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6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6


若人이 具二三昧면 如地예 有種야 含藏長養야 成熟其實리니 一相一行도 亦復如是니라 我今說法은 猶如時雨야 普潤大地고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2ㄴ

汝等佛性은 譬諸種子야 遇茲霑洽야 悉得發生이니라 承吾旨者 決獲菩提며 依吾行者 定證妙果리라 聽吾偈라 曰샤 心地예 含諸種면 普雨에 悉皆萌니 頓悟花情已면 菩提果ㅣ 自成이리라

다가 주001)
다가:
만약. 다가[若](부사).
사미 주002)
사미:
(어떤)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03)
두:
(위의) 둘. 두[二](수관형사).
三昧 주004)
삼매(三昧):
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일.
면 주005)
면:
갖추면. -[具]+면.
해 주006)
해:
땅에.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7)
:
씨가. [種]+∅(주격조사).
이숌 주008)
이숌:
있음과. 있는 것과.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
야 주009)
야:
같아서. -[如]+야.
머구머 주010)
머구머:
머금어. 머굼-[含]+어(연결어미).
가져 주011)
가져:
가지어. 가지-[藏]+어.
길워 주012)
길워:
길러서. 길-[長]+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13)
그:
그. 그[其](관형사).
實을 주014)
실(實)을:
열매를.
일워 주015)
일워:
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니기리니 주016)
니기리니:
익힐 것이니. 익게 할 것이니. 닉-[熟]+이(사동접미사)+리+니.
一相과 주017)
일상(一相)과:
일상삼매(一相三昧)와.
一行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3ㄱ

과도
주018)
일행(一行)과도:
일행삼매(一行三昧)도.
주019)
이:
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니라 주020)
니라:
같으니라. 같다. -[如]+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1)
내:
내가.
이제 法 주022)
법(法):
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이다.
닐오 주023)
닐오:
이름은. 말함은. 니-[說]+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時節ㅅ 주024)
시절(時節)ㅅ:
시절(時節)의. 때 맞춘.
주025)
비:
비와. 비[雨]+∅(비교 부사격조사).
야 주026)
야:
같아서.
大地 주027)
대지(大地):
대지(大地)를.
너비 주028)
너비:
넓게.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저지고 주029)
저지고:
적시고. 젖게 하고. 젖-[潤]+이(사동접미사)+고(대등적 연결어미).
너희 주030)
너희:
너희들의. 너희ㅎ[汝等]+(관형격조사).
佛性 주031)
불성(佛性):
모든 사람이 본디 지니고 있는 부처가 될 수 있는 자비로운 성질.
모 주032)
모:
모든. 모[諸](관형사).
種子ㅣ 주033)
종자(種子)ㅣ:
종자(種子)와. ‘ㅣ’는 비교부사격조사.
야 주034)
이:
이러한. 이[玆](관형사).
저죠 주035)
저죠:
적심을. 젖게 함을. 젖-[霑洽]+이(사동접미사)+옴/움+(목적격조사).
맛나 주036)
맛나:
만나. 맞나-[遇]+∅(연결어미).
發야 주037)
발(發)야:
발(發)하여. 피어나.
나 주038)
나:
생겨남을. 나-[生]+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나-(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성조가 ‘[:남](상성)’으로 바뀌었다.
得니라 주039)
득(得)니라:
얻느니라. 얻는 것이다.
주040)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41)
:
뜻을. [旨].
받니 주042)
받니:
이어받는 이는. 받-[承]+(직설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一定야 주043)
일정(一定)야:
일정(一定)하여.
菩提 주044)
보리(菩提):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境地).
어드며 주045)
어드며:
얻으며. 얻-[獲]+으며.
주046)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47)
행(行):
일체의 유위법(有爲法), 곧 조작(造作).
브트니 주048)
브트니:
의지한 이는. 븥-[依]+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一定야 妙果 주049)
묘과(妙果):
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 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證리라 주050)
증(證)리라:
증득(證得)하리라. 증득(證得)할 것이다.
주051)
내:
나의.
주052)
게(偈):
게송(偈頌)을.
드르라 주053)
드르라:
들어라. 들으라. 듣-[聽]+으라(‘라’체의 명령형어미).
나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3ㄴ

