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2


大師ㅣ 開元元年癸丑歲八月三日에 於國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2ㄱ

恩寺애 齋罷시고 謂諸徒衆曰샤 汝等은 各依位坐라 吾與汝別호리라 法海ㅣ 白言호 和尙은 留何敎法샤 令後代迷人으로 得見佛性이리고 師言샤 汝等이 諦聽라 後代迷人이 若識衆生이면 卽是佛性이오 若不識衆生면 萬劫에 覓佛難逢이니라 吾今에 敎汝노니 識自心衆生면 見自心佛性리니 欲求見佛인댄 但識衆生이니라 只爲衆生이 迷佛이라 非是佛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2ㄴ

迷衆生이니라

大師ㅣ 주001)
대사(大師)ㅣ:
대사(大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開元 주002)
개원(開元):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연호(年號). 서기 713~741년.
元年 癸丑歲 주003)
계축세(癸丑歲):
계축년(癸丑年). 여기서는 개원(開元) 원년이므로 서기 713년.
八月 三日에 國恩寺애 주004)
국은사(國恩寺)애:
국은사(國恩寺)에서.
주005)
재(齋):
재(齋)를. ‘재(齋)’는 신(身)·구(口)·의(意)의 3업(三業)을 정제(整齊)하여 악업(惡業)을 짓지 아니함을 이른다. 후대에는 변하여 성대하게 불공(佛供)하는 것을 이른다.
시고 주006)
시고:
마치시고. -[罷]+시(높임의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徒衆려 주007)
도중(徒衆)려:
문도대중(文道大衆)더러. 문도대중에게. ‘려’는 여격조사.
니샤 주008)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謂]+샤(높임의 선어말어미)+오/우.
너희 各各 位 주009)
위(位):
위(位)를. 위(位)에. 자리에.
브터 주010)
브터:
의해. 븥-[依]+어(연결어미).
안라 주011)
안라:
앉아라. 앉-[坐]+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2)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너와 주013)
너와:
너희와. 너[汝等]+와(공동격조사).
여희요리라 주014)
여희요리라:
이별할 것이다. 여읠 것이다. 여의리라. 여희-[別]+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法海 주015)
법해(法海):
법해(法海)가.
오 주016)
오:
사뢰되. 여쭙되. -[白]+오/우.
和尙 주017)
화상(和尙):
수행(修行)을 많이 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
엇던 주018)
엇던:
어떤[何](관형사).
敎法 주019)
교법(敎法):
한 종파(宗派)의 교리(敎理)를 언어나 문자로 설명하는 교설(敎說).
留샤 주020)
유(留)샤:
머무르게 하시어.
後代옛 주021)
후대(後代)옛:
후대(後代)의. ‘-옛’은 ‘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迷人으로 주022)
미인(迷人)으로:
미혹(迷惑)한 사람으로.
佛性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3ㄱ

