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2ㄴ

師於太極元年壬子七月에[〇玄宗이 八月에 卽位샤 號 改先天元年이라시고 次年에 遂改爲開元이라시니 先天은 卽無二年이어 他本애 作先天二年者ㅣ非니라] 命門人샤 往新州國恩寺야 建塔라시고 仍命促工시고 次年夏末애 落成시니라 七月一日에 集徒衆曰샤 吾至八月면 欲離世間노니 汝等이 有疑어든 早須相問라 爲汝야 破疑야 令汝로 迷盡케 호리라 吾若去後ㅣ면 無人이 敎汝ㅣ리라 法海等이 聞고 悉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3ㄱ

皆涕泣거 惟有神會ㅣ 不動情며 亦無涕泣대 師曰샤 神會小師 却得善不善等과 毁譽不動과 哀樂不生고 餘者 不得이로다 數年을 在山야 竟修何道오 汝今悲泣니 爲憂阿誰오 若憂吾不知去處댄 吾自知去處ㅣ오 吾若不知去處댄 終不預報於汝ㅣ어니 汝等悲泣은 蓋爲不知吾去處ㅣ니 若知吾去處댄 卽不合悲泣니라 法性은 本無生滅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3ㄴ

去來니 汝等이 盡坐라 吾ㅣ與汝等으로 一偈호리니 名曰眞假動靜偈니 汝等이 誦取此偈면 與吾意同리니 依此修行면 不失宗旨리라 衆僧이 作禮고 請師說偈대 偈曰샤

師ㅣ 주001)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太極 주002)
태극(太極):
당(唐)나라 예종(睿宗)의 연호(年號).
元年 壬子 주003)
태극(太極) 원년(元年) 壬子(임자):
서기 712년.
七月에玄宗 주004)
현종(玄宗):
당(唐)나라 제6대 임금.
이 八月에 卽位샤 주005)
즉위(卽位)샤:
즉위(卽位)하시어.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號 주006)
호(號):
연호(年號)를. ‘연호(年號)’는 임금의 재위연대(在位年代)에 붙이는 칭호.
고텨 주007)
고텨:
고쳐. 고티-[改]+어(연결어미).
先天 주008)
선천(先天):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연호(年號). 서기 712년.
元年이라 주009)
원년(元年)이라:
원년(元年)이라. 원년(元年)이라고. ‘-이라’는 ‘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0)
선천(先天) 원년(元年):
서기 712년.
시고 주011)
시고:
하시고.
버근 주012)
버근:
다음의. 벅-[次]+은(관형사형어미).
예 주013)
예:
해에. [年]+예(처소부사격조사).
 고텨 開元 주014)
개원(開元):
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연호(年號). 서기 713~741년.
이라 시니 先天은 곧 二年이 업거 주015)
업거:
없거늘. 없으므로. 없-[無]+거(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다 주016)
다:
다른. 다-[他]+ㄴ(관형사형어마).
本애 주017)
본(本)에:
본(本)에. 책(冊)에.
先天 二年이라 호미 주018)
호미:
함이. 함은. 하는 것은. -+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외니라 주019)
외니라:
그르다. 틀리다. 외-[非]+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4ㄱ

人을
주020)
문인(門人)을:
문인(門人)을. 문인(門人)에게. ‘문인(門人)’은 문하(門下)에서 가르침을 받는 제자를 이른다.
命샤 주021)
명(命)샤:
명(命)하시어. 명령(命令)하시어.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新州 國恩寺애 주022)
가:
가서. 가-[往]+아(연결어미).
주023)
탑(塔):
부처의 유골이나 유품 등을 안치하고 공양ㆍ기념하기 위하여 좁고 높게 세운 사찰의 부속 건축물.
셰라 주024)
셰라:
세우라. 셔[建]+ㅣ(사동접미사)+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시고 仍야 주025)
잉(仍)야:
거듭해서. 인(因)하여.