地예
주054)
심지(心地)예:
마음의 땅에.
諸種 주055)
제종(諸種):
모든 씨앗을.
머구머시면 주056)
머구머시면:
머금으면. 머굼-[含]+어#이시-[有]+면.
니븐# 주057)
너븐:
넓은. 널리 온. 넙-[普]+은(관형사형어미).
비예 주058)
비예:
비에. 비[雨]+예(처격조사).
주059)
엄:
움이. 엄[萌芽].
나니 주060)
나니:
나느니. 나-[生]+(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고 주061)
고:
꽃의. 곶[花]+(관형격조사).
情을 주062)
정(情)을:
뜻을.
모로기 주063)
모로기:
문득. 모로기[頓](부사).
알면 주064)
알면:
깨달으면. 알-[悟]+면.
菩提ㅅ 주065)
보리(菩提)ㅅ:
보리(菩提)의. ‘ㅅ’은 관형격조사.
여르미 주066)
여르미:
열매가. 여름[果]+이(주격조사).
주067)
제:
스스로. 절로. 제[自](부사).
일리라 주068)
일리라:
이루어질 것이다. 일-[成]+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하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만약 〈어떤〉 사람이 〈위의〉 두 삼매(三昧)를 갖추어 있으면 땅에 씨가 있는 것과 같아서, 머금어 가지고 길러서 그 열매를 이루어 익게 할 것이니,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도 또 이와 같으니라. 내가 이제 법(法)을 말함은 〈마치〉 시절(時節)에 내리는 비와 같아서 대지(大地)를 넓게 적시고, 너희들의 불성(佛性)은 모든 종자(種子)와 같아서 이러한 적심을 만나 다 발하여(피어나) 생겨남을 얻는 것이다. 나의 뜻을 이어받는 이는 일정(一定)하여 보리(菩提)를 얻으며, 나의 행(行)을 의지한 이는 일정(一定)하여 묘과(妙果 : 묘한 해탈의 성과)를 증득(證得)할 것이다. 나의 게송(偈頌)을 들어라. 이르셨다. ‘심지(心地)에 제종(諸種)을 머금으면 널리 온 비에 다 움[萌芽]이 나느니, 꽃의 뜻을 문득 깨달으면 보리(菩提)의 열매가 스스로 이루어질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약. 다가[若](부사).
주002)
사미:(어떤)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03)
두:(위의) 둘. 두[二](수관형사).
주004)
삼매(三昧):잡념을 버리고 한 가지 일에만 정신을 집중하는 일.
주005)
면:갖추면. -[具]+면.
주006)
해:땅에. ㅎ[地]+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7)
:씨가. [種]+∅(주격조사).
주008)
이숌:있음과. 있는 것과.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
주009)
야:같아서. -[如]+야.
주010)
머구머:머금어. 머굼-[含]+어(연결어미).
주011)
가져:가지어. 가지-[藏]+어.
주012)
길워:길러서. 길-[長]+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13)
그:그. 그[其](관형사).
주014)
실(實)을:열매를.
주015)
일워:이루어. 일-[成]+우(사동접미사)+어(연결어미).
주016)
니기리니:익힐 것이니. 익게 할 것이니. 닉-[熟]+이(사동접미사)+리+니.
주017)
일상(一相)과:일상삼매(一相三昧)와.
주018)
일행(一行)과도:일행삼매(一行三昧)도.
주019)
이:이와. 이[是]+∅(비교 부사격조사).
주020)
니라:같으니라. 같다. -[如]+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1)
내:내가.
주022)
법(法):자신의 독특한 성품을 가지고, 궤범(軌範)이 되어 다른 이에게 일정한 요해(了解)를 내게 하는 것이다.
주023)
닐오:이름은. 말함은. 니-[說]+옴/움(명사형어미)+(보조사).
주024)
시절(時節)ㅅ:시절(時節)의. 때 맞춘.
주025)
비:비와. 비[雨]+∅(비교 부사격조사).
주026)
야:같아서.
주027)
대지(大地):대지(大地)를.
주028)
너비:넓게. 넙-[普]+이(부사파생접미사).
주029)
저지고:적시고. 젖게 하고. 젖-[潤]+이(사동접미사)+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30)
너희:너희들의. 너희ㅎ[汝等]+(관형격조사).
주031)
불성(佛性):모든 사람이 본디 지니고 있는 부처가 될 수 있는 자비로운 성질.
주032)
모:모든. 모[諸](관형사).
주033)
종자(種子)ㅣ:종자(種子)와. ‘ㅣ’는 비교부사격조사.
주034)
이:이러한. 이[玆](관형사).
주035)
저죠:적심을. 젖게 함을. 젖-[霑洽]+이(사동접미사)+옴/움+(목적격조사).
주036)
맛나:만나. 맞나-[遇]+∅(연결어미).
주037)
발(發)야:발(發)하여. 피어나.
주038)
나:생겨남을. 나-[生]+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나-(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성조가 ‘[:남](상성)’으로 바뀌었다.
주039)
득(得)니라:얻느니라. 얻는 것이다.
주040)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41)
:뜻을. [旨].
주042)
받니:이어받는 이는. 받-[承]+(직설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043)
일정(一定)야:일정(一定)하여.
주044)
보리(菩提):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境地).
주045)
어드며:얻으며. 얻-[獲]+으며.
주046)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47)
행(行):일체의 유위법(有爲法), 곧 조작(造作).
주048)
브트니:의지한 이는. 븥-[依]+은(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049)
묘과(妙果):일체의 번뇌에서 해탈(解脫)한 불생 불멸(不生不滅)의 높은 경지.
주050)
증(證)리라:증득(證得)하리라. 증득(證得)할 것이다.
주051)
내:나의.
주052)
게(偈):게송(偈頌)을.
주053)
드르라:들어라. 들으라. 듣-[聽]+으라(‘라’체의 명령형어미).
주054)
심지(心地)예:마음의 땅에.
주055)
제종(諸種):모든 씨앗을.
주056)
머구머시면:머금으면. 머굼-[含]+어#이시-[有]+면.
주057)
너븐:넓은. 널리 온. 넙-[普]+은(관형사형어미).
주058)
비예:비에. 비[雨]+예(처격조사).
주059)
엄:움이. 엄[萌芽].
주060)
나니:나느니. 나-[生]+(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61)
고:꽃의. 곶[花]+(관형격조사).
주062)
정(情)을:뜻을.
주063)
모로기:문득. 모로기[頓](부사).
주064)
알면:깨달으면. 알-[悟]+면.
주065)
보리(菩提)ㅅ:보리(菩提)의. ‘ㅅ’은 관형격조사.
주066)
여르미:열매가. 여름[果]+이(주격조사).
주067)
제:스스로. 절로. 제[自](부사).
주068)
일리라:이루어질 것이다. 일-[成]+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하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