주023)
불성(佛性)을:
불성(佛性)을. ‘불성(佛性)’은 부처를 이룰 근본 성품(性品).
보게 주024)
보게:
보게. 보-[見]+게(보조적 연결어미).
시리고 주025)
시리고:
하실 것입니까. -+시(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ㅅ(청자 확인법 선어말어미)+고(의문형어미). ‘-고’는 ‘쇼셔’체의 의문형 종결어미.
師ㅣ 니샤 너희히 주026)
너희히:
너희들은.
셔히 주027)
셔히:
자세히. 셔히[諦](부사).
드르라 주028)
드르라:
들어라. 듣-[聽]+으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後代 주029)
후대(後代):
후대(後代)의.
迷人이 주030)
미인(迷人)이:
미혹(迷惑)한 사람이.
다가 衆生을 주031)
중생(衆生)을:
중생(衆生)을. ‘중생(衆生)’은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제유(諸有).
알면 주032)
알면:
알-[識]+면.
佛性이오 주033)
불성(佛性)이오:
불성(不成)이고. ‘-이고’는 ‘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다가 衆生을 아디 주034)
아디:
알지. 알-[識]+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면 주035)
몯면:
못하면. 몯-[不]+면.
萬劫에 주036)
만겁(萬劫)에:
만겁(萬劫)에. ‘만겁(萬劫)’은 지극히 오랜 시간, 곧 한없이 긴 시간을 이른다.
부텨 주037)
부텨:
부처를. 부텨[佛]. ‘부처’는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를 이른다.
어더도 주038)
어더도:
찾아도. 얻-[覓]+어도(연결어미).
맛나미 주039)
맛나미:
만남이. 만나기가. 만나는 것이. 맞나-[逢]+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어려우니라 주040)
어려우니라:
어려운 것이다. 어려우니라. 어-[難]+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41)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이제 너 주042)
너:
너희를.
치노니 주043)
치노니:
가르치느니.
自心 주044)
자심(自心):
자기의 마음. 자기의 생활.
衆生을 알면 自心 佛性을 보리니 주045)
보리니:
보리니. 볼 것이니. 보-[見]+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부텨 보 주046)
보:
봄을. 보기를. 보-[見]+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 이어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봄]은 상성으로 성조가 바뀐다.
求호려 주047)
구(求)호려:
구(求)하려. ‘-호려’는 -+오/우(선어말어미)+려(의도형 연결어미).
홀딘댄 주048)
홀딘댄:
할진댄. 할 것이면. ‘-+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보이는 연결어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3ㄴ

직 衆生을 아롤디니라 주049)
아롤디니라:
알지니라. 알 것이다. 알-[識]+오/우+ㄹ++이+니라.
오직 衆生이 부텨 주050)
부텨:
부처를.
모논디라 주051)
모논디라:
모르는 것이다. 모-[迷]+(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이+라.
주052)
이:
이것은. 이[是]+∅(주격조사).
부톄 주053)
부톄:
부처가. 부텨[佛]+ㅣ(주격조사).
衆生을 몰로미 주054)
몰로미:
모름이. 모르는 것이. 모-[迷]+옴/움+이(주격조사). ‘모-’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이 바뀌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이다.
아니리라 주055)
아니니라:
아니니라. 아닌 것이다. 아니다. 아니-[非]+니라(종결어미).

