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5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1ㄱ

師ㅣ 復曰샤 汝等이 若欲成就種智ㄴ댄 須達一相三昧의 一行三昧호리니 若於一切處에 而不住相야 於彼相中에 不生憎愛며 亦無取捨며 不念利益成壞等事고 安閑恬靜며 虛融澹泊면 此名이 一相三昧라 若於一切處에 行住坐臥애 純一直心면 不動道場야 眞成淨土리니 此名一行三昧니라

師ㅣ  니샤 너희히 다가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1ㄴ

주001)
종지(種智):
일체 종지(一切種智). 일체 만법(萬法)의 별상(別相)을 낱낱이 정밀하게 아는 지혜, 곧 부처님의 지혜를 이른다.
일우고져 주002)
일우고져:
이루고자. 일[成]+우(사동접미사)+고져(의도형 연결어미).
홀딘댄 주003)
홀딘댄:
할진댄. 할 것이면. -+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모로매 주004)
모로매: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一相三昧 주005)
일상삼매(一相三昧):
진여(眞如)의 세계는 평등하여 한결같고 차별이 없는 한 모양이라고 관(觀)하는 삼매. 진여삼매(眞如三昧).
一行三昧 주006)
일행삼매(一行三昧):
전 우주의 온갖 물·심(物心)의 현상은 평등하고, 한 모양인 것을 관(觀)하는 삼매. 일상장엄삼매(一相莊嚴三昧).
아로리니 주007)
아로리니:
알 것이니. 알아야 할 것이니. 알-[達]+오/우+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다가 一切處에 주008)
일체처(一切處)에:
일체(一切)의 처(處)에서. 온갖 곳에서.
相애 주009)
상(相)애:
모습에. ‘상(相)’은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이나 모습.
住티 주010)
주(住)티:
주(住)하지. 머무르지. ‘주(住)’는 주상(住相), 곧 현상계의 생멸(生滅)ㆍ변화(變化)하는 모습인 생(生)·주(住)·이(離)·멸(滅) 중 만유(萬有)가 머물러 있는 상(相)을 말한다.
아니야 주011)
아니야:
아니하여.
주012)
뎌:
저. 뎌[彼](지시관형사).
相中에 주013)
상중(相中)에:
모습 가운데에. 상(相)의 가운데에.
憎愛 주014)
증애(憎愛):
미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내디 주015)
내디:
내지. 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주016)
아니며:
아니하며.
取捨 주017)
취사(取捨):
취하고 버림을.
말며 주018)
말며:
말며. 말-[無]+며(대등적 연결어미).
利益과 주019)
이익(利益)과:
이익(利益)됨과.
成과 주020)
성(成)과:
이루어짐과.
壞와햇 주021)
괴(壞)와햇:
괴(壞) 등의. 허물어짐 등의. ‘-와햇’은 ‘와(접속조사)+ㅎ(복수접미사)+애(처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접속조사 ‘와’가 통합되었다.
이 주022)
이:
일을. 일[事]+(목적격조사).
念티 주023)
염(念)티:
생각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아니고 주024)
아니고:
아니하고.
편안히 寂靜 주025)
적정(寂靜):
번뇌를 떠나 고(苦)를 멸(滅)한 해탈(解脫)·열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이다.
며 虛히 주026)
허(虛)히:
헛되이.
노가 주027)
노가:
녹아서. 녹-[融]+아(연결어미).
면 주028)
면:
맑으면. -[澹泊]+면.
주029)
이:
이[此](관형사).
일후미 주030)
일후미:
이름이.
一相三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2ㄱ

昧라
주031)
일상삼매(一相三昧)라:
일상삼매(一相三昧)이다.
다가 一切處에 行住坐臥 주032)
행주좌와(行住坐臥):
사위의(四威儀), 곧 인간이 날마다 하는 동작인 다니는 것, 머무는 것, 앉는 것, 눕는 것 등을 이른다.
直心 주033)
직심(直心):
진여(眞如)를 바로 헤아려 생각하는 한결같은 곧은 마음을 이른다.
純一면 주034)
순일(純一)면:
순일(純一)하면. ‘순일(純一)’은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순수함을 이른다.
道場 주035)
도량(道場):
불도(佛道)를 닦는 곳.
뮈우디 주036)
뮈우디:
움직이게 하지. 뮈-[動]+우(사동접미사)+디.
아니야 주037)
아니야:
아니하여.
眞實로 주038)
진실(眞實)로:
진실(眞實)로. 참으로.
淨土 주039)
정토(淨土):
부처가 사는 청정(淸淨)한 곳. 불계(佛界).
일우리니 주040)
일우리니:
이루리니. 이룰 것이니. 일-[成]+우(사동접미사)+리+니.
이 일후미 一行三昧니라 주041)
일행삼매(一行三昧)니라:
일행삼매(一行三昧)이다. 일행삼매(一行三昧)니라.

