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1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1


第二阿難尊者 第三商那和修尊者 第四優波(毱)多尊者 第五提多迦尊者 第六彌遮迦尊者 第七婆須密多尊者 第八佛馱難提尊者 第九伏馱蜜多尊者 第十(脅)尊者 十一富那夜奢尊者 十二馬嗚大士 十三迦毗摩羅尊者 十四龍樹大士 十五伽那提婆尊者 十六羅(睺)羅多尊者 十七僧伽難提尊者 十八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9ㄱ

伽耶舍多尊者 十九鳩摩羅多尊者 二十闍耶多尊者 二十一婆修盤頭尊者 二十二摩拏羅尊者 二十三鶴勒那尊者 二十四師子尊者 二十五婆舍斯多尊者 二十六不如蜜多尊者 二十七般若多羅尊者 二十八菩提達摩尊者此土是爲初祖 二十九慧可大師 三十僧璨大師 三十一道信大師 三十二弘忍大師 惠能은 是爲三十三祖ㅣ니 從上諸祖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9ㄴ

ㅣ 各有稟承니 汝等은 向後야 遞代流傳야 毋令乖悞라

第二 阿難尊者 주001)
아난존자(阿難尊者):
부처님의 사촌 동생이면서 십대(十代) 제자(弟子) 중 하나. 다문(多聞) 제일(第一).
와 第三 商那和修尊者 주002)
존자(尊者):
아리이(阿梨夷). 성자(聖者), 또는 현자(賢者). 존중받고 덕(德) 있는 이를 공경하는 칭호.
와 第四 優波毱多尊者와 第五 提多迦尊者와 第六 彌遮迦尊者와 第七 婆須密多尊者와 第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0ㄱ

八 佛馱難提尊者와 第九 伏馱蜜多尊者와 第十 脅尊者와 十一 富那夜奢尊者와 十二 馬鳴大士와 十三 迦毘摩羅尊者와 十四 龍樹大士와 十五 迦那提婆尊者와 十六 羅睺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0ㄴ

羅多尊者와 十七 僧伽難提尊者와 十八 伽耶舍多尊者와 十九 鳩摩羅多尊者와 二十 闍耶多尊者와 二十一 婆修盤頭尊者와 二十二 摩拏羅尊者와 二十三 鶴勒那尊者와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1ㄱ

二十四 師子尊者와 二十五 婆舍斯多尊者와 二十六 不如蜜多尊者와 二十七 般若多羅尊者와 二十八 菩提達磨尊者ㅣ 주003)
보리달마존자(菩提達磨尊者)ㅣ:
보리달마존자(菩提達磨尊者)께서. ‘ㅣ’는 주격조사. ‘보리달마존자’는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28조 중 제28대조.
주004)
이:
이. 이[此](지시관형사).
해 주005)
해:
땅에. ㅎ[土]+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6)
이:
이. 이[是](지시관형사).
初祖ㅣ 주007)
초조(初祖)ㅣ:
초조(初祖)가. ‘ㅣ’는 보격조사.
외시고 주008)
외시고:
되시고. 외-[爲]+시+고(대등적 연결어미).
二十九 慧可大師와 三十 僧璨大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1ㄴ

師와 三十一 道信大師와 三十二 弘忍大師ㅣ시니 주009)
홍인대사(弘忍大師)ㅣ시니:
홍인대사(弘忍大師)이시니. ‘-ㅣ시니’는 ‘ㅣ(서술격조사)+시(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홍인대사(弘忍大師 ; 602~675)’는 중국 선종(禪宗)의 제5조.
惠能은 이 三十三祖 외니 주010)
외니:
되니. 외-[爲]+니(연결어미).
우흿 주011)
우흿:
위의. 위로부터.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諸祖ㅣ 주012)
제조(諸祖)ㅣ:
모든 조사(祖師)가.
各各 바다 주013)
바다:
받아. 받-[稟]+아.
니미 주014)
니미:
이음이. 잇는 것이. -[承]+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잇니 주015)
잇니:
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너희 주016)
너희:
너희들은. 너희ㅎ[汝等]+(보조사).
後 주017)
후(後):
뒤를.
向야 주018)
향(向)야:
향(向)하여. 향(向)해.
代 주019)
대(代):
대(代)를.
라 주020)
라:
번갈아. -[遆]+아(연결어미).
流傳야 주021)
유전(流傳)야:
유전(流傳)하여. 흘러 전하여.
어긔여 주022)
어긔여:
어기어. 어기고. 어긔-[乖]+어.
외에 주023)
외에:
그르치게. 그르게. 외-[悞]+게/에(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주024)
말라:
말아라. 말라. 말-[毋]+라(‘라’체의 명령형어미).

