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하

  • 역주 육조법보단경언해
  • 육조법보단경언해 하권
  • 제10 부촉유통(付囑流通)
  • 부촉유통 15
메뉴닫기 메뉴열기

부촉유통 15


師ㅣ 說偈已시고 告曰샤 汝等은 好住라 吾滅度後에 莫作世情야 悲泣雨淚라 受人

육조법보단경언해 하:79ㄴ

弔問며 身著孝服면 非吾弟子ㅣ며 亦非正法이니라 但識自本心면 見自本性야 無動無靜며 無生無滅며 無去無來며 無是無非며 無住無往리니 恐汝等이 心迷야 不會吾意야 今再囑汝야 令汝見性노니 吾滅度後에 依此修行면 如吾在日고 若違吾敎면 縱吾在世야도 亦無有益리라 復說偈曰샤 兀兀不修善며 騰騰不造惡야 寂寂斷見聞면 蕩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0ㄱ

蕩心無著리라

師ㅣ 偈 니샤 주001)
니샤:
이르심을. 이르시기를. 니-[說]+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시고 주002)
시고:
마치시고. -[已]+시+고(대등적 연결어미).
告야 주003)
고(告)야:
고(告)하여. 알리어.
니샤 너희 됴히 주004)
됴히:
좋게. 잘. 둏-[好]+이(부사파생접미사).
이시라 주005)
이시라:
있어라. 이시-[住]+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06)
나:
내가.
滅度 주007)
멸도(滅度):
멸도(滅度)한. ‘멸도(滅度)’는 열반(涅槃), 또는 입적(入寂)을 이른다.
後에 世情을 주008)
세정(世情)을:
세상의 인정(人情)을.
지 주009)
지:
지어. -[作]+어(연결어미).
슬허 주010)
슬허:
슬퍼하여. 슳-[悲]+어.
우러 주011)
우러:
울어서. 울-[泣]+어.
믈 주012)
믈:
눈물을.
흘리디 주013)
흘리디:
흘리지. 흘리-[淚]+디(보조적 연결어미).
말라 주014)
말라:
말아라. 말-[莫]+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사 주015)
사:
(다른) 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吊問 주016)
조문(吊問):
조문(吊問)을.
바며 주017)
바며:
받으며. 받-[受]+며(대등적 연결어미).
모매 주018)
모매:
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孝服 주019)
효복(孝服):
상복(喪服)을.
니브면 주020)
니브면:
입으면. 닙-[着]+으면.
주021)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내[吾]’는 평성.
弟子ㅣ 주022)
제자(弟子)ㅣ:
제자(弟子)가. ‘ㅣ’는 보격조사.
아니며  正法 주023)
정법(正法):
불교의 바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이른다.
아니니라 주024)
아니니라:
아니니라. 아니다. 아니-[非]+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오직 주025)
제:
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本心을 주026)
본심(本心)을:
본마음을.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을.
알면 주027)
알면:
알-[識]+면.
本性을 주028)
본성(本性)을:
본 성품을.
보아 주029)
보아:
보아. 보아서. 보-[見]+아(연결어미).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0ㄴ

주030)
동(動):
동(動)이. 움직임이.
업스며 주031)
업스며:
없으며. 없-[無]+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2)
정(靜):
정(靜)이. 고요함이.
업스며 주033)
생(生):
생(生)이. 생겨남이.
업스며 주034)
멸(滅):
멸(滅)이. 사라짐이.
업스며 주035)
감:
감이. 가는 것이. 가-[去]+옴/움(명사형어미). ‘가-[去](평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감]의 성조만 상성으로 바뀌었다.
업스며 주036)
옴:
옴이. 오는 것이. 오-[來]+옴/움(명사형어미). ‘·오-[來](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업스며 올홈 주037)
올홈:
옳음이. 옳은 것이. 옳-[是]+옴/움(명사형어미).
업스며 외욤 주038)
외욤:
그름이. 그릇됨이. 그른 것이. 외-[非]+옴/움(명사형어미).
업스며 주039)
주(住):
머무름이.
업스며 주040)
감:
떠남이. 가-[往]+옴/움(명사형어미).
업스리니 주041)
업스리니:
없으리니. 없을 것이니.
너희히 미 迷惑야 주042)
미혹(迷惑)야:
미혹(迷惑)하여. ‘미혹(迷惑)’은 마음이 흐려서 갈팡질팡 헤맴을 이른다.
주043)
내: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들 아디 몯가 주044)
몯가:
못할까. 몯-[不]+ㄹ(동명사어미)+가(‘라’체의 간접 판정 의문형어미).
저허 주045)
저허:
걱정하여. 두려워하여. 젛-[恐]+어.
이제 다시 네게 주046)
네게:
너희에게. 네[汝]+게(여격조사).
付囑야 주047)
부촉(付囑)야:
부촉(付囑)하여. 일을 부탁(付託)하여.
너 주048)
너:
너희를.
見性케 주049)
견성(見性)케:
견성(見性)하게. ‘견성(見性)’은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달아 아는 것을 이른다.
노니 주050)
노니:
하느니.
주051)
나:
내가.
滅度 後에 주052)
후(後)에:
후(後)에. 뒤에.
이 주053)
이:
이를. 이[此]+(목적격조사).
브터 주054)
브터:
의지하여. 븥-[依]+어(연결어미).
修行면 나  주055)
잇:
있는. 잇-[在]+(관형사형어미).
주056)
날:
날과. 날[日].
고 주057)
고:
같고. -[如]+고(대등적연결어미).
다가 주058)
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敎 주059)
교(敎):
가르침을.
어긔면 주060)
어긔면:
어기면. 어긔-[違]+면.