工役 주026)
공역(工役):
토목이나 건축 등에 관한 일.
뵈아라 주027)
뵈아라:
재촉하라. 뵈아-[促]+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命시고 주028)
명(命)시고:
명(命)하시고. 명령(命令)하시고. ‘-시고’는 ‘-+시+고(대등적 연결어미).
버근 주029)
:
해의. [年]+ㅅ(관형격조사).
夏末애 주030)
하말(夏末)애:
늦은 여름에.
落成시니라 주031)
낙성(落成)시니라:
낙성(落成)하셨다. 낙성(落成)하시니라. ‘-니라’는 ‘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낙성(落成)’은 건축물의 공사가 다 이뤄진 것을 이른다.
七月 一日에 徒衆 주032)
도중(徒衆):
문도(門徒) 대중(大衆)을 이르는 말이다.
모도아 주033)
모도아:
모아. 모도-[集]+아.
니샤 주034)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어미).
주035)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八月에 니를면 주036)
니를면:
이르면. 니를-[至]+면.
世間 주037)
세간(世間):
중생(衆生)이 서로 의탁하며 살아가는 이 세상.
여희오져 주038)
여희오져:
여의고자. 뜨고자. 여희-[離]+고져/오져[欲](의도형 연결어미). ‘-오져’는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표기.
노니 주039)
노니:
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너희히 주040)
너희히:
너희들이.
疑心 주041)
의심(疑心):
의심(疑心)이.
잇거든 주042)
잇거든:
있거든. 있으면. 잇-[有]+거든(조건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리 주043)
리:
빨리. -[早]+이(부사파생접미사).
모로매 주044)
모로매:
반드시.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시르 주045)
시[*서]르:
서로. 서르[相](부사).
무르라 주046)
무르라:
물으라. 묻-[問]+으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너희 주047)
너희:
너희를. 너희[汝等](대명사).
爲야 주048)
위(爲)야:
위(爲)하여.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4ㄴ

疑心 허러 주049)
허러:
헐어. 허물어. 무너뜨려. 헐-[破]+어.
널로 주050)
널로:
너희로. 너로. 너[汝]+‘ㄹ’ 첨가+로(부사격조사).
迷惑 주051)
미혹(迷惑):
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린 것 같거나, 정신이 헷갈려 갈팡질팡 헤맴을 이르는 말.
다게 주052)
다게:
다하게. 다-[盡]+게(연결어미).
호리라 주053)
호리라:
하리라. 할 것이다. -+오/우+리+라.
주054)
내:
내가.
다가 간 後ㅣ면 주055)
후(後)ㅣ면:
후(後)이면. 뒤면.
사미 주056)
사미:
(다른) 사람이.
너희 주057)
너희:
너희를.
치리 주058)
치리:
가르칠 사람이. 가르칠 이가. 치-[敎]+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업스리라 주059)
업스리라:
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無]+으리+라.
法海히 주060)
법해(法海)히:
법해(法海) 등이. ‘-히’는 ‘ㅎ[等]+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법해(法海)는 혜능(惠能)의 법맥(法脈)을 이은 제자.
듣고 주061)
듣고:
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62)
다:
모두. 다. 다[悉皆](부사).
울어 주063)
울어:
울거늘. 우는데. 울-[涕泣]+거/어(설명의 연결어미).
오직 神會ㅣ 주064)
신회(神會)ㅣ:
신회(神會)가. ‘ㅣ’는 주격조사.
神情을 주065)
신정(神情)을:
뜻을.
뮈우디 주066)
뮈우디:
움직이지. 움직이게 하지. 뮈-[動]+우(사동접미사)+디(연결어미).
아니며 주067)
아니며:
아니하며.
우디 주068)
우디:
울지. 울-[涕泣]+디(연결어미).
