자성(自性)을 만약 깨달으면 중생(衆生)이 이 부처이고, 자성(自性)을 만약 모르면 부처가 이 중생(中生)이니라. 자성(自性)이 평등(平等)하면 중생이 이 부처이고, 자성이 그릇[邪]되고 험(險)하면 부처가 이 중생이니라. 너희들이 마음이 만약 험하고 굽[險曲]으면, 곧 부처가 중생의 가운데에 있고, 한 생각[一念]이 평등하고 곧[平直]으면 곧 이것은 중생(衆生)이 부처가 됨이니라. 내 마음에 스스로 부처가 있느니, 제 부처가 이것이 진불(眞佛 : 참 부처)이니라. 자기에게 만약 불심(佛心)곧 없으면, 어느 곳에서 진불(眞佛)을 구(求)할 것인가? 너희들의 자심(自心)이 이 부처이니 다시 〈여우처럼〉 의심(疑心)하지 말아라. 밖에 한 물건도 없되, 능(能)히 건립(建立)하니, 다 이 본심(本心)이 만 가지[萬種]의 법(法)을 내느니라. 그러므로 경(經)에 이르시되, ‘마음이 나면 종종(種種)의 법(法)이 나고, 마음이 멸(滅)하면 종종(種種)의 법(法)이 멸(滅)하느니라.’고 하셨다. 내가 이제 한 게송(偈頌)을 남기고, 너희들과 이별할 것이니, 이름이 자성진불게(自性眞佛偈 : 자기 성품의 참 부처를 보인 게송)이다. 후대(後代)의 사람이 이 게송(偈頌)의 뜻을 알면, 스스로 본래(本來)의 마음을 보아서 스스로 불도(佛道)를 이루리라.” 게송(偈頌)을 이르셨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자성(自性):자기의 본성(本性), 곧 본래(本來)부터 가지고 있는 자신의 참성품을 가리킨다.
주002)
알면:깨달으면. 알-[悟]+면.
주003)
부톄오:부처이고. ‘-고’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04)
모면:모르면. 모-[迷]+면.
주005)
부톄:부처께서. 부텨[佛]+ㅣ(주격조사).
주006)
중생(衆生)이니라:중생(衆生)이니라. 중생(衆生)이다.
주007)
사험(邪險)면:그릇되고 험(險)하면.
주008)
험곡(險曲)면:험(險)하고 굽으면.
주009)
잇고:있고. 잇-[在]+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10)
일념(一念)이:한 생각이.
주011)
평직(平直)면:평등하고 곧으면.
주012)
외요미니라:됨이니라. 되는 것이다. 외-[成]+옴/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3)
내: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14)
매:마음에. [心]+애(처소부사격조사).
주015)
제:스스로. 절로. 제[自](부사).
주016)
잇니:있느니.
주017)
제:제.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주018)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19)
진불(眞佛)이니라:참된 부처이니라. 참 부처이니라.
주020)
제:스스로. 자기(自己)에게.
주021)
불심(佛心)곳:불심(佛心)이. ‘곳’은 단독보조사.
주022)
업스면:없으면.
주023)
어느:어느. 어느[何](관형사).
주024)
고대:곳에서. 곧[處]+애(처소부사격조사).
주025)
구(求)리오:구(求)할 것인가. 구할 것이냐. 의문형어미 ‘-오’는 ‘-리-’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리-’에는 서술격이 내재해 있다. ‘라’체의 의문형 종결어미.
주026)
너희:너희들의.
주027)
부톄니:부처이니. 부텨[佛]+ㅣ(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28)
말라:말아라. 말라.
주029)
밧긔:밖에. 밖으로는. [外]+의(처소부사격조사). ‘[外]’은 특이처격어.
주030)
:한. 하나의. [一](수관형사).
주031)
것도:것도. 물건도. 것[物]+도(보조사).
주032)
업소:없되. 없-[無]+오/우.
주033)
건립(建立)니:건립(建立)하니. 세우니.
주034)
본심(本心)이:본 마음이.
주035)
만종(萬種):만 가지.
주036)
내니라:내느니라. 낸다. 내-[生]++니라.
주037)
그럴:그러므로. 그럴[故](부사).
주038)
경(經)에:경(經)에.
주039)
미:마음이.
주040)
나면:생기면. 나면. 나-[生]+면(연결어미).
주041)
종종(種種):종종의. 갖가지의.
주042)
나고:나고. 생기고.
주043)
미:마음이.
주044)
멸(滅)면:멸(滅)하면. 없어지면.
주045)
멸(滅)니라:멸(滅)하느니라. 없어진다. ‘-니라’는 ‘-+(직설법 선어말어미)+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46)
시니:하시니.
주047)
내:내가.
주048)
이제:이제. 이제[今].
주049)
:한. 하나의. [一](수관형사).
주050)
게(偈):게송(偈頌)을.
주051)
유(留)야:남기어.
주052)
너희로:너희들로. 너희들과.
주053)
여희요리니:이별할 것이니. 이별하리니. 여의리니. 여희-[別]+오/우(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54)
일후미:이름이.
주055)
자성진불게(自性眞佛偈)니:자성진불게(自性眞佛偈)이니. 자기 성품의 참 부처를 보인 노래이니.
주056)
후대(後代)옛:후대의.‘-옛’은 ‘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57)
게(偈)ㅅ:게송(偈頌)의.
주058)
들:뜻을.
주059)
알면:알-[識]+면.
주060)
제:스스로.제[自](스스로).
주061)
본래(本來)ㅅ:본래(本來)의.
주062)
을:마음을.
주063)
보아:보아서. 보-[見]+아.
주064)
불도(佛道):불도(佛道)를. ‘불도(佛道)’는 부처의 깨달음에 이르기까지의 가르침이나 수수(修行)을 이른다.
주065)
일우리라:이루리라. 이룰 것이다. 일-[成]+우(사동접미사)+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