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8 당조징초(唐朝徵詔)
  • 당조징초 3
메뉴닫기 메뉴열기

당조징초 3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4ㄴ

師云샤 道無明暗니 明暗은 是代謝之義라 明明無盡도 亦是有盡이니 相待立名니 故로 淨名經에 云샤 法無有比니 無相待故ㅣ라 시니라 簡이 曰호 明喩智慧고 暗喩煩惱니 修道之人이 倘不以智慧로 照破煩惱면 無始生死 憑何出離리고 師曰샤 煩惱ㅣ 卽是菩提라 無二無別니 若以智慧로 照破煩惱者 此是二乘見解라 羊鹿等機니라 上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5ㄱ

智大根은 悉不如是니라

師ㅣ 니샤 주001)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云]+샤+오/우.
주002)
도(道):
근본이 되는 뜻, 또는 깊이 깨달은 지경.
明暗 주003)
명암(明暗):
밝음과 어두움.
업스니 주004)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
明과 暗과 주005)
명(明)과 암(暗)과:
명(明)과 암(暗)은. 당시에는 접속조사가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06)
이:
이것이. 이[是]+∅(주격조사).
代謝 주007)
대사(代謝):
밝음이 오면 어둠이 없어지고 어둡다는 것은 밝음이 없는 것이니, 서로 번갈아 바뀌면서 대대(對待)가 되는 것을 이른다.
논 주008)
-논:
-하는.
디라 주009)
디라:
뜻이다. [義]+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며 주010)
며:
밝으며. -[明]+며(연결어미).
고미 주011)
고미:
밝음이. -[明]+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다옴 주012)
다옴:
다함. 다-[盡]+옴/움.
업솜도 주013)
업솜도:
없음도. 없는 것도. 없-[無]+옴/움+도(보조사).
 이 다옴 이쇼미니 주014)
이쇼미니:
있음이니. 이시-[有]+옴/움+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서르 주015)
서르:
서로. 서르[相](부사).
기드려 주016)
기드려:
기다려. 기드리-[待]+어.
일훔 주017)
일훔:
이름. 일훔[名](명사).
셰니 주018)
셰니:
세우니. 셔-[立]+ㅣ(사동접미사)+니(연결어미).
그럴 주019)
그럴:
그러므로. 그럴[故].
淨名經 주020)
정명경(淨名經):
‘유마힐경(維摩詰經)’을 이른다. ‘유마힐경(維摩詰經)’은 유마거사(維摩居士)와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대승(大乘)의 깊은 뜻에 대해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대승불교 초기의 경전이다.
에 니샤 주021)
법(法):
물(物)ㆍ심(心)ㆍ선(善)ㆍ악(惡)의 모든 사상(事象)을 이른다.
가뵤미 주022)
가뵤미:
비유함이. 견줌이. 가비-[比]+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업스니 주023)
업스니:
없으니.
서르 기드룜 주024)
기드룜:
기다림. 기드리-[待]+옴/움(명사형어미).
업슨 주025)
업슨:
없는.
젼라 주026)
젼라:
까닭이다. 젼-+ㅣ(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대체로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분포하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의 어간 뒤에 분포한다.
시니라 주027)
시니라:
하시니라. 하셨다.
簡이 닐오 주028)
닐오:
이르되. 말하되.
明은 智慧 주029)
지혜(智慧):
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5ㄴ

가비고 주030)
가비고:
비유(譬喩)하고.
暗은 煩惱 주031)
번뇌(煩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르는 말. 욕망, 노여움, 어리석음 등을 이른다.
가비니 주032)
가비니:
비유(譬喩)하니.
닷 주033)
닷:
닦는. 닦을. 닧-[修]+(관형사형어미).
사미 주034)
사미:
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다가 주035)
다가:
만약.
智慧로 煩惱 비취여 주036)
비취여:
비추어. 비취-[照]+어(연결어미).
허디 주037)
허디:
허물지. 헐지. 헐-[破]+디.
아니면 주038)
아니면:
아니하면.
無始 주039)
무시(無始):
시작이 없는 먼 옛날부터 내려온.
生死 주040)
생사(生死):
태어남과 죽음.
므스글 주041)
므스글:
무엇을. 므슥[何]+을(목적격조사).
브터 주042)
브터:
의지하여. 븥-[憑]+어.
주043)
나:
나와서. 나-[出]+아(연결어미).
여희리고 주044)
여희리고:
여의겠습니까. 벗어나겠습니까. 여희-[離]+리++ㅅ+고(연결어미). ‘-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어미.
師ㅣ 니샤 煩惱ㅣ 곧 이 菩提라 주045)
보리(菩提)라:
보리(菩提)이다. ‘보리(菩提)’는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 또는 깨달음을 얻어서 극락왕생(極樂往生)하는 일을 이른다.
주046)
둘:
둘이. 둘[二].
업스며 주047)
업스며:
없으며. 없-[無]+으며(연결어미).
달옴 주048)
달옴:
다름이. 다-[別]+옴/움(명사형어미). 활용할 때 어간이 변하는 ‘’ 불규칙 용언이다. 이른바 ‘ㄹㅇ’형이다.
업스니 주049)
업스니:
없으니.
다가 智慧로 煩惱 비취여 허니 주050)
허니:
허무는 것은. 헐-[破]+(원칙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이 주051)
이:
이것은.
二乘 주052)
이승(二乘):
두 종의 교법을 이른다. 예를 들면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 성문승(聲聞乘)과 보살승(菩薩乘),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을 각각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見解 주053)
견해(見解):
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이른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36ㄱ