아니대 주069)
아니대:
아니한즉. 아니하니. 아니-[無]+ㄴ대(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師ㅣ 니샤 神會 주070)
신회(神會):
하택신회(荷澤神會 ; 685~760 A.D). 선사(禪師). 육조(六祖)의 법을 받고, 육조가 입멸한 뒤 북종(北宗)의 점문(漸門)이 성행하자 장안(長安)에 들어가 돈문(頓門)의 뜻을 크게 떨쳤다.
小師 주071)
소사(小師):
소사(小師)는. ‘소사(小師)’는 어린 사미(沙彌)를 이른다.
善과 주072)
선(善)과:
좋음과.
不善콰 주073)
불선(不善)콰:
궂음과. ‘-콰’는 ‘ㅎ[等]+과(접속조사)’로 분석된다.
헐며 주074)
헐며:
헐뜯으며. 헐-[毁]+며(연결어미).
기료매 주075)
기료매:
기림에. 칭찬함에. 기리-[譽]+옴/움(명사형어미)+애(부시격조사).
뮈디 주076)
뮈디:
움직이지. 뮈-[動]+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홈과 주077)
아니홈과:
아니함과. 아니-[不]+과(접속조사).
哀樂 주078)
애락(哀樂):
애락(哀樂)을. 슬픔이나 즐거움을.
내디 주079)
내디:
내지. 내-[生]+디.
아니호 주080)
아니호:
아니함을. 않음을.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5ㄱ

고
주081)
득(得)고:
얻고. 얻었고.
년근 주082)
년근:
남은. 다른 사람은. [餘]+은(보조사).
得디 주083)
득(得)디:
얻지. ‘득디’는 ‘득(得)-+디’에서 ‘--’가 탈락된 형태임.
몯도다 주084)
몯도다:
못하였구나. 몯-[不]+도다(감탄형 종결어미).
두 주085)
두:
두어. 두[數](수관형사).
 주086)
:
해를. [年]+(목적격조사).
山 주087)
산(山):
산(山)에. ‘산(山)’은 처소부사격으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이셔 주088)
이셔:
있어서. 있었으면서. 이시-[在]+어.
매 주089)
매:
마침내. 매[竟](부사).
므슴 주090)
므슴:
무슨. 므슴[何](부사).
道 주091)
도(道):
도(道)를.
닷던고 주092)
닷던고:
닦았던가. -[修]+더(회상법 선어말어미)+ㄴ(동명사어미)+고(의문보조사). ‘-ㄴ고’는 ‘라’체의 간접 설명의문형어미.
주093)
네:
네가. 너희가. ‘:네’는 주어이므로 상성이다.
이제 슬허 주094)
슬허:
슬퍼하여. 슳-[悲]+어.
우니 주095)
우니:
우느니. 울-[泣]+(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누 주096)
누:
누구를. 누[誰]+(목적격조사).
爲야 시름뇨 주097)
시름뇨:
시름하느냐. 시름-[憂]+(직설법 선어말어미)+뇨(‘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다가 주098)
내:
내가. 나[吾]+ㅣ(관형격조사). ‘내[吾]’는 평성. 관형절의 주어이므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 표지가 왔다.
가 주099)
가:
가는. 가-[去]+(관형사형어미).
고 주100)
고:
곳을. 곧[處]+(목적격조사).
아디 주101)
아디:
알지. 알-[知]+디.
몯호 주102)
몯호:
못함을. 못하는 것을. 몯-[不]+옴/움+.
시름홀딘댄 주103)
시름홀딘댄:
시름할진대. 시름한다면. 시름-[憂]+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보이는 연결어미).
내 가  주104)
:
데를. 곳을. [處]+(목적격조사).
주105)
내:
내가. 나[自]+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알오 주106)
알오:
알고. 알-[知]+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내 다가 가  아디 주107)
아디:
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몯린댄 주108)
몯린댄:
못할진대. 못한다면. 몯-[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매 주109)
매:
마침내. 끝내. 매[終](부사).
네게 주110)
네게:
너희에게. 네[汝]+게(여격조사).