제이(第二) 아난존자(阿難尊者)와 제삼(第三) 상나화수존자(商那和修尊者)와 제사(第四) 우바국다존자(優波毱多尊者)와 제오(第五) 제다가존자(提多迦尊者)와 제육(第六) 미차가존자(彌遮迦尊者)와 제칠(第七) 바수밀다존자(婆須密多尊者)와 제팔(第八) 불타난제존자(佛馱難提尊者)와 제구(第九) 복타밀다존자(伏馱蜜多尊者)와 제십(第十) 협존자(脅尊者)와 십일(十一) 부나야사존자(富那夜奢尊者)와 십이(十二) 마명대사(馬鳴大士)와 십삼(十三) 가비마라존자(迦毘摩羅尊者)와 십사(十四) 용수대사(龍樹大士)와 십오(十五) 가나제바존자(迦那提婆尊者)와 십육(十六) 라후라다존자(羅睺羅多尊者)와 십칠(十七) 승가난제존자(僧伽難提尊者)와 십팔(十八) 가야사다존자(伽耶舍多尊者)와 십구(十九) 구마라다존자(鳩摩羅多尊者)와 이십(二十) 사야다존자(闍夜多尊者)와 이십일(二十一) 바수반두존자(婆修盤頭尊者)와 이십이(二十二) 마나라존자(摩拏羅尊者)와 이십삼(二十三) 학륵나존자(鶴勒那尊者)와 이십사(二十四) 사자존자(師子尊者)와 이십오(二十五) 바사사다존자(婆舍斯多尊者)와 이십육(二十六) 불여밀다존자(不如蜜多尊者)와 이십칠(二十七) 반야다라존자(般若多羅尊者)와 이십팔(二十八) 보리달마존자(菩提達磨尊者)께서 이 땅에 이 초조(初祖)가 되시고, 이십구(二十九) 혜가대사(慧可大師)와 삼십(三十) 승찬대사(僧璨大師)와 삼십일(三十一) 도신대사(道信大師)와 삼십이(三十二) 홍인대사(弘忍大師)이시니, 혜능(惠能)은 이 삼십삼조(三十三祖)가 된다. 위의 제조(諸祖)가 각각 받아 이음이 있느니, 너희들은 뒤를 향하여 대(代)를 번갈아 유전(流傳)하여 어기거나 그르치지 말아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7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아난존자(阿難尊者):부처님의 사촌 동생이면서 십대(十代) 제자(弟子) 중 하나. 다문(多聞) 제일(第一).
주002)
존자(尊者):아리이(阿梨夷). 성자(聖者), 또는 현자(賢者). 존중받고 덕(德) 있는 이를 공경하는 칭호.
주003)
보리달마존자(菩提達磨尊者)ㅣ:보리달마존자(菩提達磨尊者)께서. ‘ㅣ’는 주격조사. ‘보리달마존자’는 중국 선종의 초조(初祖). 서천(西天) 28조 중 제28대조.
주004)
이:이. 이[此](지시관형사).
주005)
해:땅에. ㅎ[土]+애(처소부사격조사).
주006)
이:이. 이[是](지시관형사).
주007)
초조(初祖)ㅣ:초조(初祖)가. ‘ㅣ’는 보격조사.
주008)
외시고:되시고. 외-[爲]+시+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09)
홍인대사(弘忍大師)ㅣ시니:홍인대사(弘忍大師)이시니. ‘-ㅣ시니’는 ‘ㅣ(서술격조사)+시(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로 분석된다. ‘홍인대사(弘忍大師 ; 602~675)’는 중국 선종(禪宗)의 제5조.
주010)
외니:되니. 외-[爲]+니(연결어미).
주011)
우흿:위의. 위로부터. 우ㅎ[上]+의(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
주012)
제조(諸祖)ㅣ:모든 조사(祖師)가.
주013)
바다:받아. 받-[稟]+아.
주014)
니미:이음이. 잇는 것이. -[承]+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5)
잇니:있느니. 잇-[有]+(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16)
너희:너희들은. 너희ㅎ[汝等]+(보조사).
주017)
후(後):뒤를.
주018)
향(向)야:향(向)하여. 향(向)해.
주019)
대(代):대(代)를.
주020)
라:번갈아. -[遆]+아(연결어미).
주021)
유전(流傳)야:유전(流傳)하여. 흘러 전하여.
주022)
어긔여:어기어. 어기고. 어긔-[乖]+어.
주023)
외에:그르치게. 그르게. 외-[悞]+게/에(보조적 연결어미).
주024)
말라:말아라. 말라. 말-[毋]+라(‘라’체의 명령형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