육조법보단경언해 하:81ㄱ

비록 주061)
내:
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世예 주062)
세(世)예:
세상(世上)에.
이셔도 주063)
이셔도:
있어도. 이시[在]+어도.
 利益 이숌 주064)
이숌:
있음이.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
업스리라 주065)
업스리라:
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無]+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 偈 니샤 아야 주066)
아야:
아질아질하여. 혼미하여. 아-[兀]+야(연결어미).
善을 닷디 주067)
닷디:
닦지. -[修]+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어즐야 주068)
어즐야:
황홀하여. 높이 솟아. 어즐-[騰]+야.
惡을 짓디 주069)
짓디:
짓지. 짓-[造]+디(보조적 연결어미).
아니며 괴외야 주070)
괴외야:
고요하여. 괴외-[寂]+야(연결어미).
見聞을 주071)
견문(見聞)을:
견문(見聞)을. 보고 들음을.
그츠면 주072)
그츠면:
끊으면. 긏-[斷]+으면(연결어미).
훤야 주073)
훤야:
훤하여. 훤-[蕩]+야.
미 주074)
미:
마음이. [心]+이(주격조사).
주075)
착(着):
집착(執着)이.
업스리라 주076)
업스리라:
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着]+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대사께서 게송(偈頌) 이르심을 마치고 〈나서〉 고(告)하여 말씀하셨다. “너희들은 잘 있어라. 내가 멸도(滅度)한 후에 세정(世情)을 지어 슬퍼하거나 울어서 눈물을 흘리지 말아라. 사람들의 조문(吊問)을 받고 몸에 효복(孝服)을 입으면, 내 제자가 아니고 또한 정법(正法)이 아니니라. 오직 자기의 본심(本心)을 알면 자기 본성(本性)을 보아, 동(動)이 없으며, 정(靜)이 없으며, 생(生)이 없으며, 멸(滅)이 없으며, 감[去]이 없으며, 옴[來]이 없으며, 옳음[是]이 없으며, 그름[非]이 없으며, 머무름[住]이 없으며, 떠남[往]이 없을 것이다. 너희들의 마음이 미혹(迷惑)하여 내 뜻을 알지 못할까 걱정해서, 이제 다시 너희들에게 부촉(咐囑)하여 너희를 견성(見性)케 〈하고자〉 하느니라. 내가 멸도(滅度)한 후에 이를 의지하여 수행(修行)하면 내가 있는 날과 같고, 만약 내 가르침[敎]을 어기면 비록 내가 세상에 있어도 또 이익이 있지 않을 것이다. 또 게송(偈頌)을 말씀하셨다. ‘아질아질하여 선(善)을 닦지 아니하며, 높이 솟아 악(惡)을 짓지 아니하며, 고요하여 견문(見聞)을 끊으면 훤하여 마음에 집착(執着)이 없을 것이다.’”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니샤:이르심을. 이르시기를. 니-[說]+샤(주어 높임의 선어말어미)+옴/움(명사형어미)+(목적격조사).
주002)
시고:마치시고. -[已]+시+고(대등적 연결어미).
주003)
고(告)야:고(告)하여. 알리어.
주004)
됴히:좋게. 잘. 둏-[好]+이(부사파생접미사).
주005)
이시라:있어라. 이시-[住]+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06)
나:내가.
주007)
멸도(滅度):멸도(滅度)한. ‘멸도(滅度)’는 열반(涅槃), 또는 입적(入寂)을 이른다.
주008)
세정(世情)을:세상의 인정(人情)을.
주009)
지:지어. -[作]+어(연결어미).
주010)
슬허:슬퍼하여. 슳-[悲]+어.
주011)
우러:울어서. 울-[泣]+어.
주012)
믈:눈물을.
주013)
흘리디:흘리지. 흘리-[淚]+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14)
말라:말아라. 말-[莫]+라(‘라’체의 명령형 종결어미).
주015)
사:(다른) 사람의. 사[人]+(관형격조사).
주016)
조문(吊問):조문(吊問)을.
주017)
바며:받으며. 받-[受]+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18)
모매:몸에. 몸[身]+애(처소부사격조사).
주019)
효복(孝服):상복(喪服)을.
주020)