미리 주111)
미리:
미리. 미리[預](부사).
알외요 주112)
알외요:
알림을. 알리기를. 알외-[報]+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아니려니 주113)
아니려니:
아니하려니. 아니하였을 것이니. 아니-[不]+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너희 주114)
너희:
너희들이. 너희[汝等].
슬허 주115)
슬허:
슬퍼하여. 슳-[悲]+어.
우루 주116)
우루:
우는 것은. 울-[泣]+옴/움+(보조사).
내 가 고 아디 몯호 爲니 주117)
위(爲)니:
위(爲)하니.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5ㄴ

다가 내 가 고 아롤딘댄 주118)
아롤딘댄:
알진대. 안다면. 알-[知]+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곧 슬허 우루미 주119)
우루미:
우는 것은. 울-[泣]+옴/움+이(주격조사).
맛디 주120)
맛디:
맞지. 맞-[合]+디.
몯니라 주121)
몯니라:
못하다. 못하니라.
法性 주122)
법성(法性):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本體).
은 本來 生滅 주123)
생멸(生滅):
우주 만물의 생겨남과 없어짐.
去來 주124)
거래(去來):
오고 감.
업스니 주125)
업스니:
없으니. 없-[無]+으니.
너희히 주126)
너희히:
너희들은.
안라 주127)
안라:
앉아라. 앉-[坐]+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너희로 주128)
너희로:
너희들에게. 너희ㅎ[汝等]+로(부사격조사).
주129)
:
한. [一](수관형사).
주130)
게(偈):
게송(偈頌). 불교적 가르침을 운문(韻文) 형식으로 표현한 것. 곧 글자의 수를 정하여 사구(四句)로 맺는 글.
주리니 주131)
주리니:
주리니. 줄 것이니. 주-[與]+리+니.
일후미 주132)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닐오 주133)
닐오:
이르되. 말하면. 니-[曰]+오/우.
眞假動靜偈 주134)
진가동정게(眞假動靜偈):
참됨과 거짓, 움직임과 고요함의 뜻을 보인 노래.
너희히 주135)
너희히:
너희들이.
주136)
이:
이. 이[此](관형사).
偈 주137)
게(偈):
게송(偈頌)을.
외오면 주138)
외오면:
외우면. 외오-[誦]+면.
주139)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과 주140)
과:
뜻과. [意]+과(비교 부사격조사).
리니 주141)
리니:
같으리니. 같을 것이니. -[同]+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이 주142)
이:
이를. 이 게송(偈頌)을. 이[此]+(목적격조사).
브터 주143)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
修行면 주144)
수행(修行)면:
수행(修行)하면. ‘수행(修行)’은 불도(佛道)를 닦는 것이다.
宗旨 주145)
종지(宗旨):
한 종교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
일티 주146)
일티:
잃지. 잃-[失]+디.
아니리라 주147)
아니리라:
아니하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라.
주148)
한:
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이 주149)
이:
승려가. 대중(大衆)이. [僧]+이(주격조사).
禮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56ㄱ

고
주150)
예수(禮數)고:
절하고.
師ㅣ 주151)
사(師)ㅣ:
조사(祖師)께서.
니쇼셔 주152)
니쇼셔:
이르십시오. 말씀하십시오. 니-[說]+쇼셔(‘쇼셔’체 명령형 종결어미).
請대 주153)
청(請)대:
청(請)하니. 청(請)한즉.