대사(大師)께서 개원(開元) 원년(元年) 계축세(癸丑歲) 팔월 삼일에 국은사(國恩寺)에서 재(齋)를 마치시고, 문도대중(門徒大衆)에게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각각(各各) 위(位)에 의해 앉아라. 내가 너희와 이별할 것이다.” 법해(法海)가 말씀드렸다. “화상(和尙)께서는 어떤 교법(敎法)을 머무르[留]게 하시어 후대(後代)의 미혹한 사람들[迷人]로 〈하여금〉 불성(佛性)을 보게 하실 것입니까?” 대사께서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자세히 들어라. 후대의 미혹한 사람[迷人]이 만약 중생(衆生)을 알면 곧 불성(佛性)이고, 만약 중생(衆生)을 알지 못하면 만겁(萬劫)에 부처를 찾아도 만나기가 어려운 것이다. 내가 이제 너희를 가르치느니, 자심(自心) 중생(衆生)을 알면 자심(自心) 불성(佛性)을 볼 것이니, 부처 보기를 구하려 할진댄 오직 중생을 알지니라. 오직 중생(衆生)이 부처를 모르는 것이요, 이것은 부처가 중생을 모르는 것이 아니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대사(大師)ㅣ:대사(大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02)
개원(開元):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연호(年號). 서기 713~741년.
주003)
계축세(癸丑歲):계축년(癸丑年). 여기서는 개원(開元) 원년이므로 서기 713년.
주004)
국은사(國恩寺)애:국은사(國恩寺)에서.
주005)
재(齋):재(齋)를. ‘재(齋)’는 신(身)·구(口)·의(意)의 3업(三業)을 정제(整齊)하여 악업(惡業)을 짓지 아니함을 이른다. 후대에는 변하여 성대하게 불공(佛供)하는 것을 이른다.
주006)
시고:마치시고. -[罷]+시(높임의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07)
도중(徒衆)려:문도대중(文道大衆)더러. 문도대중에게. ‘려’는 여격조사.
주008)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謂]+샤(높임의 선어말어미)+오/우.
주009)
위(位):위(位)를. 위(位)에. 자리에.
주010)
브터:의해. 븥-[依]+어(연결어미).
주011)
안라:앉아라. 앉-[坐]+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2)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주013)
너와:너희와. 너[汝等]+와(공동격조사).
주014)
여희요리라:이별할 것이다. 여읠 것이다. 여의리라. 여희-[別]+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15)
법해(法海):법해(法海)가.
주016)
오:사뢰되. 여쭙되. -[白]+오/우.
주017)
화상(和尙):수행(修行)을 많이 한 승려를 높여서 이르는 말.
주018)
엇던:어떤[何](관형사).
주019)
교법(敎法):한 종파(宗派)의 교리(敎理)를 언어나 문자로 설명하는 교설(敎說).
주020)
유(留)샤:머무르게 하시어.
주021)
후대(後代)옛:후대(後代)의. ‘-옛’은 ‘예(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22)
미인(迷人)으로:미혹(迷惑)한 사람으로.
주023)
불성(佛性)을:불성(佛性)을. ‘불성(佛性)’은 부처를 이룰 근본 성품(性品).
주024)
보게:보게. 보-[見]+게(보조적 연결어미).
주025)
시리고:하실 것입니까. -+시(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리(추측법 선어말어미)+(청자 높임의 선어말어미)+ㅅ(청자 확인법 선어말어미)+고(의문형어미). ‘-고’는 ‘쇼셔’체의 의문형 종결어미.
주026)
너희히:너희들은.
주027)
셔히:자세히. 셔히[諦](부사).
주028)
드르라:들어라. 듣-[聽]+으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29)
후대(後代):후대(後代)의.
주030)
미인(迷人)이:미혹(迷惑)한 사람이.
주031)
중생(衆生)을:중생(衆生)을. ‘중생(衆生)’은 부처의 구제의 대상이 되는 이 세상의 모든 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제유(諸有).
주032)
알면:알-[識]+면.
주033)
불성(佛性)이오:불성(不成)이고. ‘-이고’는 ‘이(서술격조사)+고/오(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오’는 서술격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34)
아디:알지. 알-[識]+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35)
몯면:못하면. 몯-[不]+면.
주036)
만겁(萬劫)에:만겁(萬劫)에. ‘만겁(萬劫)’은 지극히 오랜 시간, 곧 한없이 긴 시간을 이른다.
주037)
부텨:부처를. 부텨[佛]. ‘부처’는 대도(大道)를 깨친 불교의 성자(聖者)를 이른다.
주038)
어더도:찾아도. 얻-[覓]+어도(연결어미).
주039)
맛나미:만남이. 만나기가. 만나는 것이. 맞나-[逢]+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40)
어려우니라:어려운 것이다. 어려우니라. 어-[難]+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41)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주042)
너:너희를.
주043)
치노니:가르치느니.
주044)
자심(自心):자기의 마음. 자기의 생활.
주045)
보리니:보리니. 볼 것이니. 보-[見]+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주046)
보:봄을. 보기를. 보-[見]+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보-(거성)’의 어간 말음이 /ㅗ/ 이어서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된 [׃봄]은 상성으로 성조가 바뀐다.
주047)
구(求)호려:구(求)하려. ‘-호려’는 -+오/우(선어말어미)+려(의도형 연결어미).
주048)
홀딘댄:할진댄. 할 것이면. ‘-+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보이는 연결어미).
주049)
아롤디니라:알지니라. 알 것이다. 알-[識]+오/우+ㄹ++이+니라.
주050)
부텨:부처를.
주051)
모논디라:모르는 것이다. 모-[迷]+(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선어말어미)+ㄴ++이+라.
주052)
이:이것은. 이[是]+∅(주격조사).
주053)
부톄:부처가. 부텨[佛]+ㅣ(주격조사).
주054)
몰로미:모름이. 모르는 것이. 모-[迷]+옴/움+이(주격조사). ‘모-’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만나면 어간이 바뀌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이다.
주055)
아니니라:아니니라. 아닌 것이다. 아니다. 아니-[非]+니라(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