鹿
주054)
양록(羊鹿):
양거(羊車)와 녹거(鹿車). ‘삼거(三車)’ 중 ‘우거(牛車)’를 제외한 두 가지. ‘삼거(三車)’인 양거(羊車), 녹거(鹿車), 우거(牛車)는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을 비유한 것이다.
햇 주055)
양록(羊鹿)햇:
양(羊)과 사슴[鹿]들의. ‘-햇’은 ‘ㅎ+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機니라 주056)
기(機)니라:
근기(根機)니라. 근기(根機)이다. ‘근기(根機)’는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능력, 곧 교법을 받는 중생의 성능을 이른다.
上智 주057)
상지(上智):
보통 사람보다 뛰어난 슬기나 그러한 높은 슬기를 가진 사람을 이른다.
大根 주058)
대근(大根):
큰 근기(根機).
은 다 주059)
이:
이와. 이[是]+∅(비교부사격조사).
디 주060)
디:
같지. -[如]+디.
아니니라 주061)
아니니라:
아니하니라. 아니하다.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도(道)에는 명암(明暗)이 없으니, 명(明)과 암(暗)은 이것이 대사(代謝 : 밝음이 오면 어둠이 없어지고 어둡다는 것은 밝음이 없는 것이니 서로 번갈아 바뀌면서 대대(對待)가 되는 것)하는 뜻이다. 밝으며 밝음이 다함이 없는 것도 또한 이것이 다함이 있음이니, 서로 기다려서 이름을 세우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명경(淨名經)에서 이르셨다. ‘법(法)은 견줌이 없으니 서로 기다림이 없는 까닭이다.’라고 하셨다.” 설간(薛簡)이 말했다. “명(明)은 지혜(智慧)를 비유하고, 암(暗)은 번뇌(煩惱)를 비유하니, 도(道)를 닦는 사람이 만약 지혜로 번뇌를 비추어 허물지 아니하면 무시(無始 : 시작이 없는 먼 옛날부터 내려온) 생사(生死)〈의 굴레〉를 무엇을 의지하여 나와서 벗어나겠습니까?”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번뇌는 곧 이것이 보리(菩提)여서 둘이 없으며 다름이 없느니라. 만약 지혜로 번뇌를 비추어 허무는 이는, 이것은 이승(二乘)의 견해(見解)여서 양거(羊車)・녹거(鹿車)들의 근기(根機)니라. 상지(上智)・대근(大根)은 다 이와 같지 아니하니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云]+샤+오/우.
주002)
도(道):근본이 되는 뜻, 또는 깊이 깨달은 지경.
주003)
명암(明暗):밝음과 어두움.
주004)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
주005)
명(明)과 암(暗)과:명(明)과 암(暗)은. 당시에는 접속조사가 마지막 체언의 다음까지 오고 그 뒤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통합되었다.
주006)
이:이것이. 이[是]+∅(주격조사).
주007)
대사(代謝):밝음이 오면 어둠이 없어지고 어둡다는 것은 밝음이 없는 것이니, 서로 번갈아 바뀌면서 대대(對待)가 되는 것을 이른다.
주008)
-논:-하는.
주009)
디라:뜻이다. [義]+이(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주010)
며:밝으며. -[明]+며(연결어미).
주011)
고미:밝음이. -[明]+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2)
다옴:다함. 다-[盡]+옴/움.
주013)
업솜도:없음도. 없는 것도. 없-[無]+옴/움+도(보조사).
주014)
이쇼미니:있음이니. 이시-[有]+옴/움+이(서술격조사)+니(연결어미).
주015)
서르:서로. 서르[相](부사).
주016)
기드려:기다려. 기드리-[待]+어.
주017)
일훔:이름. 일훔[名](명사).
주018)
셰니:세우니. 셔-[立]+ㅣ(사동접미사)+니(연결어미).
주019)
그럴:그러므로. 그럴[故].
주020)
정명경(淨名經):‘유마힐경(維摩詰經)’을 이른다. ‘유마힐경(維摩詰經)’은 유마거사(維摩居士)와 문수보살(文殊菩薩)이 대승(大乘)의 깊은 뜻에 대해 문답한 내용을 기록한 대승불교 초기의 경전이다.