偈 니샤 주154)
니샤:
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조사께서 태극(太極) 원년(元年) 임자(壬子) 칠월에【현종(玄宗)이 팔월에 즉위(卽位)하여 연호(年號)를 고쳐 선천(先天) 원년(元年)이라 하시고, 다음 해에 또 고쳐 개원(開元)이라 하셨다. 선천(先天)은 곧 이년(二年)이 없으므로 다른 본(本)에 선천(先天) 이년(二年)이라고 함은 틀리다.】 문인(門人)에게 명(命)하여 신주(新州)의 국은사(國恩寺)에 가서 탑(塔)을 세우라 하시고, 거듭 공역(工役)을 재촉하라 명(命)하시어 이듬해 늦은 여름[夏末]에 낙성(落成)하셨다. 칠월 일일에 문도대중(門徒大衆)을 모아 말씀하셨다. “내가 팔월에 이르면 세간(世間)을 뜨고자 하니 너희들이 의심(疑心)이 있거든 빨리 반드시 서로 물으라. 너희를 위(爲)하여 의심(疑心)을 허물어 너희로 〈하여금〉 미혹(迷惑)을 다하게 할 것이다. 내가 만약 간 후(後)이면 너희 가르칠 사람이 없을 것이다.” 법해(法海) 등이 듣고 다 우는데, 오직 신회(神會)가 뜻[神情]을 움직이지 아니하며, 또 울지도 아니하니,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신회(神會) 소사(小師)는 선(善)과 불선(不善)과, 헐뜯으며 기림에 움직이지 아니함과, 애락(哀樂) 내지 아니함을 얻었고, 다른 사람은 얻지 못하였구나. 두어 해를 산에 있었으면서 마침내 무슨 도(道)를 닦았던가? 너희가 이제 슬퍼하여 우느니 누구를 위하여 시름하느냐? 만약 내가 가는 곳을 알지 못함을 시름한다면, 내가 가는 데를 내가 안다. 내가 만약 가는 곳을 알지 못한다면 끝내 너희에게 미리 알림을(알리지를) 아니했을 것이다. 너희들이 슬퍼하여 우는 것은 내가 가는 곳을 알지 못함을 위하니(못하기 때문이니), 만약 내가 가는 곳을 안다면, 곧 슬퍼하여 우는 것은 맞지 않다. 법성(法性)은 본래(本來) 생멸(生滅)과 오고 감[去來]이 없다. 너희들은 다 앉아라. 내가 너희들에게 한 게송(偈頌)을 줄 것이다. 이름이 말하자면 ‘진가동정게(眞假動靜偈 : 참됨과 거짓, 움직임과 고요함의 뜻을 보인 노래)’이다. 너희들이 이 게(偈)를 외우면 나의 뜻과 같을 것이니, 이를 의지하여 수행(修行)하면 종지(宗旨)를 잃지 아니할 것이다.” 많은 대중(大衆)이 예수(禮數)하고, “조사께서 게(偈)를 말씀하십시오.”라고 청(請)한즉, 게를 이르셨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8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사(師)ㅣ:조사(祖師)께서. ‘ㅣ’는 주격조사.
주002)
태극(太極):당(唐)나라 예종(睿宗)의 연호(年號).
주003)
태극(太極) 원년(元年) 壬子(임자):서기 712년.
주004)
현종(玄宗):당(唐)나라 제6대 임금.
주005)
즉위(卽位)샤:즉위(卽位)하시어.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주006)
호(號):연호(年號)를. ‘연호(年號)’는 임금의 재위연대(在位年代)에 붙이는 칭호.
주007)
고텨:고쳐. 고티-[改]+어(연결어미).
주008)
선천(先天):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연호(年號). 서기 712년.
주009)
원년(元年)이라:원년(元年)이라. 원년(元年)이라고. ‘-이라’는 ‘이(서술격조사)+라(연결어미)’로 분석된다.
주010)
선천(先天) 원년(元年):서기 712년.
주011)
시고:하시고.
주012)
버근:다음의. 벅-[次]+은(관형사형어미).
주013)
예:해에. [年]+예(처소부사격조사).
주014)
개원(開元):당(唐)나라 현종(玄宗)의 연호(年號). 서기 713~741년.
주015)
업거:없거늘. 없으므로. 없-[無]+거(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16)
다:다른. 다-[他]+ㄴ(관형사형어마).
