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7


師ㅣ 說偈已시고 曰샤 其法이 無二니 其心이 亦然며 其道ㅣ 淸淨야 亦無諸相니 汝等은 愼勿觀靜며 及空其心라 此心은 本淨야 無可取捨ㅣ니 各自努力야 隨緣好去라 爾時徒衆이 作禮而退니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4ㄱ

師ㅣ 偈 니샤 시고 주001)
시고:
마치시고. -[了]+시+고.
니샤 그 法이 주002)
둘:
둘이.
업스니 주003)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
미 주004)
미:
마음이. [心]+이(주격조사).
그러며 주005)
그러며:
그러하며. 그러-[然]+며(대등적 연결어미).
道ㅣ 주006)
도(道)ㅣ:
도(道)가. ‘ㅣ’는 주격조사.
淸淨야 주007)
청정(淸淨)야:
청정(淸淨)하여. ‘청정(淸淨)’은 죄가 없이 깨끗함을 이른다.
諸相 주008)
제상(諸相):
모든 모습. 여러 모습.
이 업스니 너희 주009)
너희:
너희들은. 너희ㅎ[汝等]+(보조사).
삼가 주010)
삼가:
삼가. 삼가-[愼]+∅(연결어미).
靜을 주011)
정(靜)을:
고요함을.
보며 주012)
보며:
보며. 보-[觀]+며(대등적 연결어미).
 그 을 주013)
을:
마음을.
空오디 주014)
공(空)오디:
공(空)하게 하지. 비우려고 하지. ‘-오디’는 ‘-+ㅣ오(사동접미사)+디(보조적연결어미)’ 로 분석된다. ‘공(空)’은 실체가 없고 자성(自性)이 없는 것을 이른다.
말라 주015)
말라:
말아라. 마라. 말-[勿]+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6)
이:
이. 이[此](관형사).
은 주017)
은:
마음은. [心]+은(보조사).
本來 조야 주018)
조야:
깨끗하여. 조-[淨]+야(연결어미).
어루 주019)
어루:
가히.
取捨ㅣ 주020)
취사(取捨)ㅣ:
취함이나 버림이. 취하거나 버릴 수가.
업스니 各各 힘 주021)
힘:
힘써. 힘을 써서. 힘[力]#-[努]+어(연결어미).
緣 주022)
연(緣):
인연(因緣)을. ‘연(緣)’은 원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이른다.
조차 주023)
조차:
좇아. 따라. 좇-[隨]+아(연결어미).
됴히 주024)
됴히:
잘. 좋게. 둏-[好]+이(부사파생접미사).
가라 주025)
가라:
가거라. 가라. 가-[去]+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그 주026)
그:
그때에. 그[爾]#[時]+의(부사격조사). ‘[時]’는 처소 부사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徒衆이 주027)
도중(徒衆)이:
문도(門徒) 대중(大衆)이.
저고 주028)
저고:
절하고. 저쑵고. 저-[作禮]+고(연결어미). ‘저-’은 어휘적 높임말이다.
믈러가니라 주029)
믈러가니라:
물러가니라. 물러갔다. 므르-[退]+어#가-[行]+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므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통합될 때 어간이 변하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이다.

대사께서 게송(偈頌) 이르심을 마치고 말씀하셨다. “그 법(法)이 둘이 없으니 그 마음이 또 그러하며, 그 도(道)가 청정(淸淨)하여 또 모든 모습[諸相]이 없으니, 너희들은 삼가 정(靜)을 보며, 또 그 마음을 공(空)하게 하지 말아라. 이 마음은 본래 깨끗하여 가히 취사(取捨)가 없으니 각각 힘써 연(緣)을 좇아 잘 가거라.” 그때에 문도대중(門徒大衆)이 절하고 물러갔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시고:마치시고. -[了]+시+고.
주002)
둘:둘이.
주003)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
주004)
미:마음이. [心]+이(주격조사).
주005)
그러며:그러하며. 그러-[然]+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06)
도(道)ㅣ:도(道)가. ‘ㅣ’는 주격조사.
주007)
청정(淸淨)야:청정(淸淨)하여. ‘청정(淸淨)’은 죄가 없이 깨끗함을 이른다.
주008)
제상(諸相):모든 모습. 여러 모습.
주009)
너희:너희들은. 너희ㅎ[汝等]+(보조사).
주010)
삼가:삼가. 삼가-[愼]+∅(연결어미).
주011)
정(靜)을:고요함을.
주012)
보며:보며. 보-[觀]+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3)
을:마음을.
주014)
공(空)오디:공(空)하게 하지. 비우려고 하지. ‘-오디’는 ‘-+ㅣ오(사동접미사)+디(보조적연결어미)’ 로 분석된다. ‘공(空)’은 실체가 없고 자성(自性)이 없는 것을 이른다.
주015)
말라:말아라. 마라. 말-[勿]+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6)
이:이. 이[此](관형사).
주017)
은:마음은. [心]+은(보조사).
주018)
조야:깨끗하여. 조-[淨]+야(연결어미).
주019)
어루:가히.
주020)
취사(取捨)ㅣ:취함이나 버림이. 취하거나 버릴 수가.
주021)
힘:힘써. 힘을 써서. 힘[力]#-[努]+어(연결어미).
주022)
연(緣):인연(因緣)을. ‘연(緣)’은 원인을 도와 결과를 낳게 하는 직접적인 작용을 하는 것을 이른다.
주023)
조차:좇아. 따라. 좇-[隨]+아(연결어미).
주024)
됴히:잘. 좋게. 둏-[好]+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5)
가라:가거라. 가라. 가-[去]+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26)
그:그때에. 그[爾]#[時]+의(부사격조사). ‘[時]’는 처소 부사격으로 ‘의’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27)
도중(徒衆)이:문도(門徒) 대중(大衆)이.
주028)
저고:절하고. 저쑵고. 저-[作禮]+고(연결어미). ‘저-’은 어휘적 높임말이다.
주029)
믈러가니라:물러가니라. 물러갔다. 므르-[退]+어#가-[行]+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므르-’는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통합될 때 어간이 변하는 ‘’ 불규칙의 이른바 ‘ㄹㄹ’형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