주021)
법(法):물(物)ㆍ심(心)ㆍ선(善)ㆍ악(惡)의 모든 사상(事象)을 이른다.
주022)
가뵤미:비유함이. 견줌이. 가비-[比]+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23)
업스니:없으니.
주024)
기드룜:기다림. 기드리-[待]+옴/움(명사형어미).
주025)
업슨:없는.
주026)
젼라:까닭이다. 젼-+ㅣ(서술격조사)+라(종결어미). 종결어미 ‘-다’와 ‘-라’의 대립은 상보적이다. 대체로 ‘-라’는 ‘-오/우-, -니-, -리-, -더-, -지-’ 등의 선어말어미와 서술격조사 뒤에 분포하고, ‘-다’는 ‘--, -거-, -시-, --, -도-, -ㅅ-, --’ 등의 선어말어미와 용언의 어간 뒤에 분포한다.
주027)
시니라:하시니라. 하셨다.
주028)
닐오:이르되. 말하되.
주029)
지혜(智慧):미혹(迷惑)을 끊고 부처의 진정한 깨달음을 얻는 힘을 이른다.
주030)
가비고:비유(譬喩)하고.
주031)
번뇌(煩惱):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모든 망념(妄念)을 이르는 말. 욕망, 노여움, 어리석음 등을 이른다.
주032)
가비니:비유(譬喩)하니.
주033)
닷:닦는. 닦을. 닧-[修]+(관형사형어미).
주034)
사미:사람이. 사[人]+이(주격조사).
주035)
다가:만약.
주036)
비취여:비추어. 비취-[照]+어(연결어미).
주037)
허디:허물지. 헐지. 헐-[破]+디.
주038)
아니면:아니하면.
주039)
무시(無始):시작이 없는 먼 옛날부터 내려온.
주040)
생사(生死):태어남과 죽음.
주041)
므스글:무엇을. 므슥[何]+을(목적격조사).
주042)
브터:의지하여. 븥-[憑]+어.
주043)
나:나와서. 나-[出]+아(연결어미).
주044)
여희리고:여의겠습니까. 벗어나겠습니까. 여희-[離]+리++ㅅ+고(연결어미). ‘-고’는 ‘쇼셔’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45)
보리(菩提)라:보리(菩提)이다. ‘보리(菩提)’는 세속적인 번뇌를 끊고 얻는 깨달음의 경지, 또는 깨달음을 얻어서 극락왕생(極樂往生)하는 일을 이른다.
주046)
둘:둘이. 둘[二].
주047)
업스며:없으며. 없-[無]+으며(연결어미).
주048)
달옴:다름이. 다-[別]+옴/움(명사형어미). 활용할 때 어간이 변하는 ‘’ 불규칙 용언이다. 이른바 ‘ㄹㅇ’형이다.
주049)
업스니:없으니.
주050)
허니:허무는 것은. 헐-[破]+(원칙법 선어말어미)+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보조사).
주051)
이:이것은.
주052)
이승(二乘):두 종의 교법을 이른다. 예를 들면 성문승(聲聞乘)과 연각승(緣覺乘), 성문승(聲聞乘)과 보살승(菩薩乘), 대승(大乘)과 소승(小乘)을 각각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주053)
견해(見解):어떤 사물이나 현상에 대한 의견과 생각을 이른다.
주054)
양록(羊鹿):양거(羊車)와 녹거(鹿車). ‘삼거(三車)’ 중 ‘우거(牛車)’를 제외한 두 가지. ‘삼거(三車)’인 양거(羊車), 녹거(鹿車), 우거(牛車)는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을 비유한 것이다.
주055)
양록(羊鹿)햇:양(羊)과 사슴[鹿]들의. ‘-햇’은 ‘ㅎ+애(처소부사격조사)+ㅅ(관형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56)
기(機)니라:근기(根機)니라. 근기(根機)이다. ‘근기(根機)’는 교법을 듣고 닦아 증(證)하여 얻는 능력, 곧 교법을 받는 중생의 성능을 이른다.
주057)
상지(上智):보통 사람보다 뛰어난 슬기나 그러한 높은 슬기를 가진 사람을 이른다.
주058)
대근(大根):큰 근기(根機).
주059)
이:이와. 이[是]+∅(비교부사격조사).
주060)
디:같지. -[如]+디.
주061)
아니니라:아니하니라. 아니하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