주017)
본(本)에:본(本)에. 책(冊)에.
주018)
호미:함이. 함은. 하는 것은. -+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19)
외니라:그르다. 틀리다. 외-[非]+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0)
문인(門人)을:문인(門人)을. 문인(門人)에게. ‘문인(門人)’은 문하(門下)에서 가르침을 받는 제자를 이른다.
주021)
명(命)샤:명(命)하시어. 명령(命令)하시어. ‘-샤’는 ‘-+샤+아’로 분석된다.
주022)
가:가서. 가-[往]+아(연결어미).
주023)
탑(塔):부처의 유골이나 유품 등을 안치하고 공양ㆍ기념하기 위하여 좁고 높게 세운 사찰의 부속 건축물.
주024)
셰라:세우라. 셔[建]+ㅣ(사동접미사)+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25)
잉(仍)야:거듭해서. 인(因)하여.
주026)
공역(工役):토목이나 건축 등에 관한 일.
주027)
뵈아라:재촉하라. 뵈아-[促]+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28)
명(命)시고:명(命)하시고. 명령(命令)하시고. ‘-시고’는 ‘-+시+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29)
:해의. [年]+ㅅ(관형격조사).
주030)
하말(夏末)애:늦은 여름에.
주031)
낙성(落成)시니라:낙성(落成)하셨다. 낙성(落成)하시니라. ‘-니라’는 ‘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낙성(落成)’은 건축물의 공사가 다 이뤄진 것을 이른다.
주032)
도중(徒衆):문도(門徒) 대중(大衆)을 이르는 말이다.
주033)
모도아:모아. 모도-[集]+아.
주034)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주체존대 선어말어미)+오/우(설명형어미).
주035)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주036)
니를면:이르면. 니를-[至]+면.
주037)
세간(世間):중생(衆生)이 서로 의탁하며 살아가는 이 세상.
주038)
여희오져:여의고자. 뜨고자. 여희-[離]+고져/오져[欲](의도형 연결어미). ‘-오져’는 음절부음 [j] 뒤에서 /ㄱ/ 약화 표기.
주039)
노니:하느니. -+(직설법 선어말어미)+오/우(1인칭 주어에 호응하는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40)
너희히:너희들이.
주041)
의심(疑心):의심(疑心)이.
주042)
잇거든:있거든. 있으면. 잇-[有]+거든(조건이나 이유를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43)
리:빨리. -[早]+이(부사파생접미사).
주044)
모로매:반드시. 모름지기. 모로매[須](부사).
주045)
시[*서]르:서로. 서르[相](부사).
주046)
무르라:물으라. 묻-[問]+으라(‘라’체의 명령형종결어미).
주047)
너희:너희를. 너희[汝等](대명사).
주048)
위(爲)야:위(爲)하여.
주049)
허러:헐어. 허물어. 무너뜨려. 헐-[破]+어.
주050)
널로:너희로. 너로. 너[汝]+‘ㄹ’ 첨가+로(부사격조사).
주051)
미혹(迷惑):마음이 흐려서 무엇에 홀린 것 같거나, 정신이 헷갈려 갈팡질팡 헤맴을 이르는 말.
주052)
다게:다하게. 다-[盡]+게(연결어미).
주053)
호리라:하리라. 할 것이다. -+오/우+리+라.
주054)
내:내가.
주055)
후(後)ㅣ면:후(後)이면. 뒤면.
주056)
사미:(다른) 사람이.
주057)
너희:너희를.
주058)
치리:가르칠 사람이. 가르칠 이가. 치-[敎]+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주격조사).
주059)
업스리라: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無]+으리+라.
주060)
법해(法海)히:법해(法海) 등이. ‘-히’는 ‘ㅎ[等]+이(주격조사)’로 분석된다. ‘법해(法海)는 혜능(惠能)의 법맥(法脈)을 이은 제자.
주061)
듣고:듣고. 듣-[聞]+(겸양법 선어말어미)+고(연결어미).
