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0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0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7ㄴ

師ㅣ 云샤 古佛應世ㅣ 已無數量니 不可計也ㅣ니라 今以七佛도 爲始니 過去莊嚴劫에 毘婆尸佛와 尸棄佛와 毗舍浮佛왜오 今賢劫에 拘留孫佛와 拘那含牟尼佛와 迦葉佛와 釋迦文佛왜 是爲七佛이시니 釋迦文佛이 首傳摩訶迦葉尊者시니라

師ㅣ 니샤 古佛이 주001)
고불(古佛)이:
옛 부처님께서. 옛적에 부처님께서.
世예 주002)
세(世)예:
세간(世間)에.
應샤미 주003)
응(應)샤미:
응(應)하심이. 응(應)하신 것이. 응현(應現)하신 것이. ‘-샤미’는 ‘-+샤+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마 주004)
마:
이미. 마[已](부사).
數量이 업스니 주005)
수량(數量)이 업스니:
수없이 많아서. ‘무수량(無數量)’에 대한 번역이므로 ‘수없이 많아서’로 옮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8ㄱ

주006)
가(可)히:
가히.
혜디 주007)
혜디:
헤아리지. 세지. 혜-[計]+디.
몯리라 주008)
몯리라:
못할 것이다. 못하리라. 몯-[不]+리+라.
이제 주009)
이제:
이제. 이제[今](부사).
七佛로 주010)
칠불(七佛)로:
칠불(七佛)로. 일곱 부처님으로.
비르소 주011)
비르소:
비롯함을. 비릇-[始]+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사니 주012)
사니:
삼으니. 삼-[爲]+니(연결어미).
過去 주013)
과거(過去):
과거의.
莊嚴劫에 주014)
장엄겁(莊嚴劫)에:
장엄겁(莊嚴劫)에. ‘장엄겁(莊嚴劫)’은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대겁(三大劫) 가운데 과거의 대겁(大劫)을 이른다.
毘婆尸佛와 尸棄佛와 毘舍浮佛왜오 주015)
-왜오:
-이고. ‘-왜오’는 ‘와(접속조사)+ㅣ(서술격조사)+고/오(나열형 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당시에는 체언의 나열인 경우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今賢劫에 주016)
금현겁(今賢劫)에:
금현겁(今賢劫)에.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대겁(三大劫) 가운데 현재의 대겁(大劫)을 이른다.
拘留孫佛와 拘那含牟尼佛와 迦葉佛와 釋迦文佛왜 주017)
석가문불(釋迦文佛)왜:
석가모니불[釋迦文佛]이.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8)
이:
이. 이[是](관형사).
七佛이시니 주019)
칠불(七佛)이시니:
일곱 부처님이시니. ‘-이시니’는 ‘이(서술격조사)+시+니(연결어미).
釋迦文佛 주020)
석가문불(釋迦文佛):
불교의 교조(敎祖)인 석가모니부처를 이른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釋迦)’ 종족의 ‘각자(覺者)’라는 뜻이다.
처 주021)
처:
처음.
摩訶迦

육조법보단경언해 하:68ㄴ

葉尊者
주022)
마하가섭존자(摩訶迦葉尊者):
마하가섭존자께. ‘마하가섭존자’는 마하가섭(摩訶迦葉), 또는 대가섭(大迦葉)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십대 제자 중 하나. 두타(頭陀) 제일(第一). ‘’는 ‘ㅅ(존대표지)+긔(여격조사)’가 재구조화한 것이다. 여격조사 ‘에게’의 높임말인 ‘께’의 직접적인 소급형태이다.
傳시니라 주023)
전(傳)시니라:
전(傳)하신 것이다. 전(傳)하시니라.

조사께서 말씀하셨다. “고불(古佛 : 옛 부처님)께서 세간에 응(應)하신 것이 이미 수량(數量)이 없으니[수없이 많으니], 가히 헤아리지 못할 것이다. 이제 칠불(七佛 : 일곱 부처님)으로 비롯함을 삼으니, 과거(過去) 장엄겁(莊嚴劫)에 비바시불(毘婆尸佛)과 시기불(尸棄佛)과 비사부불(毘舍浮佛)이고, 금현겁(今賢劫)에 구류손불(拘留孫佛)과 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과 가섭불(迦葉佛)과 석가모니불[釋迦文佛]이 이 칠불(七佛)이시다. 석가모니불[釋迦文佛]이 처음 마하가섭존자(摩訶迦葉尊者)께 전(傳)하신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고불(古佛)이:옛 부처님께서. 옛적에 부처님께서.
주002)
세(世)예:세간(世間)에.
주003)
응(應)샤미:응(應)하심이. 응(應)하신 것이. 응현(應現)하신 것이. ‘-샤미’는 ‘-+샤+옴/움(명사형어미)+이(주격조사).
주004)
마:이미. 마[已](부사).
주005)
수량(數量)이 업스니:수없이 많아서. ‘무수량(無數量)’에 대한 번역이므로 ‘수없이 많아서’로 옮기는 것이 좋을 듯하다.
주006)
가(可)히:가히.
주007)
혜디:헤아리지. 세지. 혜-[計]+디.
주008)
몯리라:못할 것이다. 못하리라. 몯-[不]+리+라.
주009)
이제:이제. 이제[今](부사).
주010)
칠불(七佛)로:칠불(七佛)로. 일곱 부처님으로.
주011)
비르소:비롯함을. 비릇-[始]+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12)
사니:삼으니. 삼-[爲]+니(연결어미).
주013)
과거(過去):과거의.
주014)
장엄겁(莊嚴劫)에:장엄겁(莊嚴劫)에. ‘장엄겁(莊嚴劫)’은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대겁(三大劫) 가운데 과거의 대겁(大劫)을 이른다.
주015)
-왜오:-이고. ‘-왜오’는 ‘와(접속조사)+ㅣ(서술격조사)+고/오(나열형 대등적 연결어미)’로 분석된다. 당시에는 체언의 나열인 경우 마지막 체언 다음까지 접속조사가 오고 그 뒤에 다시 격조사나 보조사를 두었다. ‘-오’는 음절부음 [j] 다음에서 /ㄱ/ 약화 표기.
주016)
금현겁(今賢劫)에:금현겁(今賢劫)에. 과거ㆍ현재ㆍ미래의 3대겁(三大劫) 가운데 현재의 대겁(大劫)을 이른다.
주017)
석가문불(釋迦文佛)왜:석가모니불[釋迦文佛]이. ‘-왜’는 ‘와(접속조사)+ㅣ(주격조사)’로 분석된다.
주018)
이:이. 이[是](관형사).
주019)
칠불(七佛)이시니:일곱 부처님이시니. ‘-이시니’는 ‘이(서술격조사)+시+니(연결어미).
주020)
석가문불(釋迦文佛):불교의 교조(敎祖)인 석가모니부처를 이른다. ‘석가모니(釋迦牟尼)’는 ‘석가(釋迦)’ 종족의 ‘각자(覺者)’라는 뜻이다.
주021)
처:처음.
주022)
마하가섭존자(摩訶迦葉尊者):마하가섭존자께. ‘마하가섭존자’는 마하가섭(摩訶迦葉), 또는 대가섭(大迦葉)이라고도 한다. 부처님의 십대 제자 중 하나. 두타(頭陀) 제일(第一). ‘’는 ‘ㅅ(존대표지)+긔(여격조사)’가 재구조화한 것이다. 여격조사 ‘에게’의 높임말인 ‘께’의 직접적인 소급형태이다.
주023)
전(傳)시니라:전(傳)하신 것이다. 전(傳)하시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