대사께서 또 말씀하셨다. “너희들이 만약 종지(種智)를 이루고자 할진댄 모름지기 일상삼매(一相三昧)와 일행삼매(一行三昧)를 알아야 할 것이다. 만약 일체처(一切處 : 온갖 곳)에서 상(相)에 주(住)하지 아니하여 저 상중(相中)에 증애(憎愛)를 내지 아니하며, 또 취사(取捨) 말며, 이익(利益)과 성(成)과 괴(壞) 등의 일을 염(念)치 아니하고 편안히 적정(寂靜)하며, 허(虛)히 녹아서 맑으면 이 이름이 일상삼매(一相三昧)이다. 만약 일체처(一切處)에서 행·주·좌·와(行住坐臥)에 직심(直心)이 순일(純一)하면, 도량(道場)을 움직이게 하지 아니하여 진실(眞實)로 정토(淨土)를 이룰 것이니, 이 이름이 일행삼매(一行三昧)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종지(種智):일체 종지(一切種智). 일체 만법(萬法)의 별상(別相)을 낱낱이 정밀하게 아는 지혜, 곧 부처님의 지혜를 이른다.
주002)
일우고져:이루고자. 일[成]+우(사동접미사)+고져(의도형 연결어미).
주003)
홀딘댄:할진댄. 할 것이면. -+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04)
모로매: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005)
일상삼매(一相三昧):진여(眞如)의 세계는 평등하여 한결같고 차별이 없는 한 모양이라고 관(觀)하는 삼매. 진여삼매(眞如三昧).
주006)
일행삼매(一行三昧):전 우주의 온갖 물·심(物心)의 현상은 평등하고, 한 모양인 것을 관(觀)하는 삼매. 일상장엄삼매(一相莊嚴三昧).
주007)
아로리니:알 것이니. 알아야 할 것이니. 알-[達]+오/우+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08)
일체처(一切處)에:일체(一切)의 처(處)에서. 온갖 곳에서.
주009)
상(相)애:모습에. ‘상(相)’은 외계(外界)에 나타나 마음의 상상(想像)이 되는 사물의 모양이나 모습.
주010)
주(住)티:주(住)하지. 머무르지. ‘주(住)’는 주상(住相), 곧 현상계의 생멸(生滅)ㆍ변화(變化)하는 모습인 생(生)·주(住)·이(離)·멸(滅) 중 만유(萬有)가 머물러 있는 상(相)을 말한다.
주011)
아니야:아니하여.
주012)
뎌:저. 뎌[彼](지시관형사).
주013)
상중(相中)에:모습 가운데에. 상(相)의 가운데에.
주014)
증애(憎愛):미워하고 사랑하는 마음을.
주015)
내디:내지. 내-[生]+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6)
아니며:아니하며.
주017)
취사(取捨):취하고 버림을.
주018)
말며:말며. 말-[無]+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9)
이익(利益)과:이익(利益)됨과.
주020)
성(成)과:이루어짐과.
주021)
괴(壞)와햇:괴(壞) 등의. 허물어짐 등의. ‘-와햇’은 ‘와(접속조사)+ㅎ(복수접미사)+애(처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접속조사 ‘와’가 통합되었다.
주022)
이:일을. 일[事]+(목적격조사).
주023)
염(念)티:생각하지. ‘-티’는 ‘-+디’의 축약형.
주024)
아니고:아니하고.
주025)
적정(寂靜):번뇌를 떠나 고(苦)를 멸(滅)한 해탈(解脫)·열반(涅槃)의 경지를 이르는 말이다.
주026)
허(虛)히:헛되이.
주027)
노가:녹아서. 녹-[融]+아(연결어미).
주028)
면:맑으면. -[澹泊]+면.
주029)
이:이[此](관형사).
주030)
일후미:이름이.
주031)
일상삼매(一相三昧)라:일상삼매(一相三昧)이다.
주032)
행주좌와(行住坐臥):사위의(四威儀), 곧 인간이 날마다 하는 동작인 다니는 것, 머무는 것, 앉는 것, 눕는 것 등을 이른다.
주033)
직심(直心):진여(眞如)를 바로 헤아려 생각하는 한결같은 곧은 마음을 이른다.
주034)
순일(純一)면:순일(純一)하면. ‘순일(純一)’은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 순수함을 이른다.
주035)
도량(道場):불도(佛道)를 닦는 곳.
주036)
뮈우디:움직이게 하지. 뮈-[動]+우(사동접미사)+디.
주037)
아니야:아니하여.
주038)
진실(眞實)로:진실(眞實)로. 참으로.
주039)
정토(淨土):부처가 사는 청정(淸淨)한 곳. 불계(佛界).
주040)
일우리니:이루리니. 이룰 것이니. 일-[成]+우(사동접미사)+리+니.
주041)
일행삼매(一行三昧)니라:일행삼매(一行三昧)이다. 일행삼매(一行三昧)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