주062)
다:모두. 다. 다[悉皆](부사).
주063)
울어:울거늘. 우는데. 울-[涕泣]+거/어(설명의 연결어미).
주064)
신회(神會)ㅣ:신회(神會)가. ‘ㅣ’는 주격조사.
주065)
신정(神情)을:뜻을.
주066)
뮈우디:움직이지. 움직이게 하지. 뮈-[動]+우(사동접미사)+디(연결어미).
주067)
아니며:아니하며.
주068)
우디:울지. 울-[涕泣]+디(연결어미).
주069)
아니대:아니한즉. 아니하니. 아니-[無]+ㄴ대(이유나 원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070)
신회(神會):하택신회(荷澤神會 ; 685~760 A.D). 선사(禪師). 육조(六祖)의 법을 받고, 육조가 입멸한 뒤 북종(北宗)의 점문(漸門)이 성행하자 장안(長安)에 들어가 돈문(頓門)의 뜻을 크게 떨쳤다.
주071)
소사(小師):소사(小師)는. ‘소사(小師)’는 어린 사미(沙彌)를 이른다.
주072)
선(善)과:좋음과.
주073)
불선(不善)콰:궂음과. ‘-콰’는 ‘ㅎ[等]+과(접속조사)’로 분석된다.
주074)
헐며:헐뜯으며. 헐-[毁]+며(연결어미).
주075)
기료매:기림에. 칭찬함에. 기리-[譽]+옴/움(명사형어미)+애(부시격조사).
주076)
뮈디:움직이지. 뮈-[動]+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7)
아니홈과:아니함과. 아니-[不]+과(접속조사).
주078)
애락(哀樂):애락(哀樂)을. 슬픔이나 즐거움을.
주079)
내디:내지. 내-[生]+디.
주080)
아니호:아니함을. 않음을.
주081)
득(得)고:얻고. 얻었고.
주082)
년근:남은. 다른 사람은. [餘]+은(보조사).
주083)
득(得)디:얻지. ‘득디’는 ‘득(得)-+디’에서 ‘--’가 탈락된 형태임.
주084)
몯도다:못하였구나. 몯-[不]+도다(감탄형 종결어미).
주085)
두:두어. 두[數](수관형사).
주086)
:해를. [年]+(목적격조사).
주087)
산(山):산(山)에. ‘산(山)’은 처소부사격으로 ‘’를 취하는 이른바 ‘특이처격어’이다.
주088)
이셔:있어서. 있었으면서. 이시-[在]+어.
주089)
매:마침내. 매[竟](부사).
주090)
므슴:무슨. 므슴[何](부사).
주091)
도(道):도(道)를.
주092)
닷던고:닦았던가. -[修]+더(회상법 선어말어미)+ㄴ(동명사어미)+고(의문보조사). ‘-ㄴ고’는 ‘라’체의 간접 설명의문형어미.
주093)
네:네가. 너희가. ‘:네’는 주어이므로 상성이다.
주094)
슬허:슬퍼하여. 슳-[悲]+어.
주095)
우니:우느니. 울-[泣]+(직설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096)
누:누구를. 누[誰]+(목적격조사).
주097)
시름뇨:시름하느냐. 시름-[憂]+(직설법 선어말어미)+뇨(‘라’체의 설명의문형어미).
주098)
내:내가. 나[吾]+ㅣ(관형격조사). ‘내[吾]’는 평성. 관형절의 주어이므로 주격의 자리에 관형격 표지가 왔다.
주099)
가:가는. 가-[去]+(관형사형어미).
주100)
고:곳을. 곧[處]+(목적격조사).
주101)
아디:알지. 알-[知]+디.
주102)
몯호:못함을. 못하는 것을. 몯-[不]+옴/움+.
주103)
시름홀딘댄:시름할진대. 시름한다면. 시름-[憂]+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ㅣ(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보이는 연결어미).