니브면:입으면. 닙-[着]+으면.
주021)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내[吾]’는 평성.
주022)
제자(弟子)ㅣ:제자(弟子)가. ‘ㅣ’는 보격조사.
주023)
정법(正法):불교의 바른 교법(敎法), 곧 불법(佛法)을 이른다.
주024)
아니니라:아니니라. 아니다. 아니-[非]+니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25)
제:자기의. 저[自]+ㅣ(관형격조사).
주026)
본심(本心)을:본마음을. 꾸밈이나 거짓이 없는 참마음을.
주027)
알면:알-[識]+면.
주028)
본성(本性)을:본 성품을.
주029)
보아:보아. 보아서. 보-[見]+아(연결어미).
주030)
동(動):동(動)이. 움직임이.
주031)
업스며:없으며. 없-[無]+으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32)
정(靜):정(靜)이. 고요함이.
주033)
생(生):생(生)이. 생겨남이.
주034)
멸(滅):멸(滅)이. 사라짐이.
주035)
감:감이. 가는 것이. 가-[去]+옴/움(명사형어미). ‘가-[去](평성)’에 명사형어미 ‘옴/움’이 통합되어 ‘-오/우-’는 보이지 않고 [:감]의 성조만 상성으로 바뀌었다.
주036)
옴:옴이. 오는 것이. 오-[來]+옴/움(명사형어미). ‘·오-[來](거성)’에 명사형어미 ‘옴’이 통합되면 ‘-오/우-’는 나타나지 않고 성조만 상성[:옴]으로 바뀐다.
주037)
올홈:옳음이. 옳은 것이. 옳-[是]+옴/움(명사형어미).
주038)
외욤:그름이. 그릇됨이. 그른 것이. 외-[非]+옴/움(명사형어미).
주039)
주(住):머무름이.
주040)
감:떠남이. 가-[往]+옴/움(명사형어미).
주041)
업스리니:없으리니. 없을 것이니.
주042)
미혹(迷惑)야:미혹(迷惑)하여. ‘미혹(迷惑)’은 마음이 흐려서 갈팡질팡 헤맴을 이른다.
주043)
내:내. 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44)
몯가:못할까. 몯-[不]+ㄹ(동명사어미)+가(‘라’체의 간접 판정 의문형어미).
주045)
저허:걱정하여. 두려워하여. 젛-[恐]+어.
주046)
네게:너희에게. 네[汝]+게(여격조사).
주047)
부촉(付囑)야:부촉(付囑)하여. 일을 부탁(付託)하여.
주048)
너:너희를.
주049)
견성(見性)케:견성(見性)하게. ‘견성(見性)’은 모든 망혹(妄惑)을 버리고 자기 본래의 타고난 불성(佛性)을 깨달아 아는 것을 이른다.
주050)
노니:하느니.
주051)
나:내가.
주052)
후(後)에:후(後)에. 뒤에.
주053)
이:이를. 이[此]+(목적격조사).
주054)
브터:의지하여. 븥-[依]+어(연결어미).
주055)
잇:있는. 잇-[在]+(관형사형어미).
주056)
날:날과. 날[日].
주057)
고:같고. -[如]+고(대등적연결어미).
주058)
내:나의. 나[吾]+ㅣ(관형격조사).
주059)
교(敎):가르침을.
주060)
어긔면:어기면. 어긔-[違]+면.
주061)
내:내가. 나[吾]+ㅣ(주격조사). ‘·내[吾]’는 거성.
주062)
세(世)예:세상(世上)에.
주063)
이셔도:있어도. 이시[在]+어도.
주064)
이숌:있음이. 이시-[有]+옴/움(명사형어미).
주065)
업스리라: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無]+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주066)
아야:아질아질하여. 혼미하여. 아-[兀]+야(연결어미).
주067)
닷디:닦지. -[修]+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68)
어즐야:황홀하여. 높이 솟아. 어즐-[騰]+야.
주069)
짓디:짓지. 짓-[造]+디(보조적 연결어미).
주070)
괴외야:고요하여. 괴외-[寂]+야(연결어미).
주071)
견문(見聞)을:견문(見聞)을. 보고 들음을.
주072)
그츠면:끊으면. 긏-[斷]+으면(연결어미).
주073)
훤야:훤하여. 훤-[蕩]+야.
주074)
미:마음이. [心]+이(주격조사).
주075)
착(着):집착(執着)이.
주076)
업스리라:없으리라. 없을 것이다. 없-[着]+으리(추측법 선어말어미)+라(‘라’체의 평서형 종결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