주104)
:데를. 곳을. [處]+(목적격조사).
주105)
내:내가. 나[自]+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주106)
알오:알고. 알-[知]+고/오(연결어미). ‘-오’는 ‘ㄹ’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107)
아디:알지. 알-[知]+디(보조적 연결어미).
주108)
몯린댄:못할진대. 못한다면. 몯-[不]+ㄹ(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109)
매:마침내. 끝내. 매[終](부사).
주110)
네게:너희에게. 네[汝]+게(여격조사).
주111)
미리:미리. 미리[預](부사).
주112)
알외요:알림을. 알리기를. 알외-[報]+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113)
아니려니:아니하려니. 아니하였을 것이니. 아니-[不]+오/우+리(추측법 선어말어미)+어(확인법 선어말어미)+니(연결어미).
주114)
너희:너희들이. 너희[汝等].
주115)
슬허:슬퍼하여. 슳-[悲]+어.
주116)
우루:우는 것은. 울-[泣]+옴/움+(보조사).
주117)
위(爲)니:위(爲)하니.
주118)
아롤딘댄:알진대. 안다면. 알-[知]+오/우+ㄹ(관형사형어미)+(의존명사)+이(서술격조사)+ㄴ댄(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연결어미).
주119)
우루미:우는 것은. 울-[泣]+옴/움+이(주격조사).
주120)
맛디:맞지. 맞-[合]+디.
주121)
몯니라:못하다. 못하니라.
주122)
법성(法性):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사물의 본성. 만유(萬有)의 본체(本體).
주123)
생멸(生滅):우주 만물의 생겨남과 없어짐.
주124)
거래(去來):오고 감.
주125)
업스니:없으니. 없-[無]+으니.
주126)
너희히:너희들은.
주127)
안라:앉아라. 앉-[坐]+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128)
너희로:너희들에게. 너희ㅎ[汝等]+로(부사격조사).
주129)
:한. [一](수관형사).
주130)
게(偈):게송(偈頌). 불교적 가르침을 운문(韻文) 형식으로 표현한 것. 곧 글자의 수를 정하여 사구(四句)로 맺는 글.
주131)
주리니:주리니. 줄 것이니. 주-[與]+리+니.
주132)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주격조사).
주133)
닐오:이르되. 말하면. 니-[曰]+오/우.
주134)
진가동정게(眞假動靜偈):참됨과 거짓, 움직임과 고요함의 뜻을 보인 노래.
주135)
너희히:너희들이.
주136)
이:이. 이[此](관형사).
주137)
게(偈):게송(偈頌)을.
주138)
외오면:외우면. 외오-[誦]+면.
주139)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140)
과:뜻과. [意]+과(비교 부사격조사).
주141)
리니:같으리니. 같을 것이니. -[同]+리(추측법 선어말어미)+니.
주142)
이:이를. 이 게송(偈頌)을. 이[此]+(목적격조사).
주143)
브터:의지하여. 븥-[依]+어.
주144)
수행(修行)면:수행(修行)하면. ‘수행(修行)’은 불도(佛道)를 닦는 것이다.
주145)
종지(宗旨):한 종교나 종파(宗派)의 중심이 되는 가르침.
주146)
일티:잃지. 잃-[失]+디.
주147)
아니리라:아니하리라. 아니할 것이다. 아니-[不]+리+라.
주148)
한:많은. 하-[多]+ㄴ(관형사형어미).
주149)
이:승려가. 대중(大衆)이. [僧]+이(주격조사).
주150)
예수(禮數)고:절하고.
주151)
사(師)ㅣ:조사(祖師)께서.
주152)
니쇼셔:이르십시오. 말씀하십시오. 니-[說]+쇼셔(‘쇼셔’체 명령형 종결어미).
주153)
청(請)대:청(請)하니. 청(請)한즉.
주154)
니샤:이르시되. 말씀하시되. 니-[曰]+